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또또비됴2023-12-14 23:45:06

존재할 것인가? 행동할 것인가!

영화 <서울의 봄> 리뷰

1979년 12월, 서울엔 봄이 오지 않았다. 대신 2023년 극장가에 봄이 왔다. 14일 기준으로 <서울의 봄>은 750만 명을 넘었고, 천만 관객을 향해 진격 중이다. 관객 동원 수에 비례하듯 영화를 통해 12·12 사태와 관련 인물들이 재조명되고 있다. 특히 극 중 수경사령관 이태신 수경 작전참모 강동찬, 헌병감 김준엽, 특전사 오진호 소령 등 전두광이 이끄는 하나회 세력과 맞서는 이들의 이야기가 계속해서 회자되고 있는 상황. 군인으로서 해야 할 본분을 다한 이들의 모습은 인생을 살면서 한 번은 마주치는 ‘존재’ 또는 ‘행동’하는 삶에 대한 선택과 그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 존재할 것인가? 행동할 것인가! 

 

영화 <서울의 봄> 스틸 / 제공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현대 전쟁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전략가이자 실천가 중 한 사람인 존 보이드. F-16의 아버지, ‘걸프전 승리의 설계자’로 불리는 등 전투기 조종사로 군사 전력가로 인정받은 인물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직접 행동하는 삶을 실천하고, 참된 군인으로서의 길을 제자들에게 전파했다. 그는 수많은 젊은 장교들에게 앞으로 두 갈래의 길이 열릴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한쪽은 중요한 사람이 되고 출세의 길이 열릴 수 있지만, 세상과 타협해야 하고, 친구들에게 등을 돌려야 한다. 다른 한쪽은 출세하지도, 좋은 임무를 맡지도 못할 수 있지만, 세상과의 타협, 친구와 자신을 배반하지 않아도 된다.

영화 <서울의 봄> 스틸 / 제공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존 보이드는 중요한 사람이 될 것인가(또는 존재할 것인가), 아니면 중요한 일을 할 것인가(또는 행동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과 그 중요성을 설파한 것이다. 그가 이렇게 교육한 것은 군대라는 사회 내에서 계급에 따른 일이나 위치, 그에 수반된 권력이 결국 자신의 성취로 착각하는 일들이 많았기 때문. 그는 의무, 명예, 조국 등 군인이라면 꼭 가져야 하는 가치가 한 번의 결정으로 자만, 권력, 욕심으로 더럽혀진다고 믿는 사람이었다. 

 

앞서 말한 것처럼 존 보이드는 행동하는 사람이었다. 매 순간 자신에게 주어진 직무를 충실히 해낸 인물이지만, 형식에 갇힌 관료주의와 싸우는 걸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 결과 그의 마지막 계급은 대령이었다. 그리고 남겨진 건 아파트 한 채와 연금뿐이었다고 한다.  

 

| 존재하는 전두광, 행동하는 이태신 

 

영화 <서울의 봄> 스틸 / 제공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서울의 봄>은 존 보이드의 이 개념을 영화로 옮겨 놓는 듯 두 인물을 대립시킨다. 중요한 사람이 되고 싶은 전두광(황정민)과 중요한 일을 하는 이태신(정우성)이 바로 그들이다. 1979년 10·26 사태가 벌어진 뒤 이 수사를 합동수사본부장 전두광 보안사령관이 책임진다. 그리고 그는 권력의 맛을 알게 된다. 당시 계엄사령관에 임명된 정상호 육군참모총장(이성민)은 이를 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10·26 사건 종결 후, 전두광, 노태건(박해준) 등 주요 요직을 맡은 인물을 타지역으로 내려보내려 한다. 이를 알게 된 이들은 권력을 오랫동안 장악하기 위해 쿠데타를 일으키기에 이른다. 

