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2021-02-16 00:00:00
#라이트하우스 / The Lighthouse, 2019
내 얼굴에 뭐가 묻은지도 모른 채...
지난여름에 개봉한 <테넷>은 관객들에게 복잡한 이해를 요구해 좋고 싫음을 갈랐지만, "로버트 패틴슨"에게는 호불호가 없었습니다.
<트와일라잇>의 ‘그 녀석이 맞나?’싶을 정도로 괄목한 연기를 보여주어 오히려, 입덕하게 만들었는데요.
그렇기에 그의 성장에 ‘어떤 비결이 있었는지?’에 관객들은 궁금하실 텐데요.
근데, 이는 국내에 한정된 것이었고 이미, 북미 관객들에게 그의 성장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게, 작년 북미에서 제한 개봉한 이 영화 <라이트하우스>라고 합니다.
제작비 400만 달러에 총 수익 $18,113,964로 4배의 수익을 거두고,
로튼은 90%로 북미 관객들에게 뜨거운 반응을 이끈 영화 <라이트 하우스>는 왜, 국내에서 찾기 힘들었을까요?
극장도 아닌 "VOD"로 직행한 이유에는 이 영화가 흑백이라는 것도 있지만, 앞서 언급한 익숙하지 않는 "로버트 패틴슨"의 연기 때문이지 않을까요?
"런던 비평가 협회"로부터 "남우주연상"을 수상에 성공한 “로버트 패틴슨”의 연기를 단순하게 좋다 나쁘다로 표현할 수 없거든요.
'과연, 어떤 영화이었는지?' - 영화 <라이트하우스>의 감상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영화는 외딴섬에 등대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서로 교대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베테랑인 "토마스"와 신참내기 "이프레임"은 그렇게, 4주 동안 같이 지내기로 하며 서로 근무를 어떻게 나눌지에 대화를 이어나갑니다.
"토마스"는 "이프레임"에게 자신이 "등대"를 관리할 테니 이에 신경 쓰지 말라는 말을 합니다.
이에 "이프레임"은 규정대로 번갈아면서 해야 하는 것을 말하지만, "토마스"는 '이곳에서는 자신이 규정이며, 따르지 않겠다면 해고'라는 말로 그 의견을 묵살시킵니다.
결국, 일을 하지만 어째 시간이 지날수록 이들에게 이상한 일들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하는데...
1. 안전한 곳에서 위험한 곳으로 바뀌는 공포!
영화 <라이트하우스>는 109분으로 적은 분량을 가진 영화는 아닙니다.
특히, 90분 내외로 끝을 내는 "공포 영화"임을 생각하면 <라이트하우스>의 분량은 오히려 넘치는 쪽에 속합니다.
그러나 영화 <라이트하우스>의 느낌은 난해하다는 범위를 훨씬 웃돌 만큼 복잡한데요.
이는 영화가 관객들에게 충분한 설명을 해주지 않는 것도 있지만, 이를 영화가 선보이는 공포라는 것도 있습니다.
흔히, 사람들이 느끼는 공포들 가운데 가장 큰 것은 "낯선 곳에서 느끼는 공포"이거든요.
학교를 몇 년이나 다녔는데!
대학교를 논외로 치고, 초중고를 가정한다면 12년을 다니면서 그 공간은 익숙함을 넘어서서 편안함을 줄 겁니다.
하지만 이를 들어가는 데 있어 낯선 이가 있다면, 그 공간을 익숙한 곳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요?
- 영화 <에이리언>시리즈는 낯선 존재의 침입으로 안전하다고 느껴지는 곳을 한순간에 무서운 곳으로 바뀌는 공포를 활용합니다.
이처럼 <라이트하우스>는 "등대"에서 일어나는 미스터리한 일들을 바탕으로 점차 공포로 바뀌어나가는 것을 관객들에게 보여주는데요.
이 때문에 관객들은 이에 대한 비밀이 명백하게 밝혀져 확실하게 끝내달라는 소망이 있겠지만, 영화는 이를 들어주지 않습니다.
