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세라별2022-06-19 13:53:19

[제10회 서울국제어린이영화제 추천작] 5000년 전 신화 이야기를 21세기에 적용한다면?

영화 <비스트 오브 아시아 - 페어 트레이닝, 핸드폰, 새엄마>

 

 

 

 

키즈도슨트라는 프로그램으로 초등학생들이 해당 영화가 어떤 내용이고 자신의 해석을 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던 영화 <비스트 오브 아시아>. 초등학생의 시선으로 바라본 신화 이야기는 어떨지 기대를 많이 했었는데, 짧은 소개였지만 아이들의 고민과 그 나이대만이 가질 수 있는 가족과의 관계에 대한 생각을 접할 수 있어서 좋았던 시간이었다.

 

 

 

 

 

영화 <비스트 오브 아시아> 시놉시스

 

 

 

 

 

영화 <비스트 오브 아시아>는 EBS에서 기획한 12개국 국제공동제작 어린이청소년 시리즈물이다. 각 나라의 신화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아이들의 목소리를 담아냈다. 3개의 단편 영화를 묶어놓은 이번 상영에서는 한국의 단군신화를 모티브로 건강한 경쟁관계를 그린 <페어트레이닝>과 인도의 선악신화를 통해 자아를 찾아가는 <핸드폰>, 부탄의 검은목 두루미 신화 모티브로 가족의 부재를 위로하는 <새엄마>까지 총 3개의 단편 작품이 소개되었다.

 

 

 

 

 

* 해당 내용은 서울국제영화제 공식홈페이지 소개를 참고했습니다.

 

이 이후로는 영화 <비스트 오브 아시아>에 대한 스포일러가 존재합니다.

 

 

 

 

 


 

 

 

 

 

2등을 하면 공부도 그만둘꺼야?

 

 

 

 

 

올림픽에서 선수들을 바라보는 시각이 많이 바뀌어가고 있지만, 과거에는 금메달만을 바라보는 경우가 많았다. 오죽하면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라는 말이 있을까. 양궁선수 은호와 루나는 소년체전과 전국체전에서 나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 단군신화 속 곰과 호랑이처럼 짝이 되어 훈련을 받는다. 그리고 페어 트레이닝을 하면서 라이벌이자 적이라고 생각하면서 서로에게 상처를 주게 된다. 저 아이가 나를 이겨 버린다면 나는 필요없는 존재가 되어버린 것 같고 인생의 방향을 잃어버린 것 같다는 파괴적인 경쟁심에 빠져버린 은호와 루나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데, 그 과정에서 이들의 친구가 한 마디를 한다. ‘양궁을 좋아하는 거 아니었어? 양궁 그만두면 뭐할껀데? 공부도 열심히 했지만 2등을 하면 그것도 그만둘꺼야?’ 이 말 한 마디가 경쟁이라는 개념을 명확하게 알려주고 있었다.

 

 

 

 

 

경쟁이라는 것이 결과적인 목표가 남을 이기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나의 성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을. 누군가를 이겨야한다는 목표는 자기 파괴적으로 이어질 뿐이고, 타인과 겨루는 과정에서 승부가 아닌 전보다 더 성장한 나에 방점을 찍어야 지속적으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물론 이 말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쉽게 실행할 수 없는 말이긴 하다. 남과 겨루어서 진다는 것이 나의 실력이 성장하지 않았다는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고, 그 패배감에 휩싸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졌.잘.싸’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 졌지만 잘한 싸움. 결과가 아닌 그 과정에 조금 더 초점을 맞추고, 지더라도 그 속에서 조금 더 발전하고 그 과정에 최선을 다했다면 이를 받아들이고 또 다른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긍정적인 경쟁의 자세를 잘 풀어낸 작품이었다.

 

 

 

 

 

 

 

 

 

 


 

 

 

 

 

인생의 정답을 알려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일까?