 

전두광은 물론, 하나회 멤버들은 이 모든 일이 다 조국을 위한 일이라고 하지만 이들의 행태를 보면 권력을 갖고 싶어 안달이 난 이들이라는 걸 바로 알 수 있다. 쿠데타 진행 과정에서 브레이크가 걸리는 일들이 벌어졌을 때 전두광을 비난하다가도 어떻게든 해결되면 칭찬모드로 변경하는 이들은 권력 앞에 놓인 갈대처럼 이리저리 흔들린다. 어찌 보면 전두광은 이들의 습성을 미리 인지하고 좌지우지했을 수도 있었을 것 같다. 그도 똑같은 인물이었으니까. 

 

영화 <서울의 봄> 스틸 / 제공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그의 반대에 서서 서울을 지키는 이태신은 자리가 아닌 일에 몸을 던지는 인물이다. 그 일은 조국과 국민의 안위를 걱정하는 마음에서 우러난다. 정상호가 전두광을 견제하기 위해 이태신을 수도경비사령관에 앉힌 것도 그 사명감 때문이다. 곁눈질하지 않고 자신이 택한 신념의 길을 오롯이 가는 그에게 권력보다 더 중요한 건 군인이 해야 할 일이다. 

 

두 인물의 가장 큰 차이는 ‘목적’에 있다. 전두광은 권력과 존재라는 목적을 두고 자기중심적으로 살아가는 일을 택한다. 반면, 이태신은 명예로운 참된 군인으로서 일하고 행동하는 일을 목적으로 둔다. 일을 행함에 있어 자신은 없다. 나라와 군인만 있을 뿐이다. 

 

| 전두광의 영화가 아니라는 미덕

 

영화 <서울의 봄> 스틸 / 제공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아수라> 이후 7년 만에 <서울의 봄>을 들고 온 김성수 감독은 관객을 1979년 12월 12일로 데려가 진압군과 반란군의 대결을 보여준다. 역사의 큰 틀을 벗어나지 않고 상상력을 가미해 사건을 재구성한 감독은 앞서 소개한 대결 구도를 기반으로 최대한 간결하면서도 속도감 있게 이야기를 펼쳐낸다. 중요한 건 이 작품이 전두광의 영화로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총소리를 들었던 그 겨울밤으로부터 44년이 지났다. 대체 그날 무슨 일이 있었길래 그날의 사건이 한국 현대사의 운명적인 전환점이 됐는지, 가슴 속에 있던 오래된 숙제를 영화로 보여주려고 했다.

 

감독의 말처럼 영화는 이 운명적인 전환점이 한 개인의 야망으로 이뤄진 것이 아니라는 걸 보여준다. 하이에나처럼 오랫동안 권력을 유지하고 싶은 하나회 무리들의 욕심이 서울의 봄을 빼앗은 거라고 말한다. 권력을 미끼 삼아 타협하고 몸집을 키운 한 집단의 야욕은 군인으로서의 신념을 가진 지키는 자들은 물론, 그토록 민주주의의 봄을 기다려온 국민들의 마음마저 집어삼킨다. 

 

 

영화 <서울의 봄> 스틸 / 제공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중요한 일을 하기 보다 중요한 사람이 되려는 이들이 많은 이때 <서울의 봄>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삶의 목적을 어디에 뒀느냐에 따라 나라의 운명이 뒤바뀔 수 있다는 걸 이 영화가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누구나 존재하는 삶, 행동하는 삶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기로에 설 것이다. 그 선택에 의해 누구나 전두광이, 이태신이 될 수 있다. 선택의 순간, <서울의 봄>을 기억해 보면 어떨까! 

 

 

 

참고문헌: 라이언 홀리데이, [에고라는 적], 흐름출판 

           로버트 코람, [보이드], 플래닛 미디어 

 

 


평점: 3.5 / 5.0

한줄평: 권력에 취한 이들의 하룻밤에 봄날은 갔다! 

작성자 . 또또비됴

출처 . https://brunch.co.kr/@zzack01/94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