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최작가2024-01-31 23:22:53

의지가 상실된 시대, 여전히 부재중

영화 [플랜 75] 리뷰



"고액의 연금을 수령하는 노인들이 청년을 갉아먹고 있습니다."

총성이 울리고, 피에 젖은 남성은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비슷한 노인 혐오 범죄가 급증하고,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플랜 75' 정책이 시행된다. 75세 이상의 노인들은 백만 원으로 일주일을 지내다가 안락사하도록 권유받는다. 영화 내에서의 사회는 노인을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한다.

참 이상하게도 영화에 나오는 어떤 노인도 청년 세대를 갉아먹는 것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젊어서 나라에 헌신했던 그들은 여전히 성실히 근무지에서 일을 하고, 집 근처의 쓰레기를 주우며, 낡은 집에서 홀로 삶을 연명하고 있다. 연금을 수령해서 호화롭게 사는 노인은 단 한 명도 없었다.

 

그렇다면 노인에게 범죄를 저지르는 청년층이 문제일까? 하지만 영화 속 등장하는 청년 중에 그 누구도 주변의 노인에게 증오의 감정을 품지 않았다. 그들은 멍하니 앉아있는 노인에게 라멘을 건네거나, 외롭고 쓸쓸한 노인을 일부러 찾아가 함께 시간을 보낼 뿐이다.

그럼에도 언론은 지속적으로 노인 혐오 범죄를 보도한다. 정작 현실에는 몇 없는 사례를, 보여주고 싶은 문제만 확대해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언론이, 언론을 장악하고 있는 세력이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 그 말은 '플랜 75'라는 정책이 결국 그 누구에게도 해결책이 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노인도, 청년도, 이 정책에 수혜를 받는 자는 아무도 없다.

 

미치 씨는 함께 일하던 친구가 며칠째 연락이 닿지 않자 집에 찾아가 본다. 그리고 발견한 것은 식탁에 엎드린 싸늘한 시체. 노인에게 죽음은 현재의 공포다. 미치 씨는 마찬가지로 독거노인인 자신 역시 언제 고독사 할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시달린다. 집은 철거 대상이고, 아무리 뛰어다녀도 일자리는 구할 수 없고, 2년 치 집세를 낼만큼의 경제적 자유도 없다. 미치 씨는 죽음이 자기 코앞에 다가왔다는 사실을 너무도 비참한 방식으로 알게 된다.

플랜 75 정책에 의해 일자리를 제공받은 청년들은 노인들의 공포를 먹고 자란다. 물론 나도 늙으면 언젠가 이런 식으로 죽음을 강요당할지도 모른다는 막연한 공포감도 존재한다. 하지만 청년들에게 그보다 더한 공포는 노인을 죽이는 일에 가담하지 않으면 당장 먹고 살 수 없다는 지독한 현실에 대한 공포이다.

 

미치 씨의 전화 상담사였던 요코는 고객과의 마지막 전화를 끊고 규정까지 어겨가며 개인 휴대전화로 다시 전화를 걸어본다. 아무리 신호가 가도 받지 않는 전화. 뻔히 휴대폰 기종과 맞지 않는 케이스를 끼우고 있는 것이 너무도 거슬린다. 더 이상 요코가 할 수 있는 것은 없다. 그녀는 눈물을 참으며 꾸역꾸역 밥을 먹는다.

미치 씨를 직접 만났던 요코는 알고 있다. 그녀가 마지못해 플랜 75를 신청했으며, 아직 살고 싶어 한다는 것을. 그러나 휴대폰에 맞지 않는 케이스처럼, 그 어떤 문제도 해결할 수 없는 이 정책에 자신을 끼워 맞출 뿐이다. 이 상황을 가만히 두고 방치해야 하는 자신, 그리고 더 많은 젊은이들과 눈을 마주친다. 그녀의 눈동자는 묻고 있다.

노인을 죽이고, 죽여야만 한다고 주장한 일본 정부의 정책은 노인 혐오 범죄와 무엇이 다른가?

노인 혐오 범죄에 대한 해결책이 되었는가?

 

한편, 외국인 노동자인 마리아는 필리핀에서 심장 치료를 받는 딸을 살리기 위해 죽은 자들을 돌보는 일을 하게 된다. 죽은 자들의 물건을 정리하면서 마리아는 비싼 시계를 건네받는다. 손사래를 치지만 같이 작업하는 사람은 한사코 시계를 마리아에게 쥐여준다.

"죽으면 이것들은 다 쓸모없어. 쓸모 있으려면 누군가가 써야만 해."

어차피 그들은 기억되지 않을 테니까. 그리고 이 물건을 내가 쓴다는 사실조차 모를 테니까. 틀린 말은 아니다. 허무한 죽음을 맞이한 노인들과 함께 불태우느니, 산 사람이 유용하게 쓰는 것이 낫다.

미치 씨와 함게 호텔에서 일하던 친구는 우리 모두 플랜 75를 신청해서 편하게 여생을 보내자고 제안한다. 하지만 정작 호텔에서 해고된 이후에 걸려온 미치 씨의 전화를 귀찮아한다. 당연했다. 그녀에겐 돌아갈 가족이 있었으니까. 이제 내겐 돌봐야 할 손녀가 있고, 용돈을 주는 딸이 있으니까. 그런 사람에게 미치 씨는 그저 타인일 뿐이다.

