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날 우리〉는 2018년 개봉해 호평을 받았던 〈너의 결혼식〉을 리메이크한 영화다. 고등학생 때 처음 만난 요우 용츠와 저우 샤오치가 서로 엇갈리며 사랑하는 이야기를 담았다. 원작과 마찬가지로 〈여름날 우리〉 역시 잘 만든 로맨틱 코미디물이다. 원작과 리메이크작의 같고 다름을 비교하며 보는 재미도 있다.
〈너의 결혼식〉, 〈여름날 우리〉의 주인공들은 모두 사랑에 실패한다. 누구보다도 서로를 진심으로 사랑하고 존중하지만, 주변 상황과 내면의 혼란으로 해피엔딩에 다다르지 못한다. 〈너의 결혼식〉이 제목 그대로 다른 남자와 결혼하는 첫사랑의 결혼식장에서 마지막 인사를 나누는 장면으로 끝나듯, 〈여름날 우리〉 역시 가을이 오면 과거가 될 수밖에 없는 여름의 비애를 주인공들의 서사와 연결 지어 첫사랑의 실패를 그린다.
사실, 사랑의 실패를 다루는 웰메이드 로맨스 영화는 이전부터 있었다. 해외 영화 중에서는 〈500일의 썸머〉, 〈라라랜드〉, 국내 영화로는 〈건축학개론〉 등을 꼽을 수 있다. 관객들이 이 영화들을 좋은 로맨스 영화로 꼽은 이유에는 공통점이 있다. 많은 사람이 앞의 영화가 사랑을 ‘현실감’ 있게 보여준다고 말한다. 운명적으로 만난 두 남녀가, 사랑에 빠진 후, 위기를 겪다가, 끝내 행복하게 산다는 로맨스 영화의 공식을 거부하는 ‘리얼함’을 무기로 관객들을 사로잡았다는 것이다.
왜 실패한 사랑을 다룬 로맨스 영화를 향한 찬사에는 언제나 ‘현실적’이라는 말이 따라다닐까? 기존 로맨스 영화가 다루던 낭만적 사랑이 불가능해졌다는 감각이 대두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는 여성들이 젠더 ‘갈등’이라 표현되는 성별 간 권력 격차에 민감해졌다는 점이다. 여성들이 평등한 관계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남성 권력에 대해 더 많이 말하고 공론화될수록, 무턱대고 낭만적이기만 한 로맨스 영화의 각본은 현실성을 잃는다. 엉망인 사랑을 아름답게만 묘사하는 로맨스 영화는 '판타지 영화'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이렇게 본다면, 로맨스 영화가 사랑의 실패를 다루는 것은 여성들이 행복한 사랑이라는 기존 로맨스 영화의 공식이 거짓말임을 자각한 이후에 등장한 자구책이다. 이제 여성들은 현실을 미화하는 로맨스 영화에 더 이상 자신의 환상을 투사하지 않는다.
두 번째는 경제적 조건의 파탄으로 사랑 자체가 불가능해졌다는 점이다. 위에서 언급한 영화에는 경제적 결핍에 시달리는 남자와 경제활동을 시작한 여자의 간극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여성의 경제활동이 더 활발해질수록 남자는 더 의기소침해진다. 괜히 마음에 없는 못된 말을 하며 여자를 괴롭힌다. ‘능력’ 있는 다른 남자가 여자 주위에 어슬렁거릴 때면 이런 일은 더 잦아진다. 여자는 그런 남자에게 점점 지쳐가고, 결국 그를 떠난다. 남자는 자신이 얼마나 못나게 굴었는지를 깨닫지만, 여자는 이미 다른 남자와 사랑을 시작한 후다.
남자는 호소한다. 우리가 얼마나 오랜 시간을 함께했는지, 너를 향한 나의 마음이 얼마나 진실한 것인지를. 하지만 여자는 조금은 슬퍼 보이는 멋쩍은 웃음을 짓고 그를 거절한다. ‘찌질한 남자’와 ‘이해할 수 없는 여자/비밀을 품고 있는 여자’라는 구도는 이렇게 만들어진다. ‘이해하지 못함’의 주체가 남자라는 게 중요하다. 경제력 파탄으로 사랑할 수 없게 된 청년 세대의 아픔이 여자에게 버림받은 남자의 혼란으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로맨스 영화는 청년의 고통을 남자의 고통으로 만들었다.
어쨌든 핵심은 사랑의 실패가 ‘현실’이 되었다는 점이다. 남녀 주인공이 행복한 결말을 맞이하는 로맨스 영화는 이제 더 이상 ‘현실적’이지 않다. 새로운 로맨스 영화는 기존 장르물의 공백을 섬세한 감정으로 메꾼다. 정통 멜로 영화에서나 나올법한 섬세한 감정 묘사가 로코물에도 나오는 건 이 때문이다. ‘현실적인’ 재현을 위해 로맨틱 코미디가 기존에 다루지 않았던 것들을 장르 내부로 가져오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이 감정들은 낭만적으로 채색된다. 이제 낭만적인 건 행복한 사랑의 결말이 아니라 사랑의 과정에서 겪는 감정이다. 사람들은 사랑의 성공에 행복해하는 대신, 실패했더라도 여전히 내 마음에 따뜻하게 남아 있는 무언가를 상기하며 위로받는다. 이것이 로맨틱 코미디 영화가 '불가능해진' 사랑을 다루는 방식이다. 사랑에 실패했음에도, 너의 감정까지 실패한 것은 아니라는 메시지.
이런 류의 로맨스 영화는 애틋한 첫사랑이 아직도 내 마음에 남아 있음을 확인시켜준다는 점에서는 아릿한 달달함을 자아낸다. 하지만 사랑이 불가능해진 조건(젠더, 계급의 문제)에 대해서는 질문하지 않는다는 점에선 문제적이다. 과도기에 있는 로맨틱 코미디가 앞으로 어떻게 자기 영역을 만들어 갈지는 아직 조금 더 두고 봐야 한다. 로맨틱 코미디물이 현실과 영화의 경계를 어떻게 비틀고 조정해 나갈지 궁금하다.
*이 글은 씨네랩으로부터 초청받은 시사회에 참석한 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