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김성혁2021-07-23 23:31:35

#랑종 / ร่างทรง, 2021

극장에 퍼지는 곡소리, 누가 내는 것인가?

'곡성은 코미디'라는 말은 <곡성>을 연출한 "나홍진"감독 본인에게서 나온 말입니다.
이 때문에 아무도 모르는 영화 <랑종>은 <블랙 위도우>를 개봉일부터 누르며, 현재 관객수 253,396명(07.15 기준)으로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이런 결과를 만들었는지?'에 대해서는 "나홍진"감독이 본인의 영화를 어떻게 소개해왔는지를 알아봐야 합니다.
장편 데뷔작 <추격자>를 "밸런타인데이에 맞는 데이트 무비"라고 소개한 것을 시작으로 <황해>는 "크리스마스"였으니, "코미디 영화"로 소개한 <곡성>의 소개말은 양반으로 보일 겁니다.

그렇다면, "나홍진"감독은 왜, <곡성>을 콕 집어냈을까요?
그 이유에는 이번 <랑종>은 당초 <곡성>의 "일광(황정민 분)"의 프리퀄로 진행될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이게 무산되자 <셔터>의 '반종 피산다나쿤'이 해당 각본을 각색하고, 직접 감독하여 만든게 이번 <랑종>이 되었는데요.
결과물이 당초 기획과 다르게 되었지만, 결국 영화 <랑종>은 <곡성>과의 유사성을 피할 수가 없었습니다.
'과연, 어떤 영화이었는지?' - <랑종>의 감상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영화는 태국의 "이산"지역으로 "랑종", 즉 "무당"을 주제로 다큐멘터리를 찍는 제작진들의 자막으로 시작합니다.
이곳에 있는 무당 "님"을 만나 촬영을 하던 중, 언니 "노이"의 남편 부고 소식을 듣게 됩니다. 오랜만에 가족을 만난 것도 잠시, 조카 "밍"의 모습에서 심상치 않음을 느낀 "님"은 "밍"의 방에서 수상쩍은 것을 발견하는데...

진짜로 무서울까?

1. 우리의 이야기
영화 <랑종>의 관람을 시작하기 전부터 영화가 말하는 "애니미즘 - 토테미즘 - 샤머니즘"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교회, 절과 같은 종교들도 있지만 토속 신앙까지 합쳐본다면 '신'이라는 존재는 정말로 무궁무진합니다.
이집트의 경우. 고양이나 쇠똥구리의 형상을 지닌 신도 존재하니 마치, 국내 포털에서 '무엇으로 만든 김치'처럼 얼마나 있을지는 자국민들도 모를 겁니다.
그만큼 익숙할 수가 없는 소재를 그것도 낯선 국가를 배경으로 관객들을 이해하게 만든다는 건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영화 <랑종>은 그렇게 어려운 영화는 아닙니다.

무엇을 해야만 하는 거죠?

앞서 말했듯이 자국민들에게도 어려운 소재를 타국을 배경 삼아 만든다는 건 배로 어려운 일이지만, 유사한 부분도 존재합니다.
'환웅 설화'를 예시로 든다면, 환웅이 하늘에서 같이 내려온 3명의 신하 '풍백 - 운사 - 우사'는 "자연"을 뜻하는 "애니미즘"을, '단군왕검'이 태어난 과정에서의 '곰 - 호랑이'와 같은 '동물'은 "토테미즘"으로 의미합니다.
여기에 "환웅"은 자연스럽게 "무당"을 뜻하는 "샤머니즘"으로 볼 수 있으니 나라는 달라도 전달되는 의미는 똑같아 어려움이 없다는 것입니다.
꼭 <곡성>과의 유사성 때문은 아니라는 것이죠.

2. 트렌드 호러담(談)
그렇다면, 영화 <랑종>의 공포는 어땠을까요?
보통 공포 영화에서의 러닝 타임은 "점프 스케어"로 일컫는 깜짝 놀래는 방법과 찝찝함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구분됩니다.
그런 점에서 131분의 <랑종>은 전자보다 후자에 가까운 영화로 '어떤 공포를 선호하는가?'에 따라서 관객들이 느끼는 만족도 역시, 크게 다를 겁니다.
무엇보다 영화 <랑종>은 동양을 배경으로 삼았지만, 보여주는 장르는 최근 국내에서 열풍을 일으키는 "오컬트"와 일맥상통하게 느껴집니다.

동양에서 서양을 느끼다?

굳이, <곡성>을 언급하지 않아도 최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제8일의 밤>만을 보더라도 국내에서 '오컬트'는 더 이상 낯선 장르는 아닙니다.
이로 인해, 국내 관객들에게 공포 영화에서의 귀신은 더 이상 "한(恨)"을 품어 해소시켜야 하는 딱한 존재가 아니게 되어가고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영화 <랑종>에서 보여주는 귀신은 성불할 가능성을 지닌 존재가 아닌 퇴치를 해야 하는 존재로 보입니다.
이런 익숙함 때문에 <랑종>을 이해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지만, 굳이 이 영화를 봐야 하는 이유까지 설명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꺼내든 "파운드 푸티지"는 이를 납득하게 만듭니다.