마리아는 능숙하게 일본어를 하며 노인들을 돌보는 일을 하는 등, 완전히 일본 사회에 귀속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결국 그녀가 교류하고 도움을 받는 것은 함께 고국을 떠난 외국인 노동자들뿐이다. 우리는 마리아를 자연스럽게 타인으로 분류하고 있는 것이다.

아무에게도 기억되지 않을 노인을 살처분해서 얻은 여유로 누군가를 돌본들, 그것이 의미가 있을까?

노인을 쫓아내고 얻은 방에서 덜 늙은 노인을 재우는 것이 정말 의미가 있을까?

알지 못하는 누군가를 책임지는 것이 정말 당연한 일일까? 물론 좋은 일이다. 하지만 결국 우리는 서로에게 타인이고 남일뿐이다. 길에서 마주친 사람이, 자신은 곧 죽을 것이니 이 시계를 가져가라고 하면, 당신은 받을 것인가? 백범 김구 선생이 윤봉길 의사의 시계와 자신의 것을 기꺼이 바꿔 들었던 것은, 둘 사이가 의미 있었기 때문이다. 서로를 책임지라고 하기 이전에, 우리는 서로를 바라보고 이해하며 존중하는 연습부터 해야 한다. 그 후에야 책임은 어떤 의미를 가지게 된다. 

 

마리아는 결국 유품 속에서 돈뭉치까지 발견하게 된다. 일주일이라는 시간을 주었지만, 누군가는 그에 대한 보상으로 받은 돈을 다 쓰지도 못하고 죽는 것이다. 사람들에게 절실한 건 돈이나 무조건적인 책임이 아니다. 지금 우리들에게 필요한 건 돈을 함께 쓰고 싶은 누군가이자, 의미 있는 시간이다.

 

영화에는 미치 씨 말고도 한 명의 노인이 더 등장한다. 바로 히로무의 삼촌이다.

인생 마지막 만찬이 될 평범한 식사를 차멀미에 게워낸 노인이 죽음을 향해 걸어가는 모습은 너무도 초라하다. 그는 미치 씨와는 달리 어떠한 저항도 없이 죽음의 공기를 들이마시고 눈을 감는다. 그가 수십 장의 헌혈증을 미련 없이 버리듯 죽음을 받아들일 수 있었던 것은, 조카를 만났기 때문이었다. 자신을 기억해 줄, 이제는 세상에 남게 될 유일한 사람을 만났기에.

 

미치 씨가 모든 걸 내려놨다고 생각한 마지막 순간에, 죽음을 거부한 이유는 정확히 그 반대일 것이다. 정기적으로 노래방에 갈 정도로 노래 부르는 것을 좋아하고, 플라스틱 용기를 씻어내면 물기를 꼭 닦아내는 습관이 있으며, 볼링장에서 처음 만났던 두 번째 남편과의 추억을 회상해 줄. 그 누군가가 없다는 사실이 못 견디게 두려웠던 것이다. 아니, 어쩌면 그런 자그마한 것들을 더 많이 기억해 줄 누군가를 찾고 싶어서일지도 모른다.

 

이 대목에서 우리는 진정 사회가 개인에게 제공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는다. 그것은 안락한 죽음이 아니라, 죽음 이후에 잊히지 않고 기억해 줄 가족과 같은 존재. 그런 존재들을 지켜주어 우리가 함께 있을 수 있게 해주는 울타리. 이런 기본적인 것조차 지켜지지 않는 사회다. 지금의 사회는, 국가는, 부재중이다. 

 

히로무는 20년 만에 만난 삼촌에게 플랜 75의 신청서를 받아든다. 오랜만에 만난 가족에 그의 마음이 싱숭생숭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히로무는 안락사 당한 노인들의 시체가 쓰레기 처리장에 버려진다는 것을 알게 된다. 안다 한들, 자신이 바꿀 수 있는 것은 없었다. 고작해야 삼촌과 함께 밥을 차려 먹고, 살아온 삶에 대한 대화도 나누며 찜찜한 마음을 달래는 것이 전부. 이미 숨이 멎은 삼촌의 시체를 직접 화장하기 위해 모시는 것이 최선.

히로무와 요코는 제재를 받고 있다. 3촌 이내 가족의 사무는 담당해선 안 되며, 전화 상담사가 고객을 실제로 만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감정적 동요의 우려 때문이다. 실제로 이들은 노인들이 죽지 않길 바라지만 실제로 할 수 있는 것은 없었다. 과정에 대한 접근은 없이 결과를 해결하기 위해 급급한 제도는 아무런 의미가 없으니까.

 

영화는 그야말로 '상실의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에 대한 이야기를 담아낸다.

청년들은 변화에 대한 의지가 없다. 노인들은 삶에 대한 의지가 없다. 현재에도 미래에도 의지를 가진 사람이 없다. 이러한 의지의 상실은 사람들에게 무기력증을 선사한다.

그런데 궁금해진다. 의지가 없는 것은, 선택인 것일까?

우리에게서 상실된 의지는, 정말 우리가 원해서 상실한 것일까? 아니라면 어떠한 부재로 인해 '상실된' 것일까.

작성자 . 최작가

출처 . https://blog.naver.com/shn0135/223340119906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