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뚜로빼뚜로2021-11-18 00:12:47
각자의 속도로 걷다 보면
영화 <행복의 속도>(2021) 리뷰
스물한 살, 휴학계를 내고 삼십만 원 정도 하는 자전거를 샀다. 다이소에서 대충 물건을 사들고 나와 어설프게 장비를 꾸려 길을 떠났다. 5개월 정도 이어진 전국 자전거 여행의 야심 찬 출발은 이렇게 허술했다. 6월 말, 장마의 시작과 함께 30킬로 가까운 짐을 이고 바퀴를 굴릴 수 있었던 것은 스무 살의 패기와 에너지로만 가능했던 무모한 도전이었다.
장마가 끝나고 내리쬐는 태양, 올라오는 아지랑이에 수십 번 돌아갈까 고민하며 느릿느릿 무거운 공기를 뚫고 작은 마을을 지나갈 때였다. 저기 멀리서 어떤 사람이 걸어오길래 동네 분인가 생각하며 무심코 지나가는데, 서서히 한 청년의 모습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검게 그을린 팔다리, 흰 민소매를 입고 씩씩하게 걷는 청년의 까만 백팩 위에 ‘국토대장정’이라고 쓰인 빨간 깃발이 작게 휘날리고 있었다. 너무 반가운 마음에 엄지를 치켜세우자, 그 청년도 밝게 웃으며 ‘엄지척’으로 인사를 되돌려주었다. 알 수 없는 기쁜 마음이 솟아올랐다. 그리고 한동안 서로의 인사를 되새기며 다음 목적지를 향해 힘차게 발을 굴렀다.
하루에 길게는 120킬로 이상까지 자전거를 타고, 도저히 발이 떼어지지 않아 엉엉 울면서 억지로 끌기도 했던 날들. 폭우를 뚫고 초등학교 운동장 정자에서, 공원 화장실에서 말 그대로 지붕만 있으면 짐을 풀고 하룻밤을 보내던 당시의 기억들. 그때의 영상들은 희미해지지도 않고 여전히 나의 몸 어딘가 남아, 장마가 시작되면 다시금 눈앞에 펼쳐지곤 한다. 그럴 때면 그 청년의 하얀 건치 미소가 함께 떠오른다. 자전거에 의탁해 그의 속도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나아갔겠지만 나는 항상 필요 이상으로 무거운 짐에 휘청거렸기에, 그때 그 모습이 살짝은 부러웠기 때문일 것이다.(물론 그 청년도 나를 보면 그랬겠지..) 악명 높은 한계령과 미시령을 넘으며 어느 순간 무거운 짐을 하나둘 덜어내고, 제주도에 도착해서 동고동락한 자전거를 내려놓으면서 비로소 주변을 둘러보며 걸을 수 있었다. 목적지까지 다 오고 나서야, 나만의 속도를 찾을 수 있었던 것이다.
영화 <행복의 속도>는 잠시 10년 전의 사진을 들춰보도록 한다. 자전거의 속도로 담지 못하는 절경이 아까워 멈춰 서야 했던 그때의 나처럼, 감독 역시 자신이 담아낼 장소가 숨 쉬는 매 순간을 아쉬워한 듯하다. 그곳을 가장 느린 속도로 걷는 이의 눈으로 ‘오제 국립공원’의 사계를 담은 것을 보면.
이곳을 매일같이 걷는 이들은 봇카 <ぼっか>라고 불린다. 생소한 일본어 직명에 궁금해져 사전을 찾아보니, ‘걸음 보(歩)’에 ‘멜 하(荷)’자를 써, 도보로 짐을 지고 운반하는 사람, 특히 일본 중부 산악 지대의 산장에 물자를 운반하는 사람을 지칭한다고 한다. 이들은 많게는 70킬로 이상의 짐을 메고 해발 1500m에 위치한 372㎢ 달하는 자연공원의 유일한 통행로인 목도(木道)를 지나 자신들을 손꼽아 기다릴 산장을 향해 발걸음을 옮긴다. 일찌감치 겨울이 찾아오고 또 느리게 물러가는 오제의 설원. 그 위에 가장 먼저 발자국을 남기는 이도, 또 등 뒤로 잠시 멈춰있을 그곳에 안녕을 전하는 이도 봇카들이다. 그들의 삶의 주기는 다채롭게 변하며 생명력을 뿜어내는 오제의 숨결과 함께 일궈진다.