오히려, 흑백으로 촬영되어 이 공포를 좀 더 보여주는데 목적을 둘뿐입니다.
2. 그래도, 조금은 알려주시지...
영화 <라이트하우스>는 2019년에 나온 영화라고는 믿기 어려울 만큼 흑백으로 촬영된 것도 있지만, 화면비가 상당히 작습니다.
그래서, 이야기뿐만 아니라 모든 것들이 낯설게 느껴지는 이 영화에서 흑백은 영화가 내세우는 난해한 설명을 뒷받침하는 방법으로 보입니다.
설명을 가려 극의 신비감을 더하는 것처럼 흑백 처리된 장면들은 보여줄 것을 최소화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는 와중에 조금씩 밝혀지는 "이프레임"의 과거는 이 영화에서 흑과 백이 어떤 의미인지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분기점입니다.
결국, 이런 영화였나?
영화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에서 "인남"은 어두운 공간에서 "살인"과 같은 죄를 일으키나 발걸음을 옮기는 방향은 "해"와 같은 빛이 있는 곳입니다.
이처럼 죄를 일으킨 인물이 구원을 향하는 것처럼 영화 <라이트하우스>도 이런 의미를 함유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 점에서 어두운 공간에서 나오는 죄들은 "성경"과 맞물립니다.
극에서 "살인"이 나오며, 종종 나오는 등대의 열쇠를 훔치려 드는 "도둑질", 그리고 "자위" 등이 나오며 죄들이 나오는데요.
그렇기에 추후 등대에서 울부짖는 "이프레임"과 등대를 바라보는 "이프레임"의 얼굴은 점차 극명하게 다르게 보입니다.
이는 그의 죄가 얼마나 있는지가 아니라 얼마나 자각했는지를 말이죠.
3. 신화와 성경이 오가는 설명들
먼저, 닫힌 등대 아래에 "토마스"를 바라보는 "이프레임"을 보여주는데 빛이 없어 그의 얼굴을 제대로 보기가 힘듭니다.
이는 자신의 죄를 자각하지 못하는 것을 보여주는 장면인데요.
태양을 맨눈으로 바라볼 수 없듯이 눈부신 등대를 제대로 된 형체로 파악하기는 힘듭니다.
그런 점에서 "이프레임"의 이 모습은 자신의 상태를 제대로 인지하고 못하는 것을 비유하여 보여주는 것이죠.
이외에도 "등대"를 독차지한 "토마스"에 대한 "질투"로 앞에서 열거한 죄들의 계획을 세우니 마지막에 나오는 울부짖는 모습은 이를 직면하게 된 절망은 아니었을까 싶네요.
마지막 장면의 의미는?
근데, 영화는 마지막에 갈매기에 쪼아먹히는 사람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다른 분들의 리뷰에 의하면, "프로메테우스"의 신화라는데 이를 앞에서 리뷰한 것과 연결하면 그의 절망은 더 확실하게 보입니다.
신화에서 "프로메테우스"는 "불"을 인간들에게 전달한 인물인데, 과학에서는 인간의 진화에 큰 변화는 "불"로 보고 있습니다.
그동안의 식사가 생식에서 불로 바뀌며, "조리"라는 개념이 생겼으며 "저장"과 이후 "잉여 생산물"이라는 개념까지 확장되었으니까요.
특히, 익혀진 고기로 뇌의 용량마저 비약적으로 늘어났으니 신화상 내용이 아니라 과학적으로도 충분히 입증된 사실입니다.
그런 점에서 등대 즉, 불을 마주한 "이프레임"은 자신의 "일거수일투족" 원치 않았던 것들까지 목격하며 끝내 추락해 이런 결말을 맞이한 것은 아닐까요?
* 본 콘텐츠는 네이버 블로거 파천황 작가님의 자료를 받아 씨네랩 팀이 업로드 한 글입니다.
원 게시글은 아래 출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