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udong2021-09-19 02:57:18

모든 영화는 엔딩이라는 것이 있다

<꽃다발 같은 사랑을 했다>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우리 아들이 본다면 어쩔 수 없지. 아빠는 넷플릭스를 껐다. 난 지금 <오징어 게임>을 보고 있다. 난 드라마를 잘 보지 않는데도 이건 보고 있다. 난 범죄물이나 스릴러물을 좋아한다. 예고에서 내 취향의 느낌이 나서 넷플릭스를 켜 재생을 시작했다. 나는 어쩔 때 취향이 넓은 사람인 척 하지만 사실 등장인물끼리 피 튀기는 걸 좋아한다. 단적으로 피 튀기는 것에 재미를 느끼는 것이 아니다. 집중하기 좋은 작품들을 좋아한다. 내가 평소에 산만한 사람이라 그런 것 같다. 지금도 영상편집하다 느닷없이 FM을 켜서 게임을 하다가 <오징어 게임>을 동시에 보며 이 글을 쓰고 있으니 말이다.

 

산만함. 이건 누가 와도 못 고칠 습관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습관. 습관은 어떻게 하면 고칠 수 있는 것일까? 일단 우리 엄마도 내 습관 전부를 고치지는 못했다. 아니 사실 나 스스로도 내 습관을 고치지는 못한 것 같다. 예를 들어 밤에 뭘 먹는 습관은 무슨 짓을 해도 고쳐지지 않는다. 소화기약을 먹고 자면 잠에 일찍 들 수 있는데 이것마저도 조금 부족한 것 같기도 하다. 잘 보일 사람이 있다면 고칠 수도 있지 않을까? 글 쓰다 말고 밤새 딴짓을 하는 뭐 같은 습관도, 언제부턴가 아이스크림을 먹지 않으면 잠이 안 오는 습관도 다 고쳐질지도 모른다.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실제로 그랬던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나는 지독히 산만한 인간이라 습관과 싸우는 게 유독 힘들다. 이런 나에게도 나를 바꾼 에피소드가 있다. 난 잘 보일 사람이 있었다. 무의식에 욕지거리를 한 두 마디 하던 나는 비속어를 쓰지 않게 되었다. 고마웠다. 이 말 빼고는 더 할 수 있는 말이 없다. 그렇게 고맙다는 말 많이 했었는데도 말이다. 이 사람을 만날 것이라고 생각해서 한 행동도 아닌데, 사실 걸핏 보기엔 우연에 불과한데도 나는 참 많은 것들을 얻은 셈이다.

 

 

<꽃다발 같은 사랑을 했다>는 운명과 우연을 빗댄 영화다. 올해 <랑종>이 핫할 때 같이 상영관이 걸렸었던 작품이다. 일본 내에서는 <귀멸의 칼날>을 누르고 얼마 동안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사실 이건 그렇게 나에게 중요하지 않았다. 내가 일본산 로맨스 영화를 신뢰하는 편은 아니기 때문이다.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나 <나는 내일, 어제의 너와 만난다> 같은 영화 나는 좀 별로였다. 몰입이 안 되는 느낌? 그런데 <아사코>는 좋았다. 그런데 난 솔직히 아사코는 로맨스 영화긴 한데 그것보다 철학적인 색이 짙다고 생각한다. 그러니까, 나는 일본의 로맨스 영화에 대해서는 취향이 확실했던 셈이다. 이건 필연이었다. 내가 그만큼 일본 영화에 실패를 해 봤으니 이런 판단이 들어간 것이겠지?

 

내 확실했던 취향만큼이나 영화는 분명한 설정을 보여준다. 아직도 이 영화를 처음 볼 때가 생각난다. 이 영화의 시작은 우연이었다. 우연처럼 취향이 비슷한 동갑내기 둘이 만나게 된다. 막차가 끊겨 처음 만나게 된 주인공. 카페에서 취향에 대해 이야기하다 대화가 잘 통한다는 걸 확인하게 된다. 이를 기점으로 서로 같이 전시회와 노래방을 가며 서로 잘 맞는다는 걸 확인한다. 단기간에 깊게 친해진 둘은 언제 고백해야 할지 전전긍긍하다, 결국 사랑에 성공한다. 스물하나라는 나이에 가슴 뛰는 사랑을 시작한 것이다. (극 중 안에는 평범남, 녀로 나오는 듯 하지만) 스다 미사키와 아리무라 카스미의 훈훈한 비주얼이 이 고백하는 장면에서의 두근거림을 더 키운다. 달달한 로맨스를 살릴 수 있는 배우들의 캐스팅이 빛난 셈이다. 영화로 돌아가서, 취향이 맞는 걸 확인한 두 주인공은 매일매일이 행복하다. 대학교를 졸업할 때까지만 해도 서로 고양이도 키우고 동거도 하며 일상을 즐겁게 보냈다.

 