3. 어떻게 쓰느냐에 다르게 느껴진다.
1999년에 나온 <블레어 윗치>를 시작으로 2009년 <파라노말 액티비티>로 유명한 "파운드 푸티지"는 "진짜인가?"를 의심케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에 "핸드헬드"라는 촬영 방법은 일부러 화면을 흔들어 비전문인이 촬영하는 것을 인식하게 만들어 현실성을 부여하는데요.
하지만 "할리우드"에서는 더 이상 쓰지 않는 방법인데, 이런 우려와 다르게 <랑종>은 이를 살벌하게 보여줍니다.
극 중 "CCTV"로 "밍"이 무엇을 하는지?를 지켜본다든지, 적외선 시점으로 보는 장면은 공포 게임 <아웃 라스트>가 연상되는 등 앞에서 쓰지 않았던 "점프 스케어"를 폭발시켜 관객들의 어깨들을 들썩거리게 만듭니다.

비슷하면서도 다른 이유에는...

이렇게 만든 영화 <랑종>의 이야기는 역시, <곡성>과 유사함이 지적되나 면밀히 살펴보면 차이가 있습니다.
두 영화, 운명을 받아들어야 하지만 이를 거부하는 것이 이들의 주요 내용으로 <곡성>의 경우. '왜 하필이면 자네 딸이냐고? 그 어린 것이 뭔 죄가 있다고~? 자네는 낚시할 적에 뭐가 걸릴 건지 알고 미끼를 던지는가? 그놈은 미끼를 던진 것이여, 자네 딸은 그 미끼를 확 물어본 것이고.'으로 무작위적인 선택을 신의 운명으로 보게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랑종>은 받아들여야 하는 신의 운명에 있어 이들이 저지른 죄악들에 그 원인이 있음을 말합니다.

4. 돌림판과는 다른 족쇄들
영화에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님"은 신내림을 거부한 언니 "노이"를 대신해 무당을 하는 인물입니다.
여기서, "노이"가 신내림을 거부해 신의 분노를 샀다는 점도 있지만, 극 중 "개고기"에 대한 언급도 있습니다.
불교 국가인 "태국"에서 개는 인간으로의 환생 직전의 마지막 단계로 보아 이를 먹지 않는데, "노이"를 이를 판매하고 있으니 신의 분노를 살 수밖에 없는 것이죠.

죄를 저질렀으니 갚아야지!

여기에 그의 오빠 "마닛"은 가정이 있음에도 외도를 즐기고, 죽은 "밍"의 오빠 "맥"은 "천주교"에서 가장 큰 죄악 "자살"을 저질렀고 동생 "밍"과의 관계가 보통이 아니었음을 시사했으며 "밍"은 이모 "님"을 비롯한 "무당"을 조롱하는 등 저지른 죄들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나중에는 "밍"의 아버지 "아싼티야"의 조상이 예전에 공장에 불을 저질렀던 과거까지 피해 갈 수 없음을 예고합니다.
이런 점에서 "님"은 이 중에서 가장 무결한 인물입니다.
결국, 무당의 운명을 받아들었고, 결혼과 자식을 두지 않고 마을 사람들을 도운 인물이니 이 캐릭터의 존재는 앞선 캐릭터들에게는 유일한 가능성으로도 해석됩니다.

5. 마동석씨, 여기 좀 와봐유!
이렇게 본다면, 영화 <랑종>은 굉장히 만족스러운 영화이겠지만 중간마다 아쉬운 구석들이 많습니다.
공포 영화에서는 "왜 그렇게 하는 거야?"로 관객들을 궁금하게 만드는 행동들이 있습니다.
이를 흔히, "발암"으로 총칭해서 말하는데 극 중 "신내림을 못하는 이유"를 제대로 설명하지 않아 일을 크게 만드는 등 가슴이 답답한 전개들이 많은데요.
그리고 마지막에는 인력의 배치에 형평성을 의심케하는 전개에도 답답함을 느끼니 아쉬운 개연성을 보여줍니다.

깨물지 말고 말을 해!

이런 이야기의 아쉬움이 영화 내내 있었음에도 초반에는 언급되지 않는 이유에는 분위기와 사운드로 찝찝함으로 이를 상쇄하고도 남았거든요.
하지만 후반부에 이런 문제가 드러나는 이유에는 <곡성>에서도 나온 "좀비(?)"의 등장입니다.
극 중 혼을 언급하는데, 동물들도 있어 그런 모습들에 충분히 납득이 가지만 이를 1인칭으로 보여주는 모습의 연출이 <랑종>의 폼을 급격하게 떨어트립니다.
특히, 카메라를 땅바닥에 내려두고 피만 보여주거나 소리만 나오는 "파운드 푸티지"의 클리셰가 유치하게 보이는데요.
분명히, 나쁘게 본 영화는 아니지만 자극적인 소재에 비해서 그렇지 못한 마무리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 처음에 언급 드린 '곡성은 코미디'에는 아무래도, 영화가 보여주는 수위로 보입니다. 세상에 <곡성>이 '15세 이용가'인걸 5년 만에 알았으니까요.

작성자 . 김성혁

출처 . https://blog.naver.com/whswls48/222433968727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