 

 

 

 

 

영화 <핸드폰>은 반 1등을 놓치지 않는 우등생 비말에 대한 이야기다. 공부를 잘하는 그는 공대생이 되어 부모님을 기쁘게 해드리고 싶은 소년이지만 정작 그는 즐겁지 않고 스트레스만 가득하다. 그런 그에게 친구 아미트는 그의 브이로그를 찍으면서 비말이 스스로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면서 정말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성장기에 있는 아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가족이다. 그 가족은 아이들의 사회적 관계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이기 때문에 정말 중요한데, 오은영 교수님은 소중한 가족 관계지만 그 속에서 부모와 자식의 인생은 별개라는 점을 강조한다. 하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못해서 문제가 되는 경우도 많고, 영화 <핸드폰>에서도 이 문제가 고스란히 등장한다. 비말의 아버지는 자수성가를 하면서 공과대학이 성공을 하는데 가장 빠르고 확실한 길임을 몸소 깨달았고, 자식인 비말이 빠르게 성공할 수 있길 바라며 비말의 의사는 묻지 않고 무조건 공과대학으로 진학하라고 강요한다. 부모의 입장에서는 이것이 사랑일 수 있다. 자신처럼 실패를 경험하지 않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정답을 알려주는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오은영 교수님이 누누이 말하는 것이 있다. 자식에게 부모의 주관적인 경험을 알려주고 이야기하는 것은 좋다. 하지만 ‘내가 50년 넘게 살면서 이것저것 해봤는데 이게 맞더라. 그러니 너도 이렇게 해라’는 식의 교육방법은 자식이 작은 실패조차 경험할 수 없게끔 만들고 자식의 인생을 더 풍요롭게 만드는 것을 방해하는 것일 뿐이라는 것이다. 선택은 언제나 자식의 몫이다. 그저 다양한 길이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인 것이다.

 

 

 

 

 

영화 속 비말은 다양한 길이 있다는 것 자체를 알지 못했고, 그저 부모가 제시하는 공과대학 진학이라는 길만 있었을 뿐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할 수 있는 시기를 보내지 못했고, 친구 아미트를 만나면서 정말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었던 것이다.

 

 

 

 

 

 

 

 

 

 


 

 

 

 

 

가족이 된다는 것

 

 

 

 

 

떠나간 엄마가 돌아오기만을 기도하는 소남. 그런 소남에게 새엄마, 데키가 찾아온다. 소남은 새엄마 데키의 존재를 껄끄러워 하지만 자신을 살뜰히 챙겨주는 데키에게 점차 마음을 열고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으면서 점차 가족으로 받아들이다. 이 과정에서 조금 놀랐던 것이 서로를 딸과 엄마로 처음부터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가족이라는 관계가 엄마 아빠 자식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했던 나의 편견이 드러난 지점이랄까?

 

 

 

 

 

소남은 데키와 함께 지내면서 두루미 축제에서 선보일 두루미춤을 연습한다. 데키는 소남에게 왜 두루미춤을 잘 춰야하는지 물어보고, 소남은 데키에게 엄마가 돌아와서 아빠랑 나랑 같이 행복하게 지냈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새엄마인 데키는 그런 소남의 모습에 실망한다기 보다는 소남에게 친절하게 두루미춤을 알려준다. 이 장면에서 솔직히 조금 충격이었다. 새엄마면 엄마인데 그런 사람 앞에서 사라진 엄마가 돌아왔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소남을 보며 관객인 나는 혼자 데키의 눈치를 보았다. 하지만 데키의 모습을 보면서 자신이 새엄마라는 위치에 있더라도 꼭 소남에게 친엄마의 존재를 반드시 자신으로 대체할 필요는 없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아서 뭔가 이마를 탁 치는 느낌이 들었다. 새로운 가족을 만들어감에 있어서 기존에 있었던 누군가와의 추억과 기억을 새로운 사람으로 대체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가족 구성원이 그저 추가되었고 그 속에서 나름대로 자리를 잡아가면 된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었다.

 

 

 

 

 

 

 

 

 

 

 

 

 

 

신화라는 소재를 가지고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낸 영화 비스트 오브 아시아. 기존 개념에 대해 조금 더 건전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어서 어린아이들에게 좋은 교훈을, 그리고 어른들에게는 새로운 시각과 깨달음을 줄 수 있었던 작품들이었다.

작성자 . 세라별

출처 . https://blog.naver.com/shkwon1128/222779581975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