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CINELAB2021-06-03 09:27:49

캘리포니아로 달려가야 하는 노란 벤의 로드 무비 <미스 리틀 선샤인>

Little Miss Sunshine, 2006 by Jonathan Dayton, Valerie Faris

    Little Miss Sunshine, 2006 by Jonathan Dayton, Valerie Faris

 

 

    꿈꿔 온 미인대회에 출전하게 된 올리브. 그런 올리브를 데리고 한 명 한 명이 유별난 이 가족이 함께 캘리포니아까지 무사히 갈 수 있을까? 노란색으로 가득 찬 이 영화의 포스터는 영화의 전체를 함축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노란 벤을 향해 달려가는 각각의 인물들과 소소하고 유쾌하지만 잔잔히 마음을 울리는 상황들은 너무나 매력적이다.

 

 

 

 

    양로원에서 마약하다 쫓겨난 할아버지, 프루스트에 관한 학자로는 일인자라고 하지만 그마저 밀리고 애인까지 뺏긴 동성애자 삼촌, 성공에 대한 강의를 하지만 번번이 계약에 실패하는 아빠, 며칠째 같은 음식만 준비하는 엄마, 비행기 조종사가 되고 싶어 묵언수행까지하지만 색맹인 아들, 미인대회에 나가고 싶지만 남들이 생각하는 미의 기준에는 조금 벗어난 듯한 막내. 인물들부터가 개인의 각기 다른 목표와 갈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가족들이 한 가지 목표를 위하여 한 차에 탄다는 것부터 일단은 시나리오적으로도, 연출적으로도 의미는 완벽하다. 감독은, 일단 힘을 합쳐 밀어야 출발이 가능하다는 설정을 추가하여 그 의미를 증폭시킨다.

 

    ‘식구’는 먹을 식(食)에 입 구(口)를 이용하여 한 테이블에 앉아 같이 밥을 먹는 사람을 의미한다. 그만큼 가족을 다룬 영화에서도 식사 장면은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장면이다. 영화에서도 영화 초반부에 식사 장면을 통하여 본 격적으로 인물 설명과 인물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의외로 식사하는 가족들을 보여주는 앵글 자체는 특별하지 않아 보인다. 대신에 대사에 힘을 준다. 평범한 앵글에 강력한 대사를 이용하여 평범해 보이는 가정처럼 느껴지도록 연출한 것이다. 하지만 가족들이 식사하기 전에 카메라가 인물들 각각을 잡는 방법은 다르다. 부엌의 구조를 이용하여 이중 프레임을 만들어 아들과 아빠를 각각의 칸에 나누어 두고, 방 문을 또 하나의 프레임으로 이용하여 인물 들을 고립시킨다. 이런 콩가루 집안을 제대로 보여준 덕분에 후반부에서 가족의 행동에 더욱 힘이 실린다. 함께 식사하는 것조차 쉽지 않아 보이는 이들에게 점점 생각하지 못한 일들이 생기고 남들과는 다른, 남들이 생각하는 ‘정상’의 범위를 벗어난 행동들을 한다. 후반부의 기점이자, 캘리포니아로 가는 길에 겪는 큰 고비 중 하나인 할아버지의 죽음에 있어서도 시체를 트렁크에 싣고 운반한다는 것은 남들은 이해할 수 없지만 이 가족에겐 최선의 선택이자 이 가족이 앞으로 달려 나아가기 위하여 결정해야하는 일이었던 것이다. 각각의 가족이 하나의 목표를 위 해 달리기 위해서는 무언가를 포기해야 함을 보여주는 동시에, 캘리포니아에 도착하자마자 미인대회장에서 장의사를 찾는 아빠의 모습에서 이들이 가족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음 또한 보여준다. 할아버지의 시체를 싣고 갈등이 일단락되는 듯 싶지만 아들이 막내와 장난을 치던 중 파일럿에게는 치명적인 색맹이라는 결함을 발견하게 된다. 차 안에서 분노를 주체할 수 없었던 아들은 차에 내려 밭으로 뛰어 내려간다. 이 장면에서도 가족들이 멀리서 서 있는 하늘, 아들이 주저 앉아있는 땅을 분명하게 나누고 높이의 차를 줌으로써 분명한 실패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는, 이들을 한 차에 타고 달리게 했던 이들의 목표인 미인대회를 앞두고 미인대회를 망쳐버리고 나온다. 이들의 목표였던, 성공의 지표였던 미인대회로 달려가는 길에서 이들은 사회가 정한 기준보다도 중요한 것을 깨닫게 된 것이 다. 관객들은 카메라를 통하여 그 여행을 함께했기 때문에 이들이 미인대회에서 실패했지만 패자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게 알 것이다. 미인대회 마지막 무대 직전, 바다 위 부두에 서 있는 풀샷으로 잡힌 삼촌과 아들은 위태로워 보였지만 그들은 이미 ‘가장 고통받았던 지난 날들이 내 인생의 최고의 시간이었다’라는 프루스트의 명언과 함께 클로즈업된 이들의 투샷은 그 어떤 장면보다 안정적으로 보인다.

 

    승자를 외치던 아빠가 패자가 되어서도 즐거워하고, 파일럿이 되겠다고 침묵하던 아들이 입을 열 때 가족과 소통하게 된다. 감독은 마지막까지 잘못된 사회의 기준을 미인대회로 보여주며 비판하고 있다. 인물 하나하나의 캐릭터부터 희망을 의미하는 노란색의 미국 60-70년대 전형적인 벤을 함께 미는 장면까지, 개인의 갈등부터 사회의 갈등까지 완벽한 시나리오를 영화적 언어로 구사해냈다. 자칫 클리셰 할 수 있는 가족과 사회 갈등임에도 불구하고 진지한 이야기를 진지하지 않으면서 재미를 주는 영화이다.

 

사진출처: IMDB

 


 

* 본 콘텐츠는 브런치 이도 님의 자료를 받아 씨네랩 팀이 업로드 한 글입니다.

원 게시글은 아래 출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작성자 . CINELAB

출처 . https://brunch.co.kr/@1-ido/4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