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udong2023-05-14 21:24:49

장거리 연애만큼이나 어려운 영화 잘 만들기

<롱디> 스포일러 없는 후기

 

첫 만남에 돌비 사운드

 

 

 

이게 운명인가. 도하는 어렵지 않게 태인이가 뭔가 다르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눈으로도 알았고 귀로도 느꼈다. 홍대 인근. 버스킹을 하고 있던 태인. 태인은 ‘연신굽신’이라는 밴드의 보컬이었다. 인지도가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었던 태인의 밴드. 홍대 근처에서 공연하며 먹고살 수 있는 정도의 수입은 있었다. 인기가 엄청나지 않다는 말은 멤버들이 유혹에 쉽게 넘어갈 확률이 높다는 의미도 된다. 빗발치듯 쏟아졌던 오디션 프로그램. 연신굽신의 구성원 한 명이 이 프로그램을 계기로 이탈하며 밴드에 위기가 도래했다. 하지만 태인에겐 같은 편이 있다. 든든한 로드매니저 도하. 남사친과 동료, 썸의 연장선상에서 아슬아슬하게 선을 타다 결국 커플이 됐다.

 

 

 

학교를 졸업한 도하. 중고차 딜러로 사회생활을 시작한다. 회사에서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라는 명령이 떨어진다. 영상을 찍어 유튜브에 올리는 도하. 당연히 구독자가 많지는 않다. 물론 유튜브 채널 관리 업무만 하지 않는다. 핵심 고객들과 자동차 매입 관련 거래를 하는 도하. 이번에 초대형 ss급 매물이 등장했다. 바로 유튜브 크리에이터 겸 인플루언서 제임스 한과의 거래다. 돈 진짜 많은 제임스 한. 알고 보니 도하와 초등학교 6학년 동창생이었다는 인연이 있어 제임스는 기꺼이 자동차 거래를 하기로 했다. 어? 도하는 잘 풀리네? 사실 태인이의 입장은 살짝 다르다. 태인은 음악을 만들며 살아야 하는 운명이었다. 악상이 안 떠오르는 태인. 고향인 거제로 잠깐 내려가서 살기로 했다. 장거리 연애에 돌입한 두 사람. 과연 두 사람의 로맨스는 어떤 결론에 도착할까? 

 

 

 

MZ 하네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촬영이다. 보통 일반적으로 영화에서 촬영이라고 하면 촬영감독님이 카메라를 들고 직접 찍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작품은 살짝 다르다. 인스타그램 라이브, 유튜브 라이브, mac을 통한 비대면 통화, 카카오톡 등 일반적인 촬영기법이 아닌 배우들이 직접 녹화하거나 찍은 동영상을 중심으로 플롯을 이끌어간다. 일반적으로 ‘롱디’라는 단어를 글쓴이 또래의 20대 중후반이 많이 쓴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이는 당연하다. 이런 요소를 살리기 위해 영화 군데군데 박혀있는 젊은 감각들은 감독이 분명히 의도하지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대표적으로 아이클라우드가 등장했다는 점이나 시대마다 변주를 준 소셜미디어 활용(페이스북-인스타그램, 유튜브)이 그런 지점에 있다. 연남동을 위시로 한 버스킹 공간 설정도 이야기의 리얼리티를 살렸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줄 만하다.

 

 

 

이 촬영기법의 변주는 두 배우에게 플러스 효과가 있었다. 두 사람이 각자의 이야기를 끌고 가기 위해서 카카오톡이나 통화가 필수적이다. 이 멀리 떨어져 있는 거리는 이 장거리 연애 커플의 현실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영화의 승부존이 된다. 미묘한 차이로 두 사람이 서로에게 갖는 오해를 보여줘야 하기 때문이다. 영화는 이 작품이 다른 로맨스/코미디 장르와의 차이점을 어떻게 둬야 하는지 잘 이해하고 있는 듯하다. 인물이 이런 메시지를 하고 그 말에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내적으로 탄탄하게 잘 묘사한 느낌이라 두 사람에게 이입이 된다. 대표적으로 도하의 직장 묘사가 그렇다. 직장인이 된다는 건 매 번 파트너에게 깊은 신경을 쓰기 어렵다는 것과 닿아있다. 이와 관련한 태인이의 리액션이 영화에서 중요하게 작동하는데 이 부분을 보면서 ‘오’ 싶었다. 아무튼 이렇게 이 연출의도와 이야기가 어울린다는 점은 관객에 따라서 ‘영화 괜찮네’라고 생각할 만하지 않을까? 글쓴이가 생각하는 영화의 가장 큰 강점이다.

 

 

 

나사 빠진 듯

 

그렇게 영화가 갖고 싶어 했던 감각적인 부분은 잘 묘사한 듯 보이지만 단점이 더 많이 보였다. 그 단점은 간단하게 말할 수 있다. 영화의 인물들이다. 물론 인물 묘사 중 좋았던 부분도 있다. 바로 태인의 인물 설정이다. 태인은 무뚝뚝하고 강인하다. 이 무뚝뚝하고 강인한 설정이 영화에서 일관성을 잃지 않았다는 점은 극에서 벌어지는 핵심 사건을 이끈다는 점에서 아주 중요했다. 물론 태인이도 사람이다. 무슨 말이냐? 어떤 점에선 강인한 내면세계를 유지하지만 몇몇 장면에선 무너진다. 이 무너지는 계기와 감정표현이 설득력 있게 제시된다는 점은 유일하게 정 붙일만한 인물이라는 점에서 영화의 장점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태인이 아닌 나머지 인물들은 다 커다랗게 구멍이 있다. 우선 독하다. 도하는 뭐랄까 이야기의 핵심 사건을 끌고 가기 위해 인물의 내면을 변형시킨듯한 느낌이 강하다. 사람은 원래 입체적이다? 그런 상황에서 도하처럼 행동하지 않을 수 있을까? 물론 도하가 겪은 사건이 특수할 수밖에 없는 일이라는 점에서는 동의하지만 일관성 없이 날뛴다는 점은 이 영화의 형식처럼 이야기를 공장 찍어내듯이 만들었다는 느낌이 들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이 사람은 이런 일을 하고도 아무 제지가 없다는 게 신기했다. 또 이 사람을 둘러싼 사람들의 반응도 디테일한 무언가가 없이 어물쩍 넘어가는 느낌이 있다. 

