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이정2022-05-15 23:47:41
닮은 조각을 가진
영화 <파리, 13구> 리뷰 (자크 오디아르 감독)
사별이 기본이요, 못해도 불치병 정도의 장애물 정도는
놓여야 절절한 사랑이라 할 수 있었던 90년대 뮤직비디오로 길러져서 그런 걸까. 아니면 유교걸에 교회피플로 자라난 내 마음이 사실 극도의 보수를 지향하고 있던 걸까. 이유는 모르겠지만 나는 쿨한 현대 젊은이들의 '청불' 멜로를 별로 안 좋아한다.
쿨하지 못해도 할 수 없다. 몸이
마음보다 개연성을 먼저 가져 버리는, 눈만 마주쳤는데 갑자기 분위기가 달아오르고 사랑이 시작되어 버리는 (때로는 심지어 사랑도 아닌) 전개를 나는 잘 받아들이지 못한다. 멜로란 자고로 감정선이 국밥처럼 절절해야 (그러나 그 표현은 애틋하고
산뜻해야) 하지 않겠냐는 취향을 갖고 있다.
심지어 그런 영화가 국적이 프랑스라면? 내 마음에 계신지도 몰랐던 흥선 대원군이 부스스 무덤 박차고 일어나는 소리가 들린다. 그러므로 원래는 내가 볼 영화가 아니었던 <파리, 13구>를, 보게 만든 한 마디가 있었다.
각본에 셀린 시아마 참여했대.
셀린 시아마가 누구인가.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으로 칸 영화제에서 각본상을 수상한 감독, 그 후 전작들이 역주행 개봉하고 블루레이 출시까지 금방 될 만큼 국내에서도 사랑받는 감독이다. 그의 영화를 논할 때 가장 많이 언급되는 말은 "여성의
시선female gaze"이다. 여성의 몸을 이야기하는
영화가 많음에도, 음험하게 착취하는 시선이 없다. 심지어
육체를 성적 대상화할 수밖에 없는 성애 장면을 촬영할 때에도, 성적 대상화만을 위한 대상화는 없다. 셀린 시아마의 이야기는 그 편안한 시선 안에서 겹겹이 풀어진다. 육체만
이야기하는 게 아니라 그 너머에 다른 이야기들이 함께 있다.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도 그랬고, 좋은 영화들이 대부분 그렇듯이.
그러니 <파리, 13구>를 기대할 수밖에 없었다. 외로운 현대 청춘들의 청불 멜로지만, 단순한 육체의 부딪힘 그 이상의 파장을 품고 있을 거라고.
<파리, 13구>는
흑백영화다. 영화가 시작되면 흑백으로 도시의 전경이 펼쳐진다. 세상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도시 중 하나일 테지만, 수많은 영화에서 다룬 도시이지만, 여태까지 봐왔던 낭만적인 색감의 파리가 아닌 흑백 속 낯선 대도시가 있다.
창문 속으로 각 집 칸칸이 스쳐 지나간다. 규모 있는 도시라면 어디에나 그렇듯, 창문으로 분절되어 있는 각각의
칸에, 각자의 취향대로 비슷한 듯 다르게 펼쳐져 있는 공간. 제각각의
이야기를 품고 단절된 사람들. 외로움이 솟아오르기 너무 쉽게 설계된 이 도시에서, 인물들은 스치고 만난다. 미국 그래픽노블 작가의 단편 세 편을 각색했다는
이 영화는, 그 스치고 만나는 사람들 사이 얼마간의 시간을 감각적으로 포착한다.
에밀리는 콜센터 일에도 크게 흥미가 없고, 언제든 폭발할 준비가 된 시한폭탄 같은 성격도 갖고 있다. 반대로
교사 일을 잠시 멈추고 학위를 따려는 계획을 가진 카미유는 적당하게 여유 있는 사회인의 삶을 표방하고 있다. 두
사람은 금방 불이 붙지만, 이 관계에서 사랑을 원하는 에밀리와, 연애는
하지 않는다며 적당하게 선을 긋는 카미유의 반응이 엇갈린다.
다른 한 축에는 노라와 앰버 스위트가 있다. 인터넷에서 1:1 영상통화로 성인방송을 하는 앰버 스위트는 금발
단발 가발을 쓰고 방송을 진행한다. 법대생 노라는 학교를 한동안 쉬고 고향에서 부동산 일을 하다가 오랜만에
복학했다. 미묘한 배척의 정서를 느끼지만 그래도 학교를 열심히 다녀보려고 애쓴다. 그 일환으로 파티에 간 날, 평소와 달라 보이려고 뒤집어쓴 금발
가발 때문에 앰버 스위트로 오해를 받게 되면서 학교 생활이 어그러진다.
그떄부터 날아드는 수군거림, 각종
성희롱 메시지에 고통받던 노라는 어느 날 앰버 스위트의 방송에 접속해 묻는다. 금발 단발 가발을 쓴
자신이 정말 앰버 스위트와 닮아 보이는지. 거기서부터 두 사람의 대화가 시작된다.
