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am your bunny2022-03-03 22:24:52
<나이트 레이더스>, 결국 그들을 구원해 낸 것은 그들 자신이었다.
현실과 맞닿아 있는 부분이 많은, 조금은 색다른 디스토피아 영화
- 씨네랩으로부터 초청받아 <나이트 레이더스> 시사회를 관람한 후 작성한 리뷰글입니다. 스포일러가 담겨 있습니다. -
나는 디스토피아 영화를 좋아한다.
현실에서 만나볼 수 없는 세상, 그리고 그 세상 속에서 어떤 억압이나 규제를 받으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
하지만 이러한 삶들 속에서도 항상 희망과 구원은 나타나기 마련이다.
어떤 한 개인에 의해서, 혹은 개인이 여럿 모인 단체에 의해서 이 디스토피아적인 세상에는 균열이 일어나고, 결국은 희망이 온 세상을 뒤덮게 된다.
이런 이유들로 디스토피아 영화를 꾸준히 찾곤 한다. 인간의 이기심으로 인해 버석하고 어둡게 변한 세상이 다시 인간으로 인해 구원받게 되니까.
서기 2043년, 캐나다 북부는 독재국가 '에머슨'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이 독재국가는 새로운 전쟁을 일으켜 대제국을 세우려고 한다. 대제국을 세우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시민권이 없는 어린 아이들을 납치하여 '인간병기'로 양성하고자 한다. 이에 반대하며 '니스카(엘레 마이아 테일페데스)'는 딸 '와시즈(브룩클린 르텍시에 하트)'를 데리고 외딴 숲에서 숨어 지낸다.
하지만 독재국가의 감시자 역할을 하는 드론을 도망쳐 다니다가 와시즈는 다리를 다치게 된다. 감시는 점점 더 그들을 옥죄어오고, 와시즈의 상처는 깊어져만 가서 결국 니스카는 딸 와시즈가 독재국가 에머슨에 끌려가도록 내버려둔다. 독재국가 에머슨에 끌려가면 강제로 군사교육을 받고, 인간병기로 길러지지만 그곳에서는 안전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딸을 잃은 뒤, 스스로를 자책하며 살아가던 니스카는 독재국가에 대항하며 숲에서 지내던 캐나다 북부의 토착민 '크리족'을 만나게 된다.
크리족은 그녀를 구원자, 수호자라고 믿었고, 그녀는 크리족의 도움을 받아 '아카데미'에서 인간병기로 길러지고 있는 딸을 구출하고자 한다.
같은 시간, 딸 와시즈는 아카데미에서 아이들에게 '하나의 국가, 하나의 언어, 하나의 국기'라는 애국강령을 매일 반복하여 외우게 하는 등의 군사교육과 정신교육을 주입받고 있었다. 이 독재국가는 어린 아이들을 전선에 투입시키기 위해 강제로 학교에 소집하고, 남은 어른들에게는 바이러스가 담긴 음식을 유포하여 죽게 만들고 있었다.
이 장면들을 보며 묘한 기시감이 들었다.
이 땅에 살고 있던 기존 토착민들의 전통과 역사는 무시해버리고, 자신들의 사상만 주입시키려는 모습.
가치관을 형성해나가는 중요한 시기의 어린 아이들을 대상으로 어긋난 교육을 하고 있는 모습.
지난 우리나라의 역사에서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모습이다. 우리나라를 침략하여 모든 권리를 장악한 나라가 자기들만의 구실을 내세워 '교육'을 식민지 지배의 수단으로 삼던 모습. 우리나라의 역사를 무시한 채 자신들의 역사만 주입시키려던 모습.
이 영화는 이렇게 유난히 더 현실과 맞닿아 있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니스카도, 와시즈도 가만히 있지만은 않았다. 니스카는 딸 와시즈를 구하기 위해 크리족과 함께 아카데미를 찾아갔으며, 와시즈 또한 함께 갇혀 있던 아이들을 데리고 아카데미를 빠져나가려고 했다.
독재국가 에머슨에 맞서 싸우겠다는 일념 하에 이들은 모두 용맹하게 움직였고, 결국 와시즈와 아이들을 구출하는 것에 성공해냈다.
이는 단순히 한 어머니가 자신의 딸을 구하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독재국가가 그렇게 용을 써서 어린 아이들을 모으려고 했던 이유는 아직 덜 성장한 이들을 대상으로 획일화된 주입식 교육을 하여 자신들에게 유리한 가치관을 형성해내기 위해서였다. 더불어 어린 시절부터 군사훈련을 받아 '자신들만의 인간병기'를 만들어내기 위해서였다.
결국 니스카와 크리족은 이렇게 미래사회의 주역인 아이들을 구출해냄으로써 독재국가의 계획을 무너뜨렸다.
뿐만 아니라, 이는 토착민의 문화와 역사, 삶을 지켜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영화의 초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와시즈는 남들보다 드론에 대해 더 잘 안다. 그리고 이는 영화의 후반부, 토착민들을 공격하기 위해 투입된 독재국가의 여러 드론들을 조종하는 와시즈의 모습과 이어진다. 와시즈는 자신의 능력으로 드론을 토착민들에게 유리하게 움직이도록 조종했으며, 토착민들은 이런 니스카와 와시즈를 보호하며 국가에 맞서 싸우고자 한다.
'그 아이를 데려온 건 그의 어머니였다.
그들은 북쪽에서 부족을 지키기 위해 온 것이다.
우리는 그녀를 수호자라고 부른다.'
결국 이 땅의 원래 주인인 토착민들을 구원하는 것은 그들 자신이었다.
드론을 조종하는 와시즈와 그녀를 데려온 엄마 니스카를 통해 사람들은 희망을 목격했고, 다함께 힘을 합쳐 단결하는 과정을 통해 결국은 그 희망을 스스로 이루어내기 시작했다.
영화를 곱씹다보면 현재 국제사회의 모습이 계속 떠오르곤 한다.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한 나라를 망가뜨리고, 그 나라의 사람들을 고통에 몰아넣는 모습.
오히려 이 영화보다 현실이 더 고통스러울 정도이다.
하지만 내가 이런 영화를 다 본 후에 항상 생각하는 것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맞서 싸워야 한다.
실제로 영화에서 한 토착민은 이런 대사를 한다.
'식민 지배자와 싸우다 죽는 것도 나쁘지 않다.'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지배를 강요하는 국가를 무너뜨릴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우리들의 굳은 의지와 용맹하게 맞서 싸우고자 하는 태도'이다.
현재의 나를 위해, 우리 가족을 위해, 그리고 먼 훗날 이 나라에서 살아갈 아이들을 위해 지켜내야 한다.
이 영화는 이렇게 치열하게 싸워나가는 사람들의 모습과 결국은 희망을 마주하는데 성공한 사람들의 희열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섬세한 감정선과 스릴감을 지닌 <나이트 레이더스>는 이전까지 우리가 자주 접한 디스토피아 영화와 닮은 부분도 있지만, 그 결이 조금은 다른 영화이다. 현실과 맞닿아 있는 부분도 많은 이 영화를 꼭 영화관에서 관람하길 바란다.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