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선이정2022-11-24 23:14:43

이름표 없는 마음의 계절

영화 <창밖은 겨울> 리뷰 (2022, 이상진 감독)

현재에 없는 걸 그리워하는 미련함일까. 아니면 어려움을 이겨내고자 하는 의지일까. 어느 쪽인지 모르겠지만 청개구리 같은 마음은 계절마다 계절에 반하는 상념들을 끌어오고는 한다.

 

여름에는 녹아 버릴 것 같은 온도, 숨이 턱턱 막히는 습도, 줄줄 흐르는 불쾌한 땀, 살을 콕콕 찌르는 뜨거운 햇볕... 같은 것들로 괴로워하면서, 회상 속에서는 여름의 청량한 감각만을 그린다. 아이스 아메리카노 유리잔의 얼음 잘그락거리는 소리, 빨간 수박을 가득 베어 물 때의 감각, 매미 소리 들으며 올려 본 나무 사이 햇살.

 

반대로 겨울은 늘 따뜻한 기억으로 남아 있다. 눈 덮인 풍경마저 어쩐지 포근해 보인다. 어쩐지 마음을 따끈하게 데워 주는 겨울 영화들도 찾게 된다. <러브레터>, <러브 액츄얼리>, <캐롤>, <윤희에게>... 그러나 이 영화들이 불러일으키는 겨울의 감각은 어쩐지 현재보다 과거를 닮았다. 내 마음속 따뜻한 겨울 또한 올해 혹은 작년의 겨울이라기보다 기억 속 겨울의 집합체 같은 느낌이다.

 

올해는 조금 다르다. 현재에 단단히 서 있는, 추억이 아니라 오늘 내가 걸어 다니는 골목 같은 겨울 영화를 만났다. 포근하게 덮인 설경도 없고 마음을 데워 주는 편지 한 장도 없이 마음 어딘가에 스며드는, 어느 새 다가와 있는 계절을 닮은 영화 <창밖은 겨울>을 들여다본다.

 


 

 

겨울 해의 그림자는 낮고 길다

 

영화 <창밖은 겨울>은 서울이 아닌, 지방 소도시를 배경으로 한다. 보다 보면 창원이라는 사실을 금방 알 수 있지만 사실 대한민국 웬만한 소도시는 다 비슷한 무드를 갖고 있다. 버스에 오른 사람들은 대부분 같은 곳에서 우르르 내리고, 젊은 사람은 점차 줄어들고, 밤이 되면 골목은 조용해진다. 상념을 품고 있는 젊은이에게는 한없이 외로운 곳이 될 수도 있는, 눈도 오지 않는 긴 겨울밤.

 

영화감독의 꿈을 막 시작하려던 석우(곽민규)는 어떤 이유인지 고향에 돌아와 버스 운전을 하고 있다. 운전을 마치면 늘 아버지 삼촌뻘 기사들과 같은 식당에서 같은 밥을 먹고, 그들이 치는 탁구 심판을 보면서 말도 없이 하루를 보내고, 집에 돌아와서는 불 꺼진 방에서 무료하게 탁구공을 벽에 툭툭 던진다. 대회를 나가겠다며 의기투합하는 기사들과 달리 그의 탁구공은 자신과 자신 사이에서 튀어 오를 뿐이다.

 

 

단조로운 일상에 생긴 아주 작은 변화는 대합실에서 우연히 누군가 분실한 MP3를 줍는 데서 시작된다. 유실물 보관소를 담당하는 영애(한선화)에게서 당일 가져가지 않는 물건들은 사실 잃어버린 게 아니라 버린 게 아닐까 하는 이야기를 듣고도 그는 MP3 주인의 흔적을 찾아 헤맨다. 요즘은 찾아보기도 힘든 MP3에 석우가 보이는 기묘한 집착을 보며 영애도 호기심을 품고, MP3를 둘러싼 두 사람의 대화는 탁구처럼 이어져 간다. 이 영화의 어떤 면을 아주 거칠게 요약하자면 두 사람이 서서히 가까워져 가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두 사람 사이의 연결점을 톡톡 찍어, 한 여자와 한 남자가 서로 알아가고 애정을 품고 서로를 연인이라 명명하는 이야기는 아니다. 몇 개의 연결점을 비틀비틀 가로지르는 단선적인 이야기라기에는, 이 영화에서 창문 넘어 들어오는 겨울 오후 햇빛이 너무나 다정하고 포근하다. 유실물을 보관하던 공간으로, 과거에 두고 온 꿈을 봉인해 둔 방으로, 낮은 대신 길고 묵직하게 들어선다. 이들 각자의 삶을, 지금 마주한 서로의 면뿐 아니라 그 뒤로 양감 있게 펼쳐져 왔을 시간 모두 따스하게 끌어안을 만큼.

 

영화에서 겨울은 대화의 소재조차 되지 않지만, 낮은 각도로 기울어져 창문으로 들어오는 겨울 햇살은 '창밖은 겨울'이 꼭 그렇게 차갑고 비정한 계절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실제로 영화는 후반으로 갈수록 서로를 마주하는 이야기인 동시에, 각자의 뒤를 바라보는 이야기가 되어 간다.