이들의 이야기는 둘과 둘의 이야기로 뚜렷하게 막을 가른 옴니버스라기보다, 그냥 도시를 걷는 사람들의 이야기답게 은근하게 얽혀 있다. 각자의 사정을 안고 스치고, 만나고, 헤어지고, 탐하고, 밀어내고, 눈빛을 주고받는 인물들의 이야기다. 에밀리와 카미유의 이야기가 좀더 전통적인 멜로 드라마의 스토리라인에 가깝지만, 개인적으로는 노라와 앰버 스위트의 이야기 쪽이 더 마음에 들었다. 그러나 가장 마음에 들었던 건 운명적 사랑의 발견 이야기가 아니었다는 점이다.
단절된 공간으로 가득한 도시는 사랑마저 부유하는 외로운 공간이다. 거기서 운명적 사랑을 찾아 마무리된다는 결말은, 적어도 이 영화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현재에서 알콩달콩 혹은 티격태격 이어진 시간 끝에 밝고 아름다운 미래를 상정하는 결말로 끝나는 사랑은, 대도시에서는 이미 판타지 장르로 편입되었다. 로맨스 판타지 장르가 유행하고 있는 현대 서울처럼.
<파리, 13구>는
현재의 사건과 대화를 통해 인물들을 밝은 미래로 보내는 게 아니라, 현재 인물을 둘러싼 배경을 통해
과거를 대충 예단하게 한다. 대만계인 에밀리의 가족을 통해, 카미유의
가족을 통해, 그들이 처한 상황을 통해. 그 안에서 이들이
사랑에 보이는 태도를 개략적으로 이해시킨다.
사랑을 원했던 에밀리, 사랑을
몰랐던 카미유, 사랑이 두려운 노라, 사랑이 값비싼 앰버
스위트. 인물들의 상황과 태도는 각기 다르지만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
가벼워 보이는 안에도 절실한 무언가가 있다는 것. 우리 다 그렇듯이.
정답 같은 관계가 있을까? 거의 '첫눈에 반한다는 말을 믿어요?' 같은 질문이다. 사람마다 답이 다를 수밖에 없고 정답은 없을 질문. 첫눈에 반한다는
것도 믿지 않는 (그래서 한 번의 눈맞춤으로 개연성을 해결하는 멜로 영화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나는, 이 질문에도 아마 없지 않을까 대답한다. 운명 같은 사랑을 만날 수는 있겠지만, 그 사랑이 모든 공허를 메우는
인생의 치트키일 수는 없을 것이다. 인간 본원적인 고독과 각자 져야 하는 1인분의 짐이 있으니까.
같은 맥락에서 플라톤의 <향연>을 믿지 않는다. <헤드윅>을 재미있게 보았지만, 오래 전 형벌을 받아 갈라져 나온, 한때 하나였던 둘이 다시 만나는 과정이 사랑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내가
생각하는 사랑은 오히려 같은 조각의 상처를 가진 사람들이 서로를 알아보는 것에 가깝다. 인간 본원적인
고독과 각자 져야 하는 1인분의 짐 앞에서, 서로를 다독일
수 있는 옆사람의 존재.
보다가 문득 '그러고 보니 프랑스에서는 <아가씨>도 청불이 아니라고 들었던 것 같은데...' 하고 오래 전에 주워들은 얘기를 떠올릴 만큼, 성애 장면의 수위가 높다. 그러나 음험한 착취의 시선은 없으며, 몸의 대화 못지 않게 말로도 많은 대화를 나눈다. 그래서일까 어떤 면에서는 작고 섬세한 버드키스를 닮았다. 이렇게 보면 나의 멜로영화 취향에서 그렇게 많이 벗어나는 영화도 아닌 것 같다. 가장 절절한 마음을 산뜻하고 애틋하게 표현하는 멜로영화 못지 않게, 이 영화도 여린 마음 깊은 데 있는 속살을 연민이나 유난 없이 산뜻하게 드러낸 영화였다.
이런 섬세함은 플롯 외의 면에서도 빛난다. 주요 인물들의 다양한 인종 또한 구색 맞추기가 아님을 느낄 수 있고, 나이나
성별을 이유로 불필요한 위계가 작동하지 않는다. 작은 데서도 미묘하게 편안하다. 예를 들어 카미유가 여동생에게 타박 주는 말을 던졌을 때, 아빠가
나서서 열여섯살 동생에게 필요한 건 응원이라며 "네 의견 하나도 안 중요하다"고 말한 순간. 짧은 장면이었지만, 한국인 입장에서 보자면 장남이고 오빠고 없이 그 의견 자체에 대한 평가만을 하는 순간 미묘한 편안함이 있다.
내가 느끼지 못한 편안함이 아마 더 많이 있었을 것이다. 이 영화와 닮은 조각을 가진 사람들이 느꼈을 편안함. 한국에서 보편적인
정서가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흘려보내기엔 아쉽다.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습니다'의 운명적 이야기에 감응이 없어도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고 싶고, 보편적인
정서에서 소외감을 느꼈지만 소외되고 싶지 않았던 누군가에게, 분명 버드키스를 건네줄 영화라 믿는다.
*온라인 무비 매거진 씨네랩을 통해 시사회에
초대받아 감상 후, 작성하였습니다. :-)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