근데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두 가지의 사건이 분기점이 돼서 둘은 소원해진다. 처음은 남자 주인공 무기의 일러스트레이터 일이었다. 벌이가 예전 같지 않게 되자 회사에 취업하게 된 무기. 야근에 야근이 겁쳐 XBOX로 게임도 못하고 미라 전시회도 못 가며 그림 그릴 일은 거의 없다시피 해 둘의 사이는 소원해진다. 다른 사건은 키누의 '하고 싶은 일'에 관한 것이었다. 선배의 제안을 받아들여 이벤트 기획업체에 취업하게 된 키누. 안정적인 원 직장을 버리고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곳에서 돈을 벌기 시작한 키누를 무기는 못마땅해한다. 이런 것들이 모이고 모여, 첫사랑이 이어지고 4년이 지나자 둘은 이별을 결심한다. 우연처럼 시작했던 두 사람이지만 필연을 피하지 못하고 현실에 부딪혔다. 헤어진 둘은 서로를 저주하지 않고 환하게 웃으며 축복한다. 우연과 운명으로 시작했던 사랑이 결국 이를 부정하며 끝났다. 원래 영원한 건 없다. 시작이 있다면 끝도 있는 것이다. 무슨 달콤한 말을 해도 영화의 엔딩은 정해져 있었다. 난 이 둘이 실존인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난 이 기분이 뭔지 알 것 같았다. 왠지 모를 시원섭섭함이었다. 가령 영화의 한 장소에서 둘이 껴안는 엔딩신이 있다. 이 영화에 300% 몰입하며 본 나는 무기의 관점에서 이 기분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리고 느꼈다. 난 이 영화의 러닝타임이 끝나질 않길 바라고 있었다는 걸. 그런데 끝났다. 무기는 키누와 마주치지 않는 손인사를 건네고 그렇게 각자의 새로운 연인과 함께 행복하게 살았다. 러닝타임도 끝났다. 마지막 막이 내려가는 순간에도 사실 상영관 밖을 못 나왔던 것 같다. 이건 당연한 것인데도 말이다. 당연한 사랑이야기에 참 깊게도 몰입했다. 영화는 러닝타임이란 게 있다. 영화와 마찬가지로 우리의 인간관계도 그렇다. 취향이 같다고 해서 영원한 사랑이 될리는 없으며 결국 둘 중 한 명은 서로를 떠나야 한다. 내가 이 영화 상영관에서 버틴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될 리가 없는 것처럼.

 

머릿속에 둥둥 떠다니는 생각을 딱 붙잡고 일어섰다. 그래. 영화건 소설이건 드라마건 좋다고 생각한 것에 여운이 오래 남을 수도 있지. 문을 열어서 밖을 나섰다. 길거리에 마스크 낀 수많은 커플들이 지나가고 있었다. 턱을 괴고 땅바닥에 앉아 가만히 바라봤다. 많은 사람들이 내 앞을 지나갔다. 내가 봤던 CGV 옆에는 꽃집이 없다. 이발소와 옷가게가 있다. 어차피 나는 저기서 평소에 머리 안 자른다. 그리고 저기 옷가게들은 여자 옷을 판다. 맞은편에는 피부과가 있다. 바라보기 좋은 공간이었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오는 주인공처럼 나는 아무 이유 없이 세상을 바라봤다. 어차피 내 인생에서 시작과 끝은 영원히 반복될 것이다. 인생은 꽃다발과 비슷한 구석이 있다. 확 아름답게 피다가 언제 그랬냐는 듯이 시들기 때문이다. 내가 지나쳐온 개화기에 대해 생각했다. 그러고 알았다. 갑자기 드는 생각 때문이었다. 다시 집에 가야 한다고 생각했다. 영화를 보며 느낀 게 분명했기 때문이다.

 

내가 느낀 것? 나에게 꽃다발이 되어준 사람들의 얼굴이 떠올랐다는 것이다. 난 정말 많이 변했다. 피고 지는 걸 반복했다. 세상에 어떤 인간이 N 년 전의 나와 지금의 내가 정신상태가 비슷하길 원한단 말인가. 이건 다들 똑같을 것이다. 이렇게 되기 위해 나는 항상 끝이 분명하다는 걸 알면서도 꽃같이 아름다운 사람에게 많은걸 받으면서 살았다. 이 과정이 아름다웠냐. 아니다. 나는 추해지고 멍청했던 적이 있다. 지금 생각하면 이불을 세게 찰 만큼 창피한 뭐 그런 기억 말이다. 심지어 무엇이든 끝이 있으니 우리 인생은 참으로 심심한 셈이다. 그래도 정말 중요한 건 행복했던 시간이었다. 당연히 매일이 즐겁지는 않았다. 마찬가지로 무기와 키누가 정말 매일매일 행복했을까. 아닐 것이다. 언제는 싸우기도 했겠지. 당연한 사실이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각자에게 남는 건 꽃다발같이 아름다웠던 시간이다. 질 때도 필 때도 있는 게 사람이다. 무엇이든 받아들인다면 편할지도 모른다. 나에게 있어 습관이라고 하는 것도 이런 느낌이다. 꽃을 이쁘게 전시하려고 화분을 직접 만들어 낸 느낌인 셈이다. 시들면 어때. 난 여기서 풍기는 향기 때문에 언제는 하루하루가 즐거웠는걸. 잘 보이고 싶어 비속어를 섞지 않게 됐는걸. 언제든 변할 수 있는 게 사람이다. 그걸 위해서 사람은 물도 주고 햇빛도 줘야 한다. 끝이 있지만 나와 여러분들이 기억하는 건 이렇게 꽃이 피고 지는것처럼 아름다운 시간이다. 어차피 이거 이 글을 읽는 몇 안 되는 독자들이라면 다 안다. 그럼에도 우리가 불구하고 유념해야 하는 건, 분명한 끝이 있다면 이들에게 웃는 모습으로 안녕이라고 말할 수 있으면 참으로 다행일 것이라는, 뭐 그런 거다. 웃으며 기억하자. 그리고 보내주며 스스로에게 되뇌자. 꽃다발 같은 사랑을 했다. 아름답게 활짝 피어날만큼 아름다운 사람들을 만났다. 난 과거의 내 사진을 보며 기적이라고 생각할 만큼 변했다. 이런 나는 꽃다발 같은 사랑을 하며 산 셈이다. 이 글의 주인공이 되어준 이들이 이 글을 볼리는 없겠지만, 그래도 나의 해피엔딩이 되어줘 참 고마운 밤이다.

작성자 . udong

출처 . https://brunch.co.kr/@ddria5978uufm/215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