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사월2024-05-15 22:27:57

투쟁과 예술, 그리고 삶

낸 골딘, 모든 아름다움과 유혈사태

전설적인 사진작가 낸 골딘의 삶, 예술, 투쟁, 그리고 생존 언니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후, 사진은 나의 유일한 언어였다. 나는 생생하게 반짝이는 뉴욕에서 죽어가는 친구들의 아름다운 모습을 포착했고, 있는 그대로의 내 얼굴을 솔직하게 담아냈다. 이제는 내 모든 명성을 걸고 거대 제약회사에 맞서 싸운다. 생존과 투쟁의 기록이 담긴 나의 일기장을 당신에게 펼쳐 보인다.

<낸 골딘, 모든 아름다움과 유혈사태> 줄거리

 



낸 골딘(Nan Goldin)

중상류층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난 낸 골딘은 10대에 카메라를 접했다. 1970년대에 그는 뉴욕으로 갔는데, 그곳에서 낸 골딘은 자신과 주변인들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나타내는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그의 사진에는 당시 미국의 언더그라운드 문화가 적나라하게 담겨있었는데, 예술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전시가 취소되기도 했으나 그의 개인적이고 내밀한 작품들은 결국 '새로운 장르'라 칭해지며 낸 골딘은 동시대의 가장 영향력 있는 예술가 중 하나로 뽑히기도 했다.

 



새클러(Sackler)

레이몬드 새클러, 모티머 새클러, 그리고 아서 새클러는 제약사인 퍼듀파머를 인수해 1957년부터 약을 판매했다. 그러다 1990년대에 그들은 오피오이드 약물인 옥시콘틴을 개발해낸다. 옥시콘틴은 새클러가의 전폭적인 지지하에 중독성 실험도 제대로 거치지 않은 채 대중들에게 판매된다. 그들은 의사에게 옥시콘틴 처방을 유도하기까지 하며 옥시콘틴이 세상에 퍼지도록 더 적극적인 활동을 이어간다.

하지만 옥시콘틴을 처방 후 사망한 환자들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옥시콘틴에 대한 사람들의 의심이 불거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클러가와 퍼듀파머는 도리어 '마약 중독자들에 의해 벌어진 일이지 옥시콘틴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는 식의 논리를 펼치며 홍보를 계속해나갔다.

 



P.A.I.N(Prescription Addiction Intervention Now)

'모든 아름다움과 유혈사태'는 세클러가에 대한 시위로 시작한다. 마약성 진통제인 옥시콘틴은 새클러가에게 막대한 부를 가져다줬지만 동시에 이 약이 안전하다 믿고 처방받은 많은 사람들을 중독과 죽음으로 몰아넣었다. 낸 골딘 역시 수술 후 옥시콘틴을 처방받았었고, 중독에 의한 극심한 고통을 견디다 겨우 살아났다.

낸 골딘은 결국 살아남았지만 그러지 못한 사람이 몇십만 명이다. 그렇기 때문에 낸 골딘과 생존자들은 P.A.I.N이라는 단체를 만들게 된다. 영화에서는 이들의 투쟁을 계속해서 따라가는데, 특히 낸 골딘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예술가'라는 자신의 권위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바바라(Barbara)

그리고 영화는 곧 낸 골딘의 가족사로 넘어간다. 낸 골딘의 언니인 바바라의 이야기를 하며 그가 유년 시절을 보낸 가정의 가장 내밀한 얘기를 풀어나간다. 낸 골딘은 바바라가 겪은 시련과 고통을 가감 없이 보여주고 자신의 이야기의 시발점으로 잡는다. 집에서 받아들여지지 못했던 바바라의 삶과 죽음이 낸 골딘의 작품 세계와 연결되며 누군가의 삶은 결국 투쟁의 반복임을 보여준다. 낸 골딘이 그의 삶에 대해 깊이 생각하기 이전부터 누군가는 투쟁을 이어나가고 있었으며, 그의 삶에 함께한 누군가들 역시 투쟁을 해나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영화를 찍는 동안과 그 이후에도. 이는 영화를 보고 있는 나에게까지 넘어오며 내가 몰랐던 때에도 알게 된 지금도 누군가의 투쟁은 계속되고 있음을 깨닫게 해준다.



 

삶(Life)

21세기를 지내고 있는 지금 낸 골딘이 적극적으로 찍어낸 20세기의 모습에서 얼마나 바뀌었을까. 많은 변화가 생겼다 말하는 이도 있을 테고 아직 변화는 멀었다 말하는 이도 있을 것이다. 성 정체성, 약물중독, 에이즈 등 낸 골딘이 담아낸 수많은 소수자들의 삶은 여전히 선입견에 시달리고 있다. 바뀌긴 할까, 죽음이 나을 수도 있는 삶의 반복에도 그들은 투쟁을 이어간다.

낸 골딘 역시 마찬가지다. 그의 투쟁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결국 많은 박물관에 새클러의 이름을 지웠다. 좌절이 계속되는 시대에 이는 실로 반가운 소식일 수밖에 없다. 과거의 삶은 투쟁으로 남고 이는 다음의 삶으로 이어져 나간다. 그렇게 '이어져 나간다'는 사실이 중요한 것이다. 약물중독에 고통받던 이들의 삶은 낸 골딘을 비롯한 다른 피해자들에게 이어졌고, 기약 없을 것만 같던 투쟁은 결국 실낱같은 성공을 이끌어냈다. 끝없는 삶은 결국 반복을 변화로 이끌어 낼 것이라는 희망을 이 영화에서는 보여준다.



 

모든 아름다움과 유혈사태(All the beauty and the bloodshed)

개인의 삶은 각자의 투쟁을 가지고 있다. 바바라의 가정에서 받아들여지지 못한 자신의 정체성에 의한 투쟁부터 낸 골딘의 주변 인물들이 가지고 있던 각자의 투쟁들, 그리고 낸 골딘 자신이 겪은 중독 등에 의한 투쟁까지. 이것들은 모두 사람들이 꺼려 하는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개인에게 내밀한 것이 된다. 하지만 낸 골딘은 이것들을 있는 그대로 사진으로 찍고 예술로 만들어냈다. 예술이 아름다움을 표현해 내기 위한 활동이다. 그리고 낸 골딘은 사람들이 꺼려 하는 투쟁의 모습들을 가감 없이 드러냄으로써 더이상 외면할 수 없는 도리어 눈을 뗄 수 없는 아름다움으로 만들어 버렸다. 그가 보여주는 삶과 그 안의 투쟁을 목격한 자들은 이전의 삶으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다.

<낸 골딘, 모든 아름다움과 유혈사태>를 본 관객들은 이제 자신의 삶과 그 안의 투쟁을 바라볼 때이다. 이 영화의 끝이 낸 골딘이 아닌 자신과 자신이 살아가는 사회에 대한 투쟁이길 바란다.

 

*이 글은 씨네랩으로부터 초청받아 참석한 <낸 골딘, 모든 아름다움과 유혈사태> 시사회에서 관람 후 작성하였습니다.

 

 

작성자 . 사월

출처 .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