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ong2023-07-17 01:29:51
이 소재들을 감당하기엔 좀 얕은 듯한데
<좋. 댓. 구> 스포일러 없는 후기
사이버 세상의 올드보이
이 영화의 주인공 ‘오태경’은 <올드보이>에서 최민식 배우가 맡았던 ‘오대수’의 아역 연기자 출신이다. 한 나라의 영화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품의 아역배우였다는 점은 어마어마하다가도 사소하다. 이 때문일까. 오태경이 유튜브 시장에 뛰어든 일도 역시 쉽지 않다. 배우가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되는 경우는 허다하기 때문이다. 한 아이의 아버지이자 집안의 가장으로서 책임져야 할 것들이 많다. 또 한 사람의 배우로서 꿈을 이루고 싶은 욕망이 남아있다. 언젠가 박찬욱 감독님에게 다시 전화 올 날 있겠지? 희망을 품고 있지만 눈앞에 있는 것들이 이뤄지지 않으니 답답할 뿐이다. 마음먹고 시작한 유튜브. 시청자는 한 자리 수다. 새로운 수를 찾는 오태경. 그가 내린 결론은 ‘구독자의 노예’가 되는 것이다.
오대수 분장을 하고 시청자가 하라는 대로 하는 오태경. 산 낙지 먹는 건 당연하다. 어느 날에는 구독자를 괴롭히는 학교폭력 가해자에게 뿅망치를 때리는 일을 하기도 한다. 온갖 잡다한 일은 다 하고 있다. 진정성을 보인 덕에 구독자가 하나, 둘씩 늘어난다. 어느새 만 명대가 되었다. 물 들어올 때 모터사이클을 만들어 손수 지어야 한다. 라이브 방송을 켜는 오태경. 그런데 어떤 인물에게 슈퍼챗이 왔다. “광화문에 ‘나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라는 피켓을 들고 서있는 남자가 있는데, 이 남자가 왜 그러고 있는지 알아와라”라는 말을 전한다. 처음엔 거절했던 오태경. 하지만 거절하기엔 너무 큰돈이 들어오기 시작한다. 한 번 말 걸어보기로 한다. 광화문으로 간 오태경. 그의 호기심은 점점 커져 구독자들을 빨아들이기까지 이른다. 과연 그는 온라인 세상에서 <올드보이>만큼 유명한 사람이 될 수 있을까?
팬데믹과 유튜브
영화가 주로 담고자 했던 부분은 세태 반영이다. 우선 이야기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건 유튜브다. 주인공 태경이 유튜브 콘텐츠를 기획하는 과정이 이야기의 핵심이다. 그럼 이 영화를 이야기로 담으려면 두 가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유튜브라는 배경과 이 사건이 벌어지고 난 다음의 사이버 세상 묘사다. 전자를 보여주기 위해 영화는 <서치> 시리즈에서 봤었던 것 같은 시각효과를 가지고 왔다. 카메라도 전형적으로 누가 누군가를 찍는 형태가 아니라 컴퓨터 캠코더로 자기 스스로를 찍는 방식이다. 이 덕에 영화 자체가 평범한 스릴러/코미디물이 아니라 약간 떨어진 시각에서 이야기를 읽을 수 있다는 연출 요소가 된다. 또 이야기 자체가 유튜브를 소재로 했기 때문에 소재가 영화의 흐름을 깨면 어색해진다. 영화 전체적으로 실제 유튜브 콘텐츠를 보는 것처럼 빠른 템포로 진행됐다는 점도 사소한 디테일을 살리는 좋은 수가 되었다. 형식이랑 이야기가 잘 맞아떨어진 셈이다.
다음 시간적 배경에 깔려있는 전제가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점도 흥미롭다. 이 코로나19라는 소재를 갖고 온 건 사실 영화의 핵심과도 닿아있다. 영화는 유튜브 크리에이터 생태계의 야만성에 대해 꼬집고 있는 지점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서라면 당연히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극에서 중요할 수밖에 없다. 이를 시간적 배경으로 주파한 셈인데, 어떻게? 에 대해 생각하고 영화를 본다면 분명 흥미롭게 느껴지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그냥 단순히 마스크만 달랑 쓰고 나오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이야기에 중요하게 사용했다. 이 시도는 영화에서 충분히 강점으로 뽑을 만 하다.
