죠습니당2021-02-27 00:00:00
취미가 업이 된다면? <비긴 어게인>
영화 <비긴 어게인>
영화 <비긴 어게인>
댄은 음반 프로듀서이다. 그냥 프로듀서도 아니고, 실력 있는 음악인을 발굴해 키워낸 전적이 있는 전문가다.
그러나! 테스트용 CD 꾸러미를 신경질적으로 훑고 CD꾸러미에서 이거다! 싶은 음악을 찾지 못해 분노한 나머지
차창 밖으로 CD를 다 내팽개친다.
그가 하는 행동에서는 프로다운 여유나 인내심이 보이지 않는다.
프로페셔널한.... 댄?
영화 <비긴 어게인>은 크게 두 인물의 시점으로 진행된다.싱어송라이터 그레타, 음반 프로듀서 댄.
댄의 시점으로 영화가 진행되기 시작할 때, 시청자가 마주하는 댄의 모습은 흔히 '어느 분야의 프로페셔널'이라고 떠올리는 이미지와는 사뭇 거리가 멀어 보인다.
좁고 지저분한 아파트에서 힘겹게 눈을 떠서 옷을 챙겨 입고 에너지 넘치는 걸음으로 일터로 향하...
지 않고! 다시 누워 잠을 청한다.
한 잠을 더 자고 일어나서도 여전히 피곤한 상태로, 한 손에는 테스트용 CD꾸러미를 들고 나선다.
믿음직스럽지 않은 생활환경과 행동이 영 '프로답지 않아'보이던 댄.
그런데, 그날 저녁, 바에서 그레타의 연주에 상상 속 소리를 입히는 모습을 본다면 생각이 달라질 것이다.
이 사람, 진짜 (프로+전문가) 구나!
영화 첫 장면, 기타 반주만으로 담담하게 들려오던 그레타의 곡.
댄은 그 곡에 피아노와 첼로 멜로디까지 얹어서 뇌내 편곡한다.
영화 비긴 어게인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특선영화 등으로 다시 보게 될 때, 댄의 모습을 볼 때마다 상상해본다. 저 사람도 한때는 음악을 취미로만 여기던 사람이 아닐까?
취미를 본업으로 삼는다면, 하고 싶은 대로 하던 때와는 전혀 달라진다.
목표로 삼은 기간 내에 특정한 질적 수준을 달성하려면 자신을 쥐어 짜내게 된다. 댄은 그 방법이 알코올이었다.
영화 속에서 댄은 말한다. 술에 취해야만 마법이 벌어지고, 그제야 음악이 제대로 들리기 시작한다고.
취미가 직업이 된다면 어떨까?
대학생 때, 친한 동기가 취미생활을 한 가지 추천해줬다.바로 게임 실황 시청하기! : 누군가가 게임하는 걸 보는 것. 내가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게임 영상을 보는 것이다.
처음에는 시험 스트레스를 풀 겸, 깜짝 놀라는 소리와 영상으로 잠 깰 겸. 겸사겸사 공포 게임 실황으로 시작했다. 보다 보니 흥미가 생겨서 이 게임저 게임으로 옮겨가고, 방송자도 골라보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어느새 게임 크리에이터의 팬미팅 추첨에도 응모했고, 어쩌다 보니 당첨이 되어서 팬 미팅에 참여했다.
그 팬미팅에서, 크리에이터는 말했다.
좋아하는 취미를 일로 삼을 수 있다는 용기를 불어넣어줬다.일을 하면서 어려움도 분명 있다고 말했지만, 그럼에도 그 사람은 자신감이 넘쳐 보였다. 그래서 나는 '저 사람은 천직을 찾아서 하는 사람이구나, 행복해 보인다' 하고 생각했다.
그런데, 과연 취미를 업으로 삼는 사람들이 모두 행복할까?그 팬미팅에 갔을 즈음에는 '나도 행복할 것 같다'라는 생각을 했다.
내게 있어서 취미란 휴식, 여가다.
그게... 취미니까 (끄덕)
꼭 경험을 해봐야만 알게 되는 것들이 있다. 난 취미를 직업으로 삼는 것에 대한 답을 경험을 해보고 나서야 알았다.
수개월간 공연 생각하며 눈을 뜨고, 공연을 위한 훈련을 하루 종일 하고, 공연 공부를 하다 잠드는 생활을 해보면서 깨닫게 되었다. 내 취미와 일의 경계를 그어 놓는 삶이 편하다는 것.
공연 관람이 공부시간이 되고,영화 관람이 보충수업이 되는 삶은 힘들었다.
공연을 취미로 남겨둬야 내가 삶 속에서 편안함과 행복함을 느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시뮬레이션
: 취미가 일이 된다면 벌어지는 상황
한 번은 연극에 관한 강의에서 지정 공연을 관람하고 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마침,학과 친구와 함께 수강하던 강의라서 어떤 공연 일까 유명한 작품이던데 하고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하며 공연장으로 향했다.
세일즈맨의 죽음(2013), 극단 성북동 비둘기
단이 없는 무대와 무대를 둘러싼 객석 형태, 무대 중앙에 있는 트레드밀과 그 위를 거의 공연 내내 뛰는 주연배우의 모습은 너무 신선했다. 마침 그 날은 공연 후에 관객과의 대화를 진행하는 날이어서 그 이벤트까지 참여했는데 시간 역시 다른 의미로 엄청났다.
배우 혹은 연출가와 팬의 가벼운 이야기가 오간 것이 아니라, 굉장히 열정적인 질의응답이 진행되었다. 관람자 대다수가 공연을 공부하는 학생들이었기 때문이었다.
연극의 구성과 원작의 해석, 작품에 등장한 소품과 장치에 대한 심도 있는 질문이 제작진들에게 향했다.
심지어 연출가는 이런 대답도 두어 번 했다.
본업이 아닌데도 남아있는 흔적
그때 마주쳤던 관객 동기들, 그 열정적이던 질문자들만큼은 아니지만 공연에 꿈을 두고 활동하다 보니 점점 상상 속 세계로 빠져드는 게 더 어려워졌다.
조명이 안 켜진 것, 어떤 소품이 치워지지 않은 것 등이 눈에 더 띈다. 공연 관련자로 가는 트랙을 벗어난 지금도 여전하다.
조명과 무대장치, 배우들의 연기를 통해 극 속으로 몰입하는 게 어렵다.
그래도 다른 편으로 본다면, 단 한 번 볼 수 있는 작품을 예전보다 섬세히 관찰할 수 있게 된 것이기도 하다.
지나가는 장면과 대사도 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극을 더 분석적으로 감상하고 이해하고 곱씹어보는 습관을 얻었다.
이런 '업으로 삼고자 했던 흔적들'을 다른 분야에서 어떤 방법으로 쓸 수 있을까?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