 

 

 

또 조연 묘사에 있어서 아영/제임스한/반동인물 한 명의 서사도 뭔가 부족하다. 우선 세 번째 ‘반동인물 한 명’은 언급만으로도 스포일러가 되니 생략한다. 첫 번째 아영이라는 인물은 이 이야기의 핵심 사건에서 중심이 될 수밖에 없는 인물이다. 왜? 태인과 도하의 이야기를 양 쪽 입장에서 다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인물의 중요도에 비해 영화는 아영이에게 서사를 부여하지 않는다. 오히려 불친절한 정도다. 이 인물에 대한 끝마무리가 확실해야 두 사람의 갈등에 설득력이 생길 텐데  그냥 오냐오냐 다 받아주고 전화 걸면 수신하니까 인물이 평면적인 느낌이 드는 것이다. 이 아영이라는 인물이 10초만 생각했어도 이 이야기가 벌어지지 않았을지도 몰랐다는 점에서 영화의 가장 큰 단점으로 뽑고 싶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이 영화의 가장 큰 단점으로 생각할 것 같은 부분이 있다. 바로 제임스 한이라는 인물의 서사다. 왜 호불호가 갈릴 수밖에 없을까? 글쓴이는 연기 스타일 때문이라고 본다. 이 인물은 한글과 영어를 혼용한다. 이 한 문장만 봐도 올드한 느낌인데 안 그래도 연극적인 톤이 이를 더 두드러지게 만든다. 물론 이 인물의 연기 톤을 제외하더라도 문제는 많은 것 같다. 가장 큰 단점은 이 사람 역시 브레이크가 없고, 크리에이터로서 위기가 없다는 점이 핍진성의 관점에서 아쉽게 느껴진다. 영화 극후반부에서 이 사람의 동기부여를 제시하는 것은 좋았다. 그러나 안 그래도 작위적인 이야기에 더 부자연스러운 인물이 나타났다는 점은 분명히 아쉽게 느껴진다.

 

 

 

너무 <서치> 아닌가

 

이 작품의 예고편을 사전에 본 적이 있는 분들이라면 생각나는 문장이 있다. 바로 ‘<서치> 제작진’이라는 말이다. 영화는 <서치>에서 큰 영향을 얻은 듯하다. 시각적인 형식이 그 예시가 된다. 그러나 이야기의 흐름까지 <서치> 같을 필요는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구체적으로 <서치> 1편의 이야기 줄기가 이 영화에 겹쳐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비슷한 이야기는 양두구육으로 작동하며 이게 로코물이 맞을까? 하는 의구심이 든다. 분명 나는 솔로 권위자로서 외로움을 느끼기 위해 극장에 갔는데 뭔가 다른 게 나온 느낌이었다. 그렇다고 해서 스릴러적인 장르 결합이 성공적이었나? 그것도 아니다. 서스펜스를 만들기 위해 선후관계가 엇갈린다는 점은 이 영화가 견지하고 싶었던 스탠스가 무엇인가 의문이 든다.

 

 

 

이렇게 엉성한 장르 특성은 영화의 디테일 때문에 더 두드러지는 감이 있다. 초반부는 좋았다. 오디션 프로그램 때문에 와해되는 느낌, 홍대 인근에서 공연하는 인디밴드들에 대한 묘사까지. 제주에서 나고 자란 글쓴이지만 뭔가 리얼리티가 느껴진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어떤 캐릭터가 영화의 반동인물로 등장하고 난 후부터는 이 사람에 대한 세상의 리액션, 특히 도하에 대한 반응이 전부 부자연스럽게 느껴졌다. 극 중 배경인 2021년이나 지금 2023년에 그렇게 행동하면 이미 나무위키에 논란 3줄은 적혀있다.

 

 

 

엔딩은 좋았어

 

그렇게 얼레벌레 이야기를 끌고 가는 듯했던 영화. 이야기가 어느 정도 마무리가 된다. 영화의 엔딩까지 왔다. 이 모든 이야기가 산만하지만 영화의 엔딩 하나만큼은 가장 설득력이 있었다. 물론 주인공을 부르는 호칭이 너무 듣기 싫었지만 그건 아무래도 상관없다. 내내 모순적이었던 인물들이 엔딩 하나를 위해 합리적인 느낌? 엔딩 시퀀스 하나에서 오는 감동이 러닝타임 전부를 합친 것보다 훨씬 좋았다. 이 장면 때문에 글쓴이는 개인적으로 이 작품에 대해 좋게 쓰기 싫지만 주위 커플이 보러 간다고 하면 굳이 말리고 싶지는 않다. 디테일이 아쉽다 뿐이지 이야기의 내적 논리는 어느 정도 있고, 엔딩이 좋았기 때문에 커플끼리 즐기기에는 최적화되지 않았을까 싶다.

 

 

작성자 . udong

출처 . https://brunch.co.kr/@ddria5978uufm/482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