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선이정2025-08-17 13:27:42

삶이 내게 꽃을 내밀 때

영화 <내 말 좀 들어줘> 리뷰

DIRECTOR. 마이크 리

CAST. 마리안 장 밥티스트, 미셸 오스틴 외

SYNOPSIS.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누구에게나 할 말 다 하는 '팬지'. 집, 길거리, 마트... 그녀가 가는 곳에는 언제나 트러블이 생긴다. 그런 그녀를 유일하게 보듬는 사람은 여동생 '샨텔'뿐, 남편과 아들은 귀를 닫은 듯 그저 무심할 뿐이다. '어머니의 날'을 맞아 '팬지'와 '샨텔'의 가족이 모두 모인 자리, '팬지'가 무슨 말을 할지 조마조마하던 가족은 그녀의 뜻밖의 반응에 당황하는데...


POINT.

✔️ 70년대부터 꾸준히 영화를 만들어 온 거장 마이크 리 감독의 컴백입니다.

✔️ 특히 <비밀과 거짓말>을 함께한 명배우, 마리안 장 밥티스트와의 조우! 마리안 장 밥티스트의 연기가 너무 훌륭합니다. 연기를 통해 팬지의 얼굴에서 그 어린 시절부터 현재까지를 다 가늠해 보게 만듭니다. 역시나 여우주연상을 휩쓸었네요.

✔️ 보고 나면 세상에 친절한 마음으로 꽃 한 송이를 내밀고 싶어지는 영화

✔️ 특히 K-장녀들에게는 꽃을 다발로 주고 싶어지는 영화...

✔️ 가족 상담 사이코드라마로 써 보면 좋겠다는 생각도 (비전공자 비전문가 주제에) 해보았습니다. 당신은 팬지의 가족 중 누구에게 가장 마음이 가나요? 당신을 화나게 혹은 슬프게 하는 인물이 있나요? 그렇다면 이유는 무엇인가요?

 

 

#1. 가족 상담의 사이코드라마

이 영화는 러닝타임의 상당 시간을 할애애 팬지가 세상을 어떻게 대하는지 보여준다. 방을 지저분하게 해 놓은 아들에게, 남편에게, 마트에서 장 보다 마주친 여자에게, 치과 의사에게... 팬지가 세상을 대하는 방식은 대개 고슴도치 같다. 팬지는 신랄한 말투로 공격적인 발언을 서슴지 않는다. 도끼날처럼 떨어지는 말을 가만 들어보면 팬지는 우선 상대에게 먼저 공격을 받았다고 느끼는 것 같다. 그래서 고슴도치처럼 바늘을 촘촘하게 두른 이 마음 안에, 과연 어떤 상처와 감정이 도사리고 있는지 궁금해진다.

 

 

이 영화 속 팬지와 식구들의 모습을 보고 있으면,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우리 누구도 온전히 저 가정의 모습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살면서 문제를 겪지 않는 사람, 상처를 받지 않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문제와 상처 앞에 대처하는 방식을 아주 거칠게 묶어 보면 팬지처럼 불평불만을 토로하며 공격적으로 전진하는 유형, 팬지의 남편 커틀리처럼 문제를 회피하고 침묵으로 일관하는 유형, 아들 모세처럼 회피형 중에서도 다른 무언가에게 시선을 돌리는 유형(모세는 계속해서 비행기와 관련된 책을 읽고 비행기 게임을 한다) 등이 있을 것이다.

 

공격형과 회피형의 조합은 꽤나 치명적인데, 자연히 팬지는 "내가 몇 번이나 이야기했어?" "얼마나 더 이야기해야 해?" 같은 말을 자주 사용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는 회피형을 더욱 움츠러들게 만들고, 악순환은 이어진다. 처음에는 팬지의 화려한 언변(?)에 시선을 빼앗겼던 관객도 이내 이 가족에게 필요한 건 팬지 개인 상담이 아닌 가족 상담임을 인지하게 된다.

 

 

다만 이 영화는 팬지의 가족을 '문제 가정'으로 낙인 찍고 이들을 동물원처럼 구경하는 영화가 아니다. 오히려 팬지 가족의 이야기를 사이코드라마 삼아 나는 어떤가, 내 주변은 어떤가 반추하게 한다. 유사 경험하는 집단 상담 같달까.