짜기라도 한 듯이
영화의 핵심 소재가 유튜브이기 때문에 이를 구현하는 장치들이 많이 나왔다. 하지만 이 유튜브라는 소재가 좀 안 좋게 작용하는 경우가 몇 있다.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채팅창 리액션이다. 인터넷 방송을 소재로 한 영화들은 많았다. 이 영화의 큰 아이디어가 됐을 <서치>부터 시작해 <곤지암> <웅남이> <롱디> 등 많은 사례들이 이미 개봉했다. 최근 인터넷 방송과 관련한 문제들이 갑자기 많이 보였던 건 사실인 듯하다. 팬데믹 전후로 유튜브 시장이 활성화가 됐고 이에 따라 저지 않은 사람들이 이 시장에 뛰어들었기 때문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시장에서 공급자가 됐다는 의미는 그만큼 수준 낮은 사람도 관객으로 참여한다는 뜻이다. 이 때문일까? 극 중에서 오태경이 라이브 방송을 할 때마다 나오는 채팅창 메시지들이 조악하게 느껴졌다. 요즘 누가 그런라는 말을 쓰나? 뭔가 예전에 썼던 말들이 채팅창에서 계속 나오는데 집중할 수 있는 흐름을 깨는 듯했다. 극 중에서 ‘~남’
또 이야기에서 적지 않게 유튜버 크리에이터들이 등장한다. 이 부분이 영화에서 리얼리티를 부여하기는 했다. 하지만 이 크리에이터가 나오는 방식이 살짝 과하게 느껴지는 부분이 분명 있었다. 중후반부에 이 사람들이 떼거지로 등장하는 부분을 보면 과연 이렇게까지 해야 할 필요가 있을까? 싶다. 물리적으로도 이 분량이 없어도 그만이고 이 사람들이 펼치는 이야기 전개가 갑자기 두세 단계씩 확 비약하고 있다는 점은 아쉽다. 무슨 말이냐? 인물들이 메시지를 보여주기 위해서 작위적으로 행동하는 듯하다. 영화 후반부에서 이야기가 좀 얕아지다 보니 이야기보다 이 부분이 더 들어오는 것 역시 아쉽게 느껴지는 부분이다. 글쓴이가 생각하는 영화의 최고 단점이다.
앞 문단의 연장선상에서 어떤 설정은 유튜브 크리에이터 직업에 기댄 감이 있다. 이 이야기 끝까지 전부 말이 되려면 어떤 인물이 굉장히 전지전능해야 한다. 그리고 누군가는 굉장히 멍청해야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한 인물이 완전 절 속에 있다가 나오는 수준이어야 한다. 물론 모든 영화가 다 완벽하게 개연성이 맞을 필요는 없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유튜브에 너무 기댔기 때문에 이 모든 이야기가 흘러갔다는 점은 아쉽게 느껴진다. 작중에는 필요 없는 이야기 소재도 몇 있기 때문이다. 오락성을 잡는다? 그러기엔 몰입감이 아주 살짝 부족하다. 메시지를 잡는다? 그렇기엔 깊이가 얕아 보인다. 맹숭맹숭했다.
얕은 깊이
영화에서 다루고 있는 사회문제는 하나 더 있다. 이야기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아니다. 하지만 이야기에서 미스터리를 잡는 데에 있어 이 요소가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을 수는 없을 것이다. 2017년 할리우드에서 이 문제가 대두가 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이 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더 많아졌다. 이 문제의 특성상 피해자는 삶이 송두리째 바뀔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영화가 좀 더 신중해야 했던 건 아닐까 생각이 든다. 그냥 단지 이야기 그냥 그렇게 끝난다고 해서 정리되는 문제는 또 아니라고 생각이 든다. 적어도 고뇌하는 사람이나, 처벌을 받는다던가 하는 장면은 있어야 했지 않을까? 적어도 쿠키라도?
이런 사회문제애 대한 관점은 이야기가 메시지를 잘 못 잡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 영화에서 인물들은 다 과장되게 행동한다. 그냥 단지 크리에이터로서 인지도를 얻어야 하니까. <올드보이> 아역인 거 그냥 들어가면 안 되니까. 이야기 전개 이렇게 짜야 후반부가 말이 되니까. 유명해지는 거? 유명해지고 싶으면 유명해질 수도 있지. 에필로그에 등장하는 카메오와의 통화? 이 장면도 이 사람이 뭘 해서 그 전화를 받아야 했는지가 궁금해진다. 그분이 그런 이슈를 중요하게 생각해서 그런 전화를 하는 분은 아닐 것이다. 이런 얕은 깊이가 이야기가 품고 있는 문제의식을 옅게 만드는 건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