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wr2024-06-03 07:39:59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가 갖추지 못한 것들
영화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이 이야기의 결론은 이미 정해져 있다. 퓨리오사는 핵전쟁이 야기한 문명 붕괴 후 황무지의 지배자로 군림하는 시타델의 임모탄에게서 탈출한다. 임모탄에게 건강한 아이를 낳아주는 것만이 중요한 그의 아내들도 함께한다. 그 과정에서 떠돌이 맥스를 만나 녹색의 어머니 땅으로 향한다. 그러나 그녀 기억 속 녹색의 땅은 사라지고 없다. 사막에서 유일하게 풍요롭던 퓨리오사의 고향은 다른 모든 곳처럼 황폐해졌다. 또 다른 녹색 땅을 찾아 떠나는 퓨리오사와 임모탄의 아내들. 그때 맥스가 말한다. 당신들이 가야 할 곳은 시타델에서 멀리 떨어진 환상 속의 녹색 땅이 아니라 바로 시타델의 심장부라고. 퓨리오사는 운전대의 방향을 바꾼다. 그리고 초남성 계급사회 시타델의 수장 임모탄을 죽이고 시타델을 차지한다. 여기까지가 체제 밖의 혁명과 변혁이 아닌, 모순의 핵심으로부터 시작하는 혁명과 변혁의 이야기*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 이야기다.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는 이야기의 시곗바늘을 되돌린다. 퓨리오사의 어린 시절로 돌아가 그녀가 어쩌다 녹색의 땅에서 납치되어 임모탄 아래서 총사령관 역할을 하게 되었는지, 그녀에게 녹색의 땅의 의미는 무엇인지, 왜 그녀의 한쪽 팔은 살‧뼈‧피가 아니라 기계 장치인지, 무엇이 그녀를 혁명과 변혁의 길로 이끌었는지, 왜 혼자 시타델을 탈출하지 않고 임모탄의 아내들과 함께했는지 등의 물음에 대한 답을 내놓는다.
어린 시절, 황무지의 약탈자 디멘투스 일당에게 납치된 퓨리오사는 자신을 구하러 온 어머니가 녹색의 땅 위치를 추궁당하다 살해되는 장면을 목격한다. 퓨리오사의 마음속에 분노와 증오가 깊게 새겨진다. 이제 그녀에게 중요한 건 생존해 복수하는 일이다. 뜻밖에도 기회는 여성, 노인 등 전투에 적합하지 않은 모든 사람을 악랄하게 착취하고 그 위에 군림하는 임모탄에게서 온다. 임모탄의 또 다른 요새 가스타운을 점령한 디멘투스는 임모탄과의 협상장에 퓨리오사를 데리고 가는데, 그녀를 발견한 임모탄이 협상 성사의 대가로 퓨리오사를 자신의 아내로 삼겠다고 제안했기 때문이다. 퓨리오사는 초남성 계급사회의 동맹을 가능케 하는 상징적인 재화, 방사능 오염으로 희귀해진 유전적으로 건강한 아이를 낳아줄 가치 있는 상품으로 교환‧증여되며 두 남성의 일시적 동맹을 성사시킨다.
그러나 퓨리오사는 건강한 사내아이를 낳아주는 도구라는 역할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임모탄의 아내들을 가둬둔 방에서 빠져나온 그녀는 머리를 깎고 남성 노동자 행세를 하며 임모탄 수하에서 복수를 위해 자신이 자원화할 수 있는 것들을 빠르게 습득한다. 타고난 재능과 후천적인 노력이 맞물려 차근히 역량을 쌓아나가던 중 현직 총사령관 잭의 눈에 들어 그와 가까워지고, 그의 도움으로 온갖 고난 끝에 마침내 복수에 성공한다. 그러나 디멘투스에 대한 복수는 헛헛한 공허함만을 준다. 퓨리오사는 자기 마음을 다른 동력으로 채워야 함을 깨닫는다. 그렇게 그는 임모탄의 아내들과 함께 시타델을 탈출한다. 즉 〈퓨리오사〉는 〈매드맥스〉에서 보여준 퓨리오사의 선택과 개성이 우연이 아닌 필연적 운명이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또 하나의 매혹적인 이야기다.