 

얼핏 팬지 가족의 대척점에 놓인 '화목한 가정'처럼 보이는, 팬지의 동생 샨텔과 두 딸 가정을 보아도 그렇다. 무슨 이야기를 해도 깔깔거리며 받아주고 마냥 유쾌하지만, 이들에게도 유쾌한 감정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에게도 회사에서 있었던 불쾌한 일을 굳이 말하지 않고 다 잘 지나갔다는 식으로 적당히 넘기는 '회피'의 순간이 있고, 이모의 어떠함에 대해 느낀 불쾌감을 토로하는 '공격'의 순간이 있다. 팬지 가정에서처럼 드라마틱하지 않은, 일반적으로 문제되지 않는 선일 뿐.

 

 

#2. 우린 누구나 시간이 쌓여 이루어진 존재

그 가정의 배경에는 샨텔이 있다. 미용사로 일하면서 손님들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샨텔의 장면들은 정말이지 경이롭다. 맞장구 쳐 주고, 웃으며 반응하는 선을 넘어서, 적당한 질문도 던져 주고 화제도 적절히 바꿔 주면서 상대가 이야기를 계속 끌어갈 수 있도록 한다. 마치 이야기를 하려는 사람 앞에 길을 깔아 주는 것처럼.

 

샨텔이 이야기를 끌어내 주자 손님이 달라 보인다. 처음에는 그냥 잘 사는 사모님이 '내가 얼마나 열심히 사는데' 타령인 줄 알았는데, 샨텔이 끌어주는 대로 그의 이야기를 쭉 들어 보니 그는 정말로 자기 일을 열심히 하는 사람이자, 삶의 어려움을 잘 버티면서 티내지 않으려 애쓰는 사람이었다. 이 모든 이야기로 무거워진 미용실 분위기를 툭 털어내는 것까지 샨텔은 훌륭하게 해낸다.

 

 

어떻게 보면 좋은 대화의 정석 같은 사람, 나쁜 대화의 정석 같은 사람을 캐릭터로 내세우고 있음에도, 손쉽게 팬지가 잘못됐고 샨텔이 잘했다고 말하는 영화가 아니라서 좋았다. 이 영화의 원제는 Hard truths, 어려운 진실들이다. 삶은 어려운 진실들로 이루어져 있고, 누구에게나 사정은 있고 누구나 공감을 시도할 수 있다는 말은 샨텔의 손님들 뿐만 아니라 팬지도 대상으로 한다.

 

영화는 가계도를 가로로 펼친 현재 팬지 가족과 샨텔 가족의 삶을 보여주면서, 팬지와 샨텔이 원 가족에 있던 시절 즉 둘의 삶이 가계도 안에서 세로로 펼쳐지던 시절을 언급한다. 이 과정을 지켜보며 지금 내 눈 앞에 보이는 사람은 무수한 과거의 날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새삼 느낀다. 오늘 그 사람이 처한 상황 뿐만 아니라 그의 하루하루에 겪은 일들이 오늘을 만들었음을, 그러므로 나와 부딪힌 지금 순간만으로 그를 이해할 수 없음을 깨닫게 된다.

 

 

#3.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일

설령 샨텔처럼 유려한 실력으로 상대방의 말에 귀를 기울인다고 해도, 그래서 약간의 이해와 공감이 순간적으로 피어 오른다고 해도, 우리는 한 사람의 무수한 과거지사를 다 들을 수 없다. 아니 다 말할 수도 없다. 하물며 그 일들의 의미를 해석해 지금의 나를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기억의 한계와 무의식에 덮어둔 일들의 분량으로 인해, 겹겹이 쌓인 과거를 다 하나하나 해석하고 서술하는 일은 전문가라 해도 불가능하다.

