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름소피2021-11-09 22:36:33
<고스트 버스터즈> 1984년도 작과 2015년도 작 비교하기
1984년도에 나온 아이번 라이트만 감독의 <고스트 버스터즈>와 그를 리메이크한 작품인 폴 페이그 감독의 <고스트 버스터즈>의 가장 큰 차이점인 주인공들의 성별반전이다. 원작에서 주요한 임무를 맡은 이들이 모두 남성이었던 반면에 리메이크 작에선 그 주인공들이 모두 여성이다. 리메이크 작의 감독인 폴 페이그는 자신이 만든 거의 모든 작품에서 여성들이 중심에 있는 영화를 제작해왔다.
1984년도에 나온 이 영화에서 즐길 수 있는 것은 ‘뉴욕 한복판에서 귀신을 퇴치하는 과학자들’이라는 아이디어와 공포의 대상이었던 ‘고스트’들의 나름 귀엽게 캐릭터화된 모습일 것이다. 또한 결말에 등장하는 생각치도 못했던 악당의 등장은 신선하다. 그렇기에 생소한 이야기와 만화적인 캐릭터의 영화적 구현은 관객에게 충분히 매력적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이 영화가 주력하고 있는 또 다른 요소인 코미디의 측면에서는 그 명성에 비해 이렇다 할 즐거움을 느낄 수 없었다. 그 이유는 코미디가 가진 시대적 한계와 더불어 매력적인 캐릭터 구축에 실패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4명 중 중심을 맡고 있는 벤크멘(빌 머레이)은 첫 장면부터 나타내길, 자신의 직무보단 여성에게 더 관심있는 전형적 ‘카사노바’적 캐릭터이다. 따라 그가 지닌 여성편력은 그대로 그의 농담에 적용되고 그가 내뱉는 농담들은 즐거움보단 불쾌함을 선사한다. 또한 다른 주인공들은 서로 다른 개성있는 캐릭터의 모습보다는 ‘귀신을 퇴치하는 과학자들’이라는 타이틀에 소모되는 존재들에 불과하다. 딱히 호감이 가거나 눈길을 끄는 캐릭터가 없는 상황에서 맞이하는 영화의 클라이맥스는 적어도 그 주인공 4명이 느끼는 위기감을 한 관객으로서 함께 느낄 수 없게 한다.
하지만 그 무엇보다 원작에서 아쉬웠던 점은 악마 ‘고저’에 의해 악령에 씌었던 다나 바렛(시고니 위버)을 활용하는 방식이었다. 4명의 주인공이 모두 남자인 이 영화에서 비중있는 캐릭터를 맡은 여성은 다나가 유일하다. 영화 속 여성들은 거의 벤크맨에게 관심있는 여성과 관심없는 여성으로 나뉜다. 다나는 벤크멘이 관심있는 여성에 속했고 그의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영화에서 유일하게 비중있는 여성마저 여럿 영화에서 반복했던 단지 ‘섹슈얼한 이미지’의 여성으로 소비됨을 문지기가 된 다나의 모습에서 볼 수 있다. 다나는 문지기가 된 후 악마의 형상을 하고 공포심을 자아내기 보다는 남성에게 ‘매혹적’인 여성의 모습으로 악마임에도 불구하고 벤크멘에게 성적인 매력을 발산하는데 치중한다. 다나의 역할은 그에 그친다. (극 중 열쇠지기가 되는 루이스(릭 머래니스)와 비교해본다면 ‘굳이, 왜’라는 질문이 떠오를 수밖에 없다) 이러한 모습은 리들리 스콧 감독의 작품인 <에일리언(1979)>에서 강인함과 냉철함으로 무장하여 남근으로부터 파생되는 권력을 상징하는 에일리언과 맞서 싸우는 시고니 위버의 모습을 아는 관객에게 (별개의 작품이지만) 되려 당혹스러움을 선사한다.
리메이크작인 <고스트 버스터즈(2016)>는 원작에서 아쉬웠던 점들을 그대로 전복하려는 듯이 주연들을 모두 여성을 바꾸면서 큰 변화를 주었다. 원작의 많은 부분을 의지하고 있지만 분명한 개별영화로서 원작과는 다른 재미를 준다. 주인공마다의 캐릭터가 확실 해졌고 그로 인해 그들이 주고받는 합에서 오는 개그들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유령의 모습들 또한 시대의 발전으로 더욱 화려해지고 볼만해졌다. 무엇보다 쌍수를 들고 환영하는 점은 영화에서 줄 곧 여성의 역할이라 여겨졌던 ‘비서’의 자리에 남성(크리스 헴스워스)을 배치했으며 이를 계속 활용하여 해학의 요소로 활용했다는 점이다. 그동안 숱한 남성 중심의 코미디 영화들은 여성을 ‘멍청한 금발미녀’의 스테레오타입에 가두고 남성을 보조하는 역할만을 맡게 했으며 능력보다는 외적인 모습을 강조함으로 여성을 눈요기감으로 전락시켰다. 이 영화는 바로 그 자리에 최근 할리우드에서 남성미로 대표되는 배우를 대입시켜 영화사의 전적들을 비꼬는 장치로 영화에 활용한다. 이 탁월한 미러링은 영화를 보는 내내 통쾌함으로 이어진다.
원작의 팬층이 두터웠던 사실만큼이나 중요한 사실은 영화 속 캐릭터인 고스트 버스터즈를 흉내내고 꿈꿀 수 있는 이들은 거의 대부분이 남성으로 한정됐었다는 것이다. 누구나 자기가 만난 영화 속 캐릭터를 내면화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본다면 이는 원작이 가진 분명한 한계점이다. 리메이크 작은 단순히 남성판이 있기에 만들어진 여성판을 만들고자 했던 것이 아닌 듯하다. 자신만의 개성으로 무장한 이 히어로들은 그동안 ‘여성’이라는 이유로 부여되었던 클리셰들을 반복하지 않는다. 누구와도 사랑에 빠지지 않고 ‘엄마’나 ‘아내’의 역할에 구애받지 않은 채 오롯이 자신의 욕망과 목표를 실행한다. 외적인 모습 또한 많은 대중들의 머리에 각인된 ‘여성미’ 따위를 충족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보여 진다. 이는 여성에게 더 자유롭고 다양한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고 내면화할 기회를 준다. 개인적으로 영화에서 부당하게 그려졌던 여성에 대한 인식이 자라나기도 이전인 무려 5년 전에 이 영화가 코미디 장르를 등에 업고 관객에게 유쾌한 농담을 던졌다는 것은 놀라웠다. 이는 영화에 대한 완성도와는 별개로 더 많은 사람들과 같이 이 영화를 ‘즐기고’ 싶게 하는 이유가 되었다.
출처 . 필름소피_강민경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