이곳을 매일같이 걷는 이들은 봇카 <ぼっか>라고 불린다. 생소한 일본어 직명에 궁금해져 사전을 찾아보니, ‘걸음 보(歩)’에 ‘멜 하(荷)’자를 써, 도보로 짐을 지고 운반하는 사람, 특히 일본 중부 산악 지대의 산장에 물자를 운반하는 사람을 지칭한다고 한다. 이들은 많게는 70킬로 이상의 짐을 메고 해발 1500m에 위치한 372㎢ 달하는 자연공원의 유일한 통행로인 목도(木道)를 지나 자신들을 손꼽아 기다릴 산장을 향해 발걸음을 옮긴다. 일찌감치 겨울이 찾아오고 또 느리게 물러가는 오제의 설원. 그 위에 가장 먼저 발자국을 남기는 이도, 또 등 뒤로 잠시 멈춰있을 그곳에 안녕을 전하는 이도 봇카들이다. 그들의 삶의 주기는 다채롭게 변하며 생명력을 뿜어내는 오제의 숨결과 함께 일궈진다.
이곳을 매일같이 걷는 이들은 봇카 <ぼっか>라고 불린다. 생소한 일본어 직명에 궁금해져 사전을 찾아보니, ‘걸음 보(歩)’에 ‘멜 하(荷)’자를 써, 도보로 짐을 지고 운반하는 사람, 특히 일본 중부 산악 지대의 산장에 물자를 운반하는 사람을 지칭한다고 한다. 이들은 많게는 70킬로 이상의 짐을 메고 해발 1500m에 위치한 372㎢ 달하는 자연공원의 유일한 통행로인 목도(木道)를 지나 자신들을 손꼽아 기다릴 산장을 향해 발걸음을 옮긴다. 일찌감치 겨울이 찾아오고 또 느리게 물러가는 오제의 설원. 그 위에 가장 먼저 발자국을 남기는 이도, 또 등 뒤로 잠시 멈춰있을 그곳에 안녕을 전하는 이도 봇카들이다. 그들의 삶의 주기는 다채롭게 변하며 생명력을 뿜어내는 오제의 숨결과 함께 일궈진다.
오제를 향한 사심이 가득 담긴 4k 영상을 넋 놓고 보고 있노라면 자연스럽게 감독이 왜 봇카의 속도로 오제를 바라보고자 했는지 느껴진다. 감독은 봇카의 삶을 통해 숭고한 노동의 가치라는 다소 거창한 의미를 강조하지 않는다. 이제는 이곳의 베테랑이 된 ‘이가라시’가 15년 전 작은 술집에서 통기타를 치며 자신을 소개하는 홈비디오로 오프닝 시퀀스를 대신하며, 감독은 그들의 삶이 그저 하루하루를 ‘쓸모 있게’ 살아가고자 하는 우리의 소소한 일상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넌지시 일러둔다.
봇카들은 10년 이상을 걸어온 길이라도 서두르지 않고 한 걸음 한 걸음 차곡차곡 걸어야 한다는 기본적인 원칙을 지키며 짐을 나른다. 자신의 속도로 좁은 목도를 천천히 걸어가는 이들의 하루하루가 쌓이는 속도로 오제는 변화한다. 그렇게 그 매일의 - 어쩌면 누군가에게는 무겁고 지루한 일상일지라도 - 변화를 체득하며 자신의 역할을 다 하는 것. 만약 영화를 보며 그들의 삶이 숭고하게 느껴진다면 이는 단순히 그들이 고된 육체노동을 한다거나, 위용을 뽐내며 순식간에 몇 배 되는 짐을 옮겨버리는 헬기가 곧 그들의 자리를 대체한다는 불안에도 불구하고 그 자리를 지켜내서가 아니라, 바로 모든 변화를 음미하며 "단 한순간도 같은 삶을 살고 있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지게 끝에 달려 있는 '이가라시'의 카메라에는 그의 걸음으로만 담아낼 수 있는 화원의 일기가 쓰여있다. 계절이 순환하고 오제의 수호신인 할미새가 어느덧 가까이에서 소식을 전한다. 앞으로 커나갈 아이들과 생계를 걱정하면서도 다시 지게를 지고 걸어가는 그들의 발을 가까이에서 보고 있자면, 오제의 목도를 그 속도로 나란히 걷고 싶어 진다. 글로는 다 담아내지 못할 그곳을 당신도 꼭 함께하길 바라며.
PS)
인도와 네팔 여행에서 만난 봇카들의 속도도 느껴보시길 바란다. 먼지 쌓인 외장하드의 소리까지 꺼내 들게 만드는 <행복의 속도>의 영상미를 더욱 확인하고 싶어질 것이다. :D
* 해당 리뷰는 씨네 랩(CINE LAB) 크리에이터 시사회 참석 후 작성하였습니다.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