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Anonymoushilarious2023-08-31 23:27:36

선의인가 위선인가

영화 오펜하이머

천재의 삶은 녹록치 않다는 사실은 마치 운명과도 같이  느껴진다. 하지만 핵폭탄을 만들던 모든 과학자들의 선택이 다 같지 않았기에 그들의 삶도 전부 해피엔딩은 아니었다. 다만, 가장 비극적이거나 가장 모순적인 사람만이 역사에 남을 뿐이다.

 

나치를 제압하겠다는 대의 아래 시작했던 맨하탄 프로젝트의 총책임자였던 오펜하이머가 바로 그 모순적인 인간이다. 나치가 더 이상 위협대상이 되지 못하자, 갈팡질팡하면서도 핵폭탄을 만들어내지만 후에 가선 핵폭탄을 저지하는 법안도 만들어낸다. 삶이 일관적이질 못해서 위선자인지 성자인지 알 수가 없다. 그래서 세상 사람들의 수많은 이야기의 중심이 될 수밖에 없던 사람이었다.

 

 

영화 오펜하이머는 그의 일대기를 다뤘지만 그의 인생을 둘러쌌던 사람들의 삶에도 관심을 가지게 한다. 세상은 결국 책임이라는 프레임에서 벗어날 수  없어서 잘된 결과에서도 꼭 영웅을 만들어야 하고 실패한 결과에서도 제낄 사람 하나를 만들어내야 한다. 맨하탄 프로젝트는 마치 오펜하이머가 진두지휘해 그가 이룩한 성과같지만 그는 이론가보다는 그저 쇼플레이어에 가까웠다고 생각한다. 그로브스가 그를 뽑은 이유 중에 그의 연극적인 성향도 한몫 하지 않았을까 싶다.  가장 쇼맨십이 강한 사람으로, 그 프로젝트의 성공을 가장 잘 홍보해줄 사람으로 뽑은 게 아닐까. 물론 그 전에 프로젝트  성공이 우선이었지만.

 

 

 

2. 선악의 구분은 한없이 의미없다

 

 

모든 면에서 선한 사람은 없다. 그건 동화에나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절대적으로 선한 사람이 있을 거라 생각한다. 그런 장면들을 보고싶어한다. 선인이 악역이 되면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겠지 생각하지만 악역을 자처하던 인물이 선인이 되면 그건 위선이라고 생각한다. 오펜하이머에게 스트로스가 씌우고 싶었던 프레임도 그런 것이 아니었을까.

 

그리고 스트로스는 뼛속까지 정치인이었기에 과학자들을 제대로 간파하지 못했다. 오펜하이머를 싫어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편이 되어줄 것이란 다소 순진한 생각을 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오펜하이머와 프로젝트를 함께했지만 다른 길을 갔던 사람들도 학문적 의견은 달랐을지언정 그들은 뼛속까지 학자였기에 정치적인 스트로스를 더 경멸했을지도 모른다. 스트로스 같은 정치적인 사람들은 자리가 사람을 증명한다고 생각해 더 높은 자리를 갈구하지만 과학자나 교수 집단이 가진 자존심을 가끔 망각하는 듯하다. 그들은 엄연히 학자이며 그 학자라는 자리가 결국 그들의 자존심이기에 그들의 연구가 1순위고 정치는 그들이 하고자 하는 연구의 윤활제일 뿐이라 언제나 후순위로 뒤처진다는 것을 모르는 것 같다.

 

결국 절대적인 선도 없고, 악도 없다. 각자의 이해관계와 입장만이 있을 뿐이다. 입장과 이해관계만으로는 선악을 구분지을 순 없고, 그 이해관계를 위한 특정한 행동만이 그들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 스트로스가 오펜하이머에게 했던 행동만으로 그의 훈장은 의미없는 휴지조각이 되어버렸고, 오펜하이머는 핵무기에 대해 찬반을 가로지르는 행보를 보여 그의 진심을 이해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게 되었다. 사람들을 헷갈리게 했기 때문이다.

 

3. 누구도 위너는 아니다

 

 

영화 상에서 스트로스가 장관이 되지 못한 것이 패배자가 된 것 같겠지만 오펜하이머도 보안 인가를 받지 못하는 결말로 영화는 끝이 난다. 현재의 영광이 미래에는 굴욕이 될 수 있는 것인만큼 완벽한 위너는 없다. 그저 잘 연출되었는지 포장이 실패했는지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고로 현재에 안주하지 말자. 과거는 끊임없이 회고하되, 더 앞을 바라보며 나아가자.

작성자 . Anonymoushilarious

출처 . https://brunch.co.kr/@lanayoo911/129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