 

즉 노력으로도 우리는 이해에 다다를 없다. 시간 속에서 우리는 서로를 스쳐간다. 내가 아는 상처든 모르는 상처든 누군가 건드리면 예민해지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몰이해와 오해가 번질 수도 있다. 끝내 서로를 이해하지 못한 채로 멀어지기도 하며, 팬지처럼 사방천지에 공격적으로 상처를 발산하고 다닐 수도 있고 커틀리나 모세처럼 침묵으로 회피하여 상태를 악화시킬 수도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오직 사랑 뿐이다. 먼저는 스스로를 향해. 스스로를 용서하지 못하는 사람은 타인에게도 너그러워질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서는 타인을 향해. 우리 누구도 혼자만의 힘으로 혼자를 끌어안고 용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한 인간의 상처도 기쁨도 절망도 소망도 뿌리도 결말도, 무엇 하나 온전히 다 알 수 없지만... 그래도 마음을 나누고 같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내 삶에 다른 이들을 초대하고 환영할 수는 있다. 그렇게 서로 가까이 들이고 더불어 살아갈 때, 온전하지 못한 이해가 성글게 열리고, 무엇보다 풍성한 사랑이 맺힌다.

 

그런 작은 초대와 환영의 시간이 삶을 180도 바꿔 놓지는 않겠지만, 1도씩 1도씩, 조금씩 뒤틀어 놓을 수는 있을 것이다. 그 작은 뒤틀림 덕분에, 평행을 달리던 두 직선이 언젠가 어디선가 만나는 선으로 변모한다.

 

 

마리안 장 밥티스트가 유리 문을 열 때, 그 얼굴에서 나는 소녀 팬지를 보았다. 자신의 삶에 불쑥 침범해 들어왔던 것들로 인해, 날을 세우고 버텨야 했던 날들. 어쩌면 공격이 최선의 방어였던 날들. 이웃을 지켜보는 팬지의 세밀한 관찰력을 보면, 어쩌면 팬지는 아주 친절하고 다정한 사람이었을 수도 있다. 더 세밀하고 예민한 사람들이 더 잘 상처받지만, 삶의 현장은 멸균실이 아니고 그래서 우리는 모두 언젠가 집을 나서야만 한다.

 

삶이라는 정원이 벌레와 불안이 아닌, 꽃 한 다발을 내밀 때. 오랜 불안이나 상처가 눈물로 터져 나올 때. 그때 우리는 비로소 문을 열 수 있다. 평행선이 1도, 틀어진다. 그 세상은 어디를 향할지 모른다. 관계의 회복일 수도 있지만 관계의 종결일 수도 있다. 꼭 모두가 얼싸안는 결말만이 해피엔딩은 아니다.

 

팬지의 집을 비추며 시작한 영화는 다시 팬지의 집을 비추며 끝난다. 다만 그 의미는 내 눈에 아주 달라 보인다. 이제 그 집은 보이지 않는 불안과 맞서 싸우는 전쟁 참호가 아니라 베이스캠프다. 삶은 계속되고, 문제도 변하지 않았으며, 주변 사람들도 그다지 변하지 않았고, 나 스스로의 변화도 그렇게 드라마틱하진 않을 것이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공기 속에 바이러스와 세균이 불안하게 공명하는 대신, 어설픈 사랑과 따뜻한 마음이 공명하는 걸 느꼈다면 이미 세상은 달라진 것이다.

 

 

이 영화를 보고 나오는 길, 마음이 좀더 너그럽고 도량이 넓은 사람이 되고 싶다는 꿈을 꾸게 된다. 도량이 넓다니 지나친 꿈 같지만 그것도 시작은 꽃 한 송이 아닐까. 지나가다 내 어깨를 툭 치고 말도 없이 사라진 행인에게도, 이해할 수 없는 행동들로 내게 상처를 남겼던 가까운 이들에게도, 내 말에 상처를 받았을 누군가에게도, 나 자신에게도. 영화가 내게 꽃 한 송이를 내밀어 주었다고 느낀 순간, 나도 삶에 꽃 한 송이를 전하고 싶어진다. 어쩌면 이것도 사랑이 아닐까.

 

 

 

*온라인 무비 매거진 씨네랩을 통해 시사회에 참석하여 감상 후 작성하였습니다. 영화의 국내 개봉일은 8월 20일입니다. 극장에서 만나보세요! :-)

 

작성자 . 선이정

출처 . https://brunch.co.kr/@sunnyluvin/387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