 

 

계절을 이루는 작은 조각들

 

두 사람이 과거를 안고 오늘을 살아가는 곳, 지방 도시의 시간은 서울의 시간과 기묘하게 다른 속도로 흐른다. 서울에선 자취를 감춘 물건들이 일상에 속속 등장하고, 서울에선 사용하지 않는 말들도 툭툭 튀어나온다. 귤을 담아 놓는 빨간 바구니, 옛날식 등유 난로, 자판기 커피... 소도시의 겨울을 이루는 작은 조각들이 이 영화에는 소중하게 담겨 있다.

 

이 잔잔한 일상의 배경은 인물들의 잔잔한 감정과 함께 유유히 흐른다. 거친 강물보다는 잔잔한 호수의 윤슬처럼 반짝반짝. '우리는 오늘부터 연인!' 식으로 관계를 규정하고 선포하는 말도 없이, 밀고 당기는 게임 같은 티키타카 말장난도 없이. 영화를 보는 관객의 눈에도 그런 건 중요하지 않다. 두 사람이 각자의 어제를, 오늘을, 내일을 어떻게 마주하며 일상을 툭툭 살아나가는지가 중요할 뿐이다.

 

 

눈도 내리지 않는 찬 겨울을 걸어 다니는 두 사람의 모습이 그다지 추워 보이지만은 않는 것은 그래서가 아닐까. 아름답게 그려진 소도시의 골목을 차분하게 걷고, 자전거를 타고... 골목을 헤매다 보석 같은 장소를 발견하기도 하고. 두 사람이 가까워가는 과정은 연애만을 위해 비현실적으로 세팅된 공간이 아닌, 각자의 일상에 발붙인 자리에서 일어나기에 더욱 맑게 빛난다. 그 담백하게 맑은 기운이 이 영화의 힘이다.

 

그 마음은 어쩐지 순정을 닮았다. 가끔 '2000년대 초반 한국 영화'를 그리워하는 사람들을 만난다. <클래식>을 필두로 하는 당시 로맨스 영화는 상당수가 수채화 같은 느낌의 순정을 담고 있었고, 그때부터 지금까지 20년 가량 흐른 세월까지 입어 더욱 유리알처럼 영롱하게 느껴진다. 이 영화는 그 빛을 닮았다. 온통 자극적인 '빨간 맛'이 범람하는 시대, 사랑도 속전속결 '사이다'로 해야 하는 시대에는 맞지 않는 결이다. 그러나 이 감성을 그리워하는 이들이 어딘가 창밖의 풍경처럼 점점이 박혀 있음을 알고 있다.

 

 

닫아 두어도 반쯤 열리는 문처럼

 

그 안에서 석우와 영애는 서로 가까워져 가는 동시에, 각자 자신과도 가까워진다. 자판기 커피처럼 따뜻한 관계가 이 영화의 한 축이라면, 다른 한 축은 자신의 시간을 버스 노선처럼 휘휘 돌며 이루어진다. 멜로 영화와 성장 영화라고 요약할 수 있을 그 마음을 어쩐지 이 영화에서만큼은 따로 이름표 붙이고 싶지 않다. 단어로 딱 잘라 말하기보다 그냥 이 영화 속 겨울 햇살처럼 은은하게 내리쬐는 마음을 느끼고 싶다.

 

그래서일까. 보고 있노라면 영화가 괜찮다고 다독다독, 어깨를 두드려 오는 기분이 든다. 과거를 돌아봐도 괜찮다고. 뜯기듯 갑작스럽게 잃은 시간에 대한 미련이어도, 후련하게 떠나온 시간이더라도. 아무튼 다시 톺아 보아도 괜찮다고. 그러기 위해서 좀 헤매도 되고, 찾아 헤맨 것이 잘 나오지 않아도 되고... 그 길을 같이 걸어주는 사람이 있다면 더 기쁘겠지만, 그런 사람을 위해서라면 한 번쯤 버스가 철길을 가로지르는 달밤처럼 기적 같은 장면을 만들어낼 수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아도 괜찮다고. 

 

 

석우가 과거의 '영화'를 담아 둔 방문이 자꾸만 다시 빼꼼 열리는 것처럼, 마음 한구석에 자꾸만 빼꼼 열리는 어떤 문이 있다면 어쩐지 용기를 내볼 수 있을 것만 같다. 노란 귤을 까먹으면서, 믹스커피를 훌훌 타 마시면서, 찌개에 밥을 씩씩하게 먹고 오늘의 일을 하면서, 틈틈이 마음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 보고 싶어진다. 씩씩한 오늘을 걷는 영화를 보고 나와 버스를 타고 집에 들어가는 길, 몽글몽글 차오르는 감정들에 이름표는 붙이지 않기로 한다. 다만 이 마음들이 담긴 계절의 감각을 코끝으로 기억해 두기로 한다.

 

 

*온라인 무비 매거진 <씨네랩> 초청으로 시사회에 참석하여 영화를 감상하고 작성하였습니다. 영화 개봉일은 2022년 11월 24일입니다. 개봉 일자가 영화의 무드와 가장 잘 어울리는 계절 같아요. 딱 지금 영화관에서 즐기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작성자 . 선이정

출처 . https://brunch.co.kr/@sunnyluvin/268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