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I2025-05-15 11:58:41
관찰에서 믿음으로, 성장하기
영화 <와일드 투어> 리뷰
! 이 글은 영화 <와일드 투어>에 대한 약한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감독) 미야케 쇼
출연) 이토 호노카, 야수미츠 류타로, 쿠리바야시 오스케
현재 일본을 대표하는 젊은 영화감독을 뽑으라면 ‘미야케 쇼’라는 이름은 세 손가락 안에 들 것이다. <너의 눈을 들여다보면>을 통해 한국 관객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새벽의 모든>은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의 개막작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에 발 맞춰 최근에는 그의 이전 작품들인 <와일드 투어>와 <너의 새는 노래할 수 있어>가 국내에서 정식 개봉하기도 하였다.
흔들리는 청춘에 대해
그의 작품들은 흔들림에 대해 얘기한다. <새벽의 모든>에서는 자신을 통제할 수 없는 두 인물의 이야기를, <너의 눈을 들여다보면>에서는 시각 장애인 복서를 주인공으로 내세운다. <너의 새는 노래할 수 있어>는 보다 직관적으로 방황하는 청춘들의 모습을 담아낸다. 그가 그려내는 캐릭터는 누구보다 인간적이며 동시에 흔들린다. 그럼에도 인물들은 천천히 중심을 잡아간다. 그것이 미야케 쇼의 시선이다. 그리고 우리가 그를 좋아하는 이유이다.
<와일드 투어>에는 대학생 ‘우메’와 중학생 ‘타케’, ‘슌’이 등장한다. 그들은 워크숍의 일종으로 한 팀이 되어 식물 채집에 나선다. 새로운 종을 찾아 비닐 속에 밀봉하고, 센터에 돌아와 DNA를 분석한다. 그렇게 DNA 도감을 완성해간다. 그런 와중 그들의 마음에는 또 다른 감정이 피어난다. 타케와 슌은 우메에게 좋아하는 감정이 생긴다. 그러나 그들은 아직 서툴며, 표현의 방법을 모른다. 우메는 반대로 헤어진 남자친구와의 관계를 회복하고자 한다. 세 사람의 마음은 흔들리며, 그렇게 삼각 관계가 시작된다.
관찰에서 얻을 수 있는 것
미야케 쇼 감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관조하는 카메라’를 뽑을 수 있다. 익스트림 롱샷은 주로 설정샷으로 사용된다. 앞으로 사건이 발생할 이곳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것이다. 마블 영화처럼 다양한 로케이션이 등장하는 영화에서 주로 사용된다. 물론 감독의 연출에 따라 의도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더 폴: 오디어스와 환상의 문>에서는 말을 타고 달려오는 인물을 굉장히 멀리서 찍어내 Z축을 활용한 화면의 깊이감과 공간감을 높였다. <어벤져스: 엔드게임>에서는 캡틴 아메리카와 타노스 군단의 대치 장면을 멀리서 잡아 무너진 힘의 균형을 보여주면서도, 신화 속의 한 장면을 보는 듯한 느낌을 주었다.
그런데 미야케 쇼가 사용하는 익스트림 롱샷은 다른 영화들과는 무언가 다르다. 먼저, 그의 이야기는 작은 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공간의 이동 또한 많지 않다. 게다가 씬의 초반이 아닌 중간중간에 삽입하는 형식으로 샷을 사용한다. 이에 대한 해석은 <와일드 투어>에서 조금은 찾을 수 있었다. 우메와 타케, 슌이 식물 채집을 나서는 것은 사실상 세상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과 같다. 새로운 DNA를 발견하고, 채집하고, 보존하는 것은 사람이 사람을 만나는 방식, 그리고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과 비슷하다. 그들이 새로운 식물을 구별하기 위해선 관찰이 필요하다. 그리고 관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결국, 감독은 우리에게 시간을 주는 것이다. 우리가 관찰한 인물들에 대해, 우리가 마주한 사건들에 대해 사유할 수 있는 시간 말이다. 동시에 그는 작은 이야기가 작은 이야기로 머물지 않기를 바라는 것 같다. 도시의 원경을 통해 이 이야기는 어느 곳에서도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포하는 것이다.
믿음으로 향하는 마음
그렇다면 그의 이야기의 종착지는 어디인가? 세 인물의 채집 활동은 성공적으로 마무리 된다. 하지만 그들의 개인적 바람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이 영화를 보고 나면 마음속에 순수한 희망의 감정이 남는다. 그 이유는 결과보다 과정에 집중하는 감독의 시선에 있다. 감독은 과정 속에서의 성장이 값진 것이라고 말하는 듯하다. 그리고 그 성장은 대화와 유대를 통해 이루어진다. <너의 새는 노래할 수 있어>의 세 청춘은 방황하지만 서로에게 기대며 살아간다. <새벽의 모든> 속 두 인물은 서로의 아픔을 공감하고 위로한다. <와일드 투어> 속 유메, 타케, 슌은 협력을 통해 세상을 알아간다.
미야케 쇼의 영화는 관찰에서 믿음으로 향한다. ‘남’이었던 관계가 ‘우리’가 되는 유대의 과정에서 인물들은 성장한다. 동시에 공감하고 위로하는 연대의 과정에서 관객들 또한 성장한다. 이 감독에게는 소년의 순수한 믿음이 남아있는 듯하다.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