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김몽실2021-09-14 11:25:12

생존사랑

왓챠 영화 리뷰 <더 랍스터>

 

 나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브리저튼>을 단순한 시대극 로맨스로 보지 않았다. 자신의 호감과는 상관없이 알맞은 결혼 상대를 찾기 위해 열성을 다하는 여성들의 모습을 보며 그 당시를 비판하게 되었고, 사랑에 주체적이고 당당한 여성이 되리라는 다짐을 했다. 그뿐만 아니라 남녀주인공의 사랑에 대해 의문이 생기기도 했다. 만약 남녀 주인공이 '결혼'이 삶의 목적인 사회에서 만나지 않았다면? 그들이 비혼 주의자였다면? 둘에게서 사랑의 스파크가 튈 수 있었을까?


 뒤 이어 보게 된 영화 <더 랍스터>는 목적에 의한 사랑을 잘 보여줬다. <더 랍스터>에서 사랑하는 사람에게 버려진 사람은 외진 숲 속 호텔에 들어가게 된다. 그들은 호텔 안에서 45일 안에 새로운 사랑을 찾아야만 한다. 그러지 못하면 자신이 정한 '동물'이 된다. 호텔에 갇힌 사람들은 하루에 해야 할 일정이 정해져 있는데 대표적으로 외톨이를 잡는 사냥 시간이 있다. 호텔에서 도망 나온 사람들을 외톨이라 부르고 외톨이를 사냥해오면 외톨이의 수에 따라 호텔에 묵을 수 있는 날이 연장된다. 그래서 동물이 되고 싶지 않으나 짝은 없는 사람들은 맹렬하게 외톨이를 사냥한다. 그 외에 남자와 여자가 모여 춤을 추거나 수영을 하는 등의 만남의 시간이 있고 왜 짝이 있어야만 하는지 교육해주는 시간도 있다. 교육 내용은 정말 황당한데 여자가 성폭행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남자가 있어야 하고 음식을 먹다 목에 걸렸을 때, 하임리임법을 해줄 여자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혼자'면 세상에 모든 위기에 맞서지 못한다고 공포를 조장하는 교육이었다. 그리고 호텔에서 절대 하지 말아야 하는 규칙도 있는데 거짓으로 짝을 만들거나 자기 위로 하는 행위이다. 호텔에서는 절대 혼자서 성행위를 해선 안되는데 들킬 경우 토스트기에 손이 집어넣어 진다. 짝을 찾지 못하면 인권 따위 없는 사회이다.

기서 주인공 데이비드는 거짓으로 사랑에 빠진 척하다 들켜 동물이 될 뻔하다, 가까스로 호텔에 탈출해 외톨이 무리에 끼게 된다. 하지만 외톨이 무리도 호텔 못지않게 엄격한 규칙이 있었다. '평생 혼자 살아도 되지만 사랑은 해선 안된다.' 호텔과 반대되는 규칙이었다. 하지만 데이비드는 무리에서 자신의 아픈 등에 연고를 발라주는 여자를 만나게 되고 사랑하고 싶던 둘은 외톨이 무리에서 도망칠 계획을 한다.

하지만 둘의 사랑을 눈치챈 무리의 대장이 데이비드 몰래 여자의 눈을 멀게 한다. 그때, 여자가 대장에게 이렇게 말한다.

 

"왜 내 눈을 멀게 했지? 그를 멀게 할 수도 있잖아"

 

흔히 사랑하면 목숨도 내놓는다는데, 사랑하는 남자의 눈이 아닌 왜 내 눈이냐 묻는 상황은 보편적으로 예상되는 대사와 달랐다. 그녀는 그를 사랑하지 않은건가. 아니면 자신의 눈과 바꿀만큼은 아니였던건가.

 

여자의 눈은 멀었지만 무리에서 꼭 탈출하고 싶었던 데이비드는 대장을 제압하고 여자와 도망간다. 가까스로 탈출에 성공해 도시에 한 레스토랑에 도착한 데이비드는 그녀처럼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이 되고자 한다.

 

"금방 끝내고 올게."

 

스테이크 칼을 들고 한참을 세면대 앞에 서있던 그는 그녀에게 돌아가지 않는다. 


- 짝을 찾지 못하면 무슨 동물이 되고 싶죠?

- 랍스터요. 랍스터는 100년 넘게 살아요. 귀족들처럼 푸른 피를 가지고 있고 평생 번식을 해요. 그리고 제가 바다를 좋아하기도 하고요.

 

 동물이 돼서도 아주 오래, 그리고 자신이 좋아하던 바다에서 살고 싶어 했던 데이비드는 사랑한다 믿었던 여자와 눈이 보이지 않는 고통을 함께 나누지 못한다. 그녀를 사랑하기 때문에 눈이 머는 것쯤은 해낼 수 있을 거라 생각했지만, 탈출에 성공해 자유가 된 그는 굳이 그럴 필요가 없음을 느꼈다. <더 랍스터>처럼 사랑을 해야만 하는 곳에서 피어오른 사랑은 사랑처럼 보이지 않는다. 이는 목적, 구체적으로는 '생존'과 관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브리저튼>과 <더 랍스터>  모두 사랑해야만 하는 목적이 있던 사회였다. 그리고 <더 랍스터>는 살기 위해선 사랑을 해야 한다는 생존사랑이라는 단어를 만들어내게 했다. 과연 목적이 있는 사랑은 사랑일까 본능일까? 아니 애초에 사랑은 본능일까 이성일까?

분명한 건 <더 랍스터> 속 데이비드의 사랑은 탈출을 위해 사랑을 이용한 이성처럼 보였다.


‘노처녀. 노총각’ 짝을 찾지 못한 사람들을 우린 이렇게 불렀다. 지금은 비혼주의가 완연한 사회이기에 저런 단어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불과 얼마 전까지도 나이가 들면 당연히 결혼해야 한다 생각했던 사회에서 대부분 사람들은 '생존사랑'을 해오지 않았을까? 당연히 해야만 하는 사회에서 동물이 되지 않기 위해 알맞은 누군가를 찾아 사랑한다고 세뇌하며 살지 않았을까? 


 

작성자 . 김몽실

출처 . https://brunch.co.kr/@teon24/31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