〈퓨리오사〉가 웬만한 범작은 너끈히 뛰어넘는 수작이라는 점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굳이 전작을 보지 않았더라도 쉬이 즐길 수 있고, 이번에도 노장이자 거장인 조지 밀러의 펄펄 끓는 열정과 그가 선사하는 영화적 황홀경에 감탄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 영화의 절대적 기준은 〈매드맥스〉일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 기준을 놓고 본다면, 〈퓨리오사〉는 여러모로 아쉬움을 남긴다.
먼저 서사다. 전작의 핵심은 변혁과 혁명으로 나아가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의 우정‧사랑‧연대였다. 한편 이번 영화의 핵심은 성장이다. 퓨리오사가 개인적 복수심을 넘어 더 큰 목적으로 나아가는 과정 말이다. 그런데 퓨리오사가 육체적‧정신적으로 강해지는 과정의 연결고리가 그리 튼튼하지가 않다. 단계적으로 차근히 진행된다기보다는 점프하듯 보여준다는 느낌이랄까? 퓨리오사가 강해지는 과정을 체감하지 못한 상태에서 ‘언제 저렇게 강해졌지?’라는 의문이 솟는 장면이 반복된다.
‘미투 운동(혁명)과 그 이후의 페미니스트로의 집단적 정체화(성장)’라는 사회 조류가 각각의 흐름을 대변하는 두 영화의 개봉 시기와 기묘하게 맞물린다는 점이 흥미롭다. 하지만 바로 이것이 이번 영화에 전작처럼 피를 끓게 만드는 요소가 부재한 이유다. 혁명 서사는 현실에 불만인 사람 모두의 심장을 두근거리게 하지만, 성장 서사는 특정 인물(혹은 누군가의 삶)에 대한 애정이 있는 사람에 제한된 소구력을 갖는다. 이야기의 전제와 완성도 두 측면 모두에서 〈퓨리오사〉는 전작에 비해 불리한 위치에 있다.
매력적인 캐릭터가 전작보다 현저히 적다는 점도 아쉽다. 메인 빌런이라 할 수 있을 디멘투스는 절대 빌런 임모탄을 마주한 순간 포스를 잃고 한없이 가벼워진다. 전작에서 극의 핵심 동력이었던 임모탄의 아내들과 그녀 중 한 명을 사랑하는 워보이, 주름진 여전사 같은 눈길을 끄는 캐릭터도 없다. 가장 큰 문제는 퓨리오사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주고 베푸는 임모탄의 총사령관 잭의 역할이다. 도대체 그는 왜 위험을 무릅쓰고 퓨리오사를 도울까? 단지 퓨리오사의 전투 능력이 출중해서? 혹은 (달랑 대사 한 줄로 전달되듯) 그의 부모님이 혼란한 세상에서도 정의를 추구한 군인이었기 때문에? 영화는 전작에서 맥스가 담당한 여성 혁명의 남성 조력자 역할을 잭에게 부여하려 하지만 잭 캐릭터의 입체성과 주변 인물과의 관계성 모두에서 이 시도는 실패한다(이는 뒷모습으로만 짧게 등장하는 맥스로 추정되는 남자의 존재감이 커다란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 시리즈만의 압도적인 사막 드라이빙 액션신도 이 모든 것이 제대로 뒷받침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긴장감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명장면은 영화의 다론 모든 요소가 유기적으로 맞물릴 때에만 가능하다.
이쯤에서 이 영화에 대한 아쉬움의 절대적 근거가 전작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할 필요가 있겠다. 전작의 아우라와 감동을 기대한다면 어쩌면 실망은 ‘당연한’ 일이다. 〈퓨리오사〉가 웬만한 영화보다는 훨씬 재밌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다음 작품을 고대할 정도로 말이다. 얼마든지 기다릴 수 있으니, 조지 밀러가 시타델 혁명 이후의 이야기를 다룬 세 번째 영화로 건강히 돌아오길 염원한다.
*조지 밀러 감독은 페미니스트 철학자에게 영화 전반에 대한 심도 있는 자문을 구했다고 밝힌 바 있다.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