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CINELAB2021-06-29 09:24:43

이토록 정치가 재밌을 줄이야

하우스 오브 카드 시즌1, 시즌2 리뷰

 

 

항상 정치를 다루는 뉴스는 엄청 딱딱하게 느껴진다. 그런데 넷플릭스 드라마 <하우스 오브 카드>에는 이렇게 묘사되는 딱딱한 정치판을 재미와 스릴이 가득한 공간으로 바꿔버리는 신기한 재주가 있다. 이 마약 같은 정치 드라마는 2013년에 넷플릭스에서 처음으로 만든 오리지널 드라마다. 마이클 돕스라는 영국의 전 정치인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했는데, 첫 오리지널 작품인 만큼 힘을 팍 준 게 느껴진다. <파이트 클럽>과 <조디악>을 연출한 거장 데이비드 핀처가 제작자로 참여한 덕인지는 몰라도 드라마의 결은 유려하면서도 차갑다. 그 속에는 미국 정치의 민낯이 생생히 반영되어 있다. 빌 클린턴 미국 전 대통령도 이 드라마를 보고 실제 미국 정치와 거의 비슷하다고 언급까지 할 정도다.

 

 

<하우스 오브 카드>의 주인공은 냉혹한 정치인 프랜시스 언더우드(케빈 스페이시)다. 그는 시즌 1 ~ 시즌 2 내내 워커(마이클 길) 대통령과 대립하며 그를 끌어내고 대통령이 되려 한다. 그 야심을 안 모양인지 다양한 정치적인 장애물들이 프랜시스를 괴롭히지만, 정치, 경제, 언론 등 다양한 수를 동원해서 그것들을 하나하나 물리쳐간다. 심지어는 자신을 방해하는 사람들을 죽이는 짓도 서슴지 않는다. 그럼에도 괜히 거기에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되는 이유? 최소한 나는 나에게 프랜시스가 발휘하는 냉혹한 술수가 없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종의 대리만족이다. 이런 점에서 프랜시스가 관객에게 말을 거는 장면은 이 감정을 극대화시켜주기 위한 연출적 묘수로 받아들여진다.

 

 

한편 프랜시스의 냉혹한 모습은 현실 정치 속 정치인들이 부리는 술수, 발언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예방주사 같은 역할도 한다. 실제 예방접종도 사람의 몸에 약화시킨 바이러스를 주입시켜서 면역력을 키우는 방식으로 이뤄지는 것처럼 말이다. 아마 <하우스 오브 카드>가 궁극적으로 노리는 것은 유권자들의 각성일 것이다. <웨스트윙>과 반대로 정치판이 만들어낼 수 있는 가장 최악의 모습을 시뮬레이션해줌으로써 유권자들이 남발되는 가짜 뉴스에 휘둘리지 않고 좀 더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정치판을 바라볼 수 있도록, 그리고 유권자의 뜻을 제대로 대리해주는 사람에게 투표할 수 있도록. <하우스 오브 카드>가 단지 남의 나라 이야기만은 아니라고 생각되는 이유다.

 

 

프랜시스는 시즌 3부터 이런 반면교사의 역할을 본격적으로 맡게 될 것 같다. 현재 시즌 3를 정주행하고 있는데, 거기서 대통령이 된 프랜시스가 여러 실책을 거듭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즌 1 ~ 시즌 2 내내 발휘된 지혜가 무색하게 말이다. 내가 이러한 변화를 <하우스 오브 카드>의 약점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이유는 이러한 역할 변화로 비롯된다. 그리고 이는 드라마를 보는 또 다른 재미를 선사할 것이다. 계속 이야기했듯 시즌 3 이전에는 프랜시스의 모습에 대리만족을 느끼면서 봤다면, 그 이후에는 절대 악인이 된 프랜시스가 자신이 부당하게 얻은 왕관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몰락하는 모습을 키득거리며 지켜보면 되니까. 과연 시즌 3가 끝나면 어떤 평가를 남길지 기대된다.

 


 

* 본 콘텐츠는 브런치 지네마 님의 자료를 받아 씨네랩 팀이 업로드 한 글입니다.

원 게시글은 아래 출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작성자 . CINELAB

출처 . https://brunch.co.kr/@komestan/38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