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세라별2021-10-19 11:43:41

모순되는 분위기 속에서 감정을 증폭시키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들을 좋아하지만 원작은 아직 읽어보지 못햇던 용의자 X의 헌신. 다양한 작품으로 탄생됐지만 단 한번도 원작을 보지 않았었고, 리메이크된 작품들도 보지 않아서 아주 신선한 눈으로 영화 <용의자 X>를 볼 수 있었다.

 

 

 

 

 


 

 

 

 

 

영화 <용의자 X> 시놉시스

 

 

 


천재수학자의 완벽한 알리바이가 시작된다!

 

 

 


천재로 알려졌었지만 현재는 고등학교 수학교사로 평범하게 살아가고 있는 석고는 어느 날 옆집에 이사 온 화선이 우발적으로 전남편을 죽인 것을 알게 된다. 석고는 남몰래 지켜봤던 그녀를 위해 완벽한 알리바이를 설계하고 가장 유력한 용의자인 그녀는 형사들의 추적을 받지만, 놀랍게도 화선은 거짓말 탐지기까지 통과하며 용의선상에서 점점 멀어져 간다. 하지만 이 사건의 담당형사인 민범은 동물적인 감각으로 화선이 범인이라 확신하고 그녀를 집요하게 추적하기 시작한다.

 

 

 


과연, 천재수학자 석고는 어떤 알리바이를 설계한 것일까?
그는 그녀를 구할 수 있을까?
증명하지 않으면, 진실이 아니다!

 

 

 

 

 


*해당 내용은 네이버영화를 참고했습니다.
이 이후로는 영화 <용의자 X>에 대한 스포일러가 존재합니다.

 

 

 

 

 


 

 

 

 

 

왜소함으로 압도적인 연기를 보이다

 

 

 

 

 

사실 압도적이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할 때는 영상미가 웅장하거나 분위기가 웅장하거나 무언가 위에서 짓누르는 듯한 느낌을 받았을 때 압도됐다라는 표현을 쓰는 편이다. 그런데 이번에는 솔직히 달랐다. 영화 <용의자 X>에서의 류승범은 구부정한 허리에 귀를 기울여야만 들리는 아주 작은 목소리를 가진 내성적인 천재 수학자 석고를 연기했다. 그런데 이러한 석고의 모습에서 소스라칠 정도로 서늘한 느낌과 무서운 느낌을 받아서 그의 연기에 압도당한다는 느낌이 들었다. 항상 거대하고 웅장한 것에 압도되다가 이렇게 반대적인 요소에서도 사람을 무섭게 만들면서 영화에 몰입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에 류승범의 에너지가 정말 대단하다고 느껴졌다.

 

 

 

 

 

 

 

 

 

 


 

 

 

 

 

스릴러가 한 스푼 추가된 멜로물

 

 

 

 

 

솔직히 영화 <용의자 X>는 스릴러가고 하기에는 조금 그 결이 다르다. 왜냐면 영화 <용의자 X>는 천재 수학자 석고에 초점을 맞춰서 석고가 어떻게 자신이 사랑하는 화선을 위기에서 구해내는지 추적하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원작 용의자 X의 헌신에서는 천재 물리학자와 형사의 대결이라는 라이벌 구도가 극명하게 보이지만 한국 영화 <용의자 X>에서는 대결이라기 보다는 한 여자를 지키기 위해서 자신의 모든 것을 버린 천재의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었다.

 

 

 


석고는 자신이 죽으려던 날 자신을 문밖으로 꺼내준 화선에게 사랑의 감정을 느끼고 화선의 우발적인 범행을 감싸안는다. 그리고 알리바이를 만들어주면서 화선이 범죄의 용의자 선상에서 벗어나도록 만들어준다. 그 과정에서 석고는 다른사람에게 자신이 화선의 스토커처럼 보이게끔 만들었고, 화선마저 자신을 스토커처럼 생각하게끔 상황을 꾸며낸다. 이렇게까지 자신을 몰아세우면 한 여자를 지켜내고자하는 남자가 어디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굉장히 안타까운 감정이 들었다.

 

 

 


사회와 단절되어 있는 자폐적인 성향을 가진 한 천재 수학자가 사랑을 통해 세상의 빛을 봤지만 결국 다시 자신을 파멸의 길로 이끌면서 그 사랑을 마무리하는 모습이 정말 안타까웠다.

 

 

 

 

 

 

 

 

 

 


 

 

 

 

 

나레이션을 잘 활용한 작품

 

 

 


영화에서 가장 좋았던 부분은 석고의 나레이션을 활용한 부분이었다. 특유의 감정이 없는 듯한 석고의 말투를 통해서 무언가 사실을 전달해주는 듯한 느낌은 관객들로 하여금 석고가 하는 말이 다 사실인 것처럼 느껴지게 만들었다. 하지만 이 나레이션을 통해 전달되는 내용들은 트릭이었고 그렇게 마지막 반전이 밝혀지면서 엄청 소름이 돋았다. 이 반전은 직접 영화를 통해 확인하길 바란다.

 

 

 


감정이 없는 특유의 말투를 통해서 전달되던 트릭이 숨겨진 사실 속에서 반전이 밝혀지면서 오히려 그 감정이 없던 나레이션이 화선을 지켜내고 싶었던 천재 수학자의 절절한 감정이 더 증폭되어서 다가오는 것 같아서 굉장히 타격감이 컸다.

 

 

 

 

 

 

 

 

 

 


 

 

 

 

 

영화 <용의자 X>는 원작을 보지 않았던 나에게 반전과 함께 버무려진 멜로이야기로 굉장히 재밌게 볼 수 있었던 작품이었다. 왜소함에서 비롯된 차가운 압도감, 감정이 없는 말투에숨겨진 절절한 사랑. 이렇게 모순되는 분위기를 잘 풀어낸 작품이었다.

작성자 . 세라별

출처 . https://blog.naver.com/shkwon1128/222523211188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