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모파로2023-05-16 15:45:21
신랄한 풍자의 뒷맛은 언제나 씁쓸하다
영화 슬픔의 삼각형
노골적인 사회 풍자를 다루는 블랙 코미디의 스타일을 고수하는 루벤 외스틀룬드 감독이 2017년 예술계의 위선과 모순을 폭로한 ‘더 스퀘어’에 이어 2번째 칸 황금종려상을 영화 슬픔의 삼각형을 시사회로 미리 감상하고 왔습니다. 호화 크루즈에 탄 부자들을 통해 자본주의의 그늘과 산만한 조롱을 섞은 작품으로, 인플루언서 모델 커플부터 비료업계 거물, 무기 제조업자 등 다양한 부자들이 예기치 못한 폭풍우와 사고에 휘말려 무인도에 살아남지만, 단절된 문명과 생존이란 문제 앞에 그들이 맞이하는 변화된 위계 관계를 통해 추악한 현실 자본주의와 얄팍한 지성주의를 조롱합니다. 기존 칸 수상작들의 장르적 어려움보다는 흔히 봐왔던 유럽식 풍자극에 가까워서 관점에 따라 가볍게, 혹은 무겁게 볼 수 있는 작품이 아닐까 싶습니다. 뒤바뀐 계층을 현대 사회를 파고드는 냉소적인 코미디, 여러 생각에 잠기게 하는 감독이 생각한 ‘Triangle of Sadness’를 눈여겨 감상하시면 좋은 한편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최대한 자제하였으나 일부 스포일러가 될 수 있으니 주의 부탁드립니다.
“고급 크루즈의 성패는 여러분에게 달렸어요”
호화 크루즈에 # 협찬 으로 승선한 인플루언서 모델 커플. 각양각색의 부자들과 휴가를 즐기던 사이, 뜻밖의 사건으로 배가 전복되고 8명만이 간신히 무인도에 도착한다. 할 줄 아는 거라곤 구조 대기뿐인 사람들... 이때 존재감을 드러내는 건, “여기선 내가 캡틴입니다. 자, 내가 누구라고요?”
예고편│Trailer
영제: Triangle of Sadness│감독·각본: 루벤 외스틀룬드
출연진: 찰비 딘 크릭, 해리스 딕킨슨, 돌리 드 레옹, 즐라트코 버릭, 비키 베를린, 우디 해럴슨 외 多
장르: 코미디, 드라마│상영 시간: 147분
국가: 스웨덴, 미국│등급: 15세 관람가
수입: 그린나래미디어│배급: 그린나래미디어, 플레이그램, 메가박스 중앙│제공: 플레이그램, 하이스트레인저
평점: 평론가 7.17, 로튼토마토 신선도 72% 팝콘 68%, IMDB 7.3, 메타 스코어 63점
수상 내역: 48회 LA 비평가 협회상(여우조연상), 35회 유럽영화상(유러피안 작품상, 유러피안 감독상, 유러피안 남우주연상, 유러피안 각본상), 75회 칸영화제(황금종려상, CST 아티스트 테크니션상)
개봉일: 2023년 5월 17일
“세상을 향한 악랄한 풍자의 씁쓸한 뒷맛”
총 3부로 구성된 흥미로운 구성은 1부에서 성적 차별은 물론, 얼굴과 몸매라는 외적 이미지에 상품화 등급을 매긴 모델 집단을 통해 앞으로 펼쳐질 이야기가 계층 간의 폐부를 들출 것임으로 언급합니다. 위선과 허세로 가득한 세상에서 대중에게 각인된 브랜드의 가치는 단순히 평가의 잣대로서 활용되며 아이러니하게도 그들 스스로 계급 구조를 비유한 슬픔의 미간을 짓게 됩니다. 이어 그 중심에 있던 인플루언서 모델 커플 야야와 칼이 호화 크루즈에 탑승해 다양한 부자들을 관찰하듯 접근하며 서서히 자본주의 사회의 덧없음을 거침없이 해부합니다. 탈세와 불법이 정의이고 사람들의 죽음으로 쌓아 올린 철저히 돈의 논리에 치부된 그들의 세상은 결국 휘청거리는 크루즈를 따라 구역질 나는 위선에 분노한 듯 역류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만인은 평등하다’는 모델 선발 문구를 관통시키려는 듯 극단적인 침몰을 통해 원시적인 시스템으로 국면의 전복을 맞이합니다.
1부에서 칼의 지질한 사랑싸움, 2부에서 똥통으로 비유된 가식적인 사회로 계급 구조의 시스템을 비웃는 코미디는 절정의 3부 생존기에 다다라 허무주의에 이릅니다. 계급이 무너지고 만인이 평등할 것처럼 여겨지던 섬이 곧 애비게일이라는 뜻밖의 인물이 생존을 무기로 기존 문명사회와 완전히 반대된 모계 중심 사회를 형성하면서 말입니다. 새로운 변화는 그들에게 불안정을 일으키고 단순히 기존 세계가 뒤집히기만 노골적인 묘사를 통해 더욱더 선명한 또 다른 삼각형의 계층 구조를 만듭니다. 그렇게 모래시계처럼 반복되는 과정들은 어렵기보단 작위적 구성에 가깝지만 물질이 우선시되는 자본주의의 병폐를 드러내는데 부족함이 없고 혐오스러움을 감추지 않고 드러냈다는 점에서 흥미와 매력을 갖춥니다. 적어도 보여주고자 하는 상황들로 동반되는 매우 뚜렷한 메시지는 웃지 않을 수 없으니 말입니다.
엔딩으로 이르러 그들의 무지함을 비웃듯 야야와 애비게일은 무인도가 아닌 고급 리조트 근처에 난파되었음을 확인하며 자신들이 속해있던 세계로 돌아갈 수 있음을 비추지만, 감독은 여기에 멈추지 않습니다. 인플루언서이자 모델로서 자리를 되찾는 희망에 찬 야야와 달리 절망스러운 밑바닥 외국인 노동자 계급의 회귀에 분노한 애비게일을 통해 긴장감을 드리우고, 그녀들을 찾아 뛰는 것인지 구조된 것인지 알 수 없는 칼의 질주로 막을 내립니다. 가진 것 하나 없이 상위 계층의 동반자에게 기생하며 살았던 그는 이제 어디에도 빌붙어 살 수 없을 것 같단 불안감을 남기면서 말입니다. 속을 다 게워내도 바뀌지 않는 세상을 향한 신랄하고 씁쓸한 풍자, 다른 분들은 이걸 보고 무슨 생각이 들지 궁금하네요.
한 줄 평 : 뒤집혀도 바뀌지 않는 추악한 세상을 향한 토악질의 폭탄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