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드플레2021-07-29 21:10:20

세상을 등진 채 다시 춤추기 위해서라면

필리포 메네게티, <우리, 둘>(2019)

<우리, 둘>이 선택한 전략

 

 

영화 <우리, 둘>은 노년 여인들의 사랑을 다룬다. 제목에서 느껴지듯 이 영화는 기본적으로 두 명의 노인들, 니나와 마도에게 오롯이 집중하려고 하지만, 어쩐지 몇몇 요소가 영화의 정체성을 흐릿하게 만든다는 점이 예사롭지 않다. 니나는 마도와 마주 보는 이웃집에 산다. 오랜 연인 관계인 두 사람은 자신들의 연애 사실을 주변인들에게 철저히 숨기고 있다. 이때 뇌졸중으로 쓰러진 마도가 집에서 요양하는 동안 니나는 그녀를 향한 마음을 제어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영화는 자꾸만 긴장감이 흐르는 상황을 조성하게 된다. 흡사 제한된 공간을 활용하는 서스펜스 요소들이 나열되는 <우리, 둘>에서 이런 장치들은 여러 제약 조건들조차도 갈라놓지 못하는 사랑의 힘을 강조하기 위해 배치된 듯 보인다. 물론 동의는 하지만 이런 장르성이 과연 전하고자 하는 바를 위해 필연적이었는지는 의문이 남는다.

 

게다가 영화는 두 동성애자를 둘러싼 외부의 시선도 폭력적으로 설정한다. 즉, 주변 사람들은 두 사람의 관계를 방해하는 장애물로 묘사된다. 그 어떤 어려움에도 무너지지 않는 두 사람의 사랑을 부각하려는 장치라는 걸 역시 알겠으나 이러한 설정의 활용만 놓고 보자면, 영화가 결국 무엇에 집중하고 싶은 건지 모호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납득하기 어렵다. 마도는 오랜 기간 가족에게 자신의 성적 취향을 숨겨 왔다. 니나와 함께 떠날 때가 다가오는데도, 마도는 입을 떼지 못한다. 그런 마도에게 윽박을 지르는 니나의 모습이 담기는 신이 있다. 이때 집 매매를 알선해주는 담당자에게 니나가 말한다. 니나는 그에게 당신은 동성애자들한테 특별한 감정이 있냐며 몰아붙이고, 담당자는 전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곧바로 니나는 마도에게 따진다. 이것 좀 봐라, 아무도 동성애에 관해 신경 쓰지 않는데 왜 너는 가족에게 말을 못 하냐고 말이다. 관객 또한 순간적으로 니나의 말에 수긍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마도가 왜 평생을 그렇게 살아왔는지 궁금해지기도 한다.

 

영화는 동성애자가 주변과의 인간관계를 쌓아가며 겪는 어려움을 조명하지만, 관객은 마도의 서사를 통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다는 점에서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이 의문은 영화의 전략과 연결된다. 즉, 이 영화에는 의도적으로 부각하는 갈등 상황이 존재한다. 만약 이 영화가 마도의 서사를 전개하는 데 있어 그저 그녀가 사회적으로 겪는 어려움을 거칠게 나열하는 데 집중했다면, 나는 영화가 기승전결의 서사가 아닌, 관찰과 응시를 바탕으로 한 파편화된 서사를 구축한다고 여기면서 수긍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 둘>은 기본적으로 두 사람의 사랑을 메인 테마로 삼고 있으며, 그 사랑의 서사적 굴곡을 심화하기 위해 갈등 상황을 몇몇 지점에서 부각하고 있다. 따라서, 이 영화는 부각하는 지점에 관해 충분한 보충 설명이 필요하다. 이 영화는 그래서 전략이 불분명하다.

 

 

<우리, 둘> 스틸컷  © 그린나래미디어(주)

 

 


연인의 사랑을 매혹적으로 가꾸는 시공간

 

 

그럼에도 이 영화에 눈을 뗄 수 없게 만드는 몇몇 순간들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말한 두 사람의 사랑을 묘사하는 방식에서 비롯된다. 영화는 완결된 지점으로 가려는 대신, 두 사람이 처음 춤을 췄던 그 시공간의 무드를 환기하면서 연인의 세계와 바깥 세계를 분리한다. 이는 곧 니나의 집과 집 바깥의 공간 대비로 형상화되며, 더 나아가 니나의 집 안에서 춤추는 두 사람이 과거를 회상하듯 그 시절의 향수를 지금 이 자리로 불러내는 듯한 낭만적인 연출을 통해서도 강조된다. 사랑을 매개하는 특별한 기억들, 같이 추억을 나누던 공간들, 함께 하던 시간들이 강력한 도구인 음악을 통해 한데 묶일 수 있다. 이 영화는 그러한 감성을 극대화하는 연출에 있어서 강점을 보여준다.

 

의미심장한 오프닝 시퀀스를 떠올려 보면, 그 장면들의 묘사는 두 사람의 관계를 상징하는 듯 보이고, 그렇게 오프닝의 기조를 이어받은 <우리, 둘>은 연인의 사이를 갈라놓는 요소를 배치해 두 사람의 사랑 서사를 극적으로 가공한다. 비록 서사를 구축한 뒤 인물들이 처한 상황을 재단하는 방식이 살짝 모호하게 느껴졌지만, 영화에 스며든 감성적인 순간들은 그 자체로 두 사람 사이의 진한 무드를 보완하고 강화하면서 영화를 매혹적으로 가꾼다. 시청각적인 지표를 적극 활용하는 <우리, 둘>에서 두드러지는 공간의 연쇄 작용이 있다면, 역시 여행지에서의 첫 만남과 그걸 이어받아 다시 한번 펼쳐지는 만남의 장이다. 니나의 집에서 세상을 등진 채 춤추는 연인의 모습은 회상 장면과 똑같은 구조로 반복된다. 그리고 <우리, 둘>은 두 사람이 감정을 교환할 수 있도록, 순간을 만끽할 수 있도록 내버려 둔 뒤, 영화를 끝낸다.

 

 

<우리, 둘> 스틸컷  © 그린나래미디어(주)

 

 


본 콘텐츠는 '씨네랩'으로부터 초청 받은 '영화 <우리, 둘> VIP 시사회'를 통해 작성된 글입니다.

작성자 . 드플레

출처 .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