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ong2024-07-14 20:18:29
'프로젝트 사일런스'보다 부실한 것 같은 기획력
<탈출 : 프로젝트 사일런스> 스포일러 없는 리뷰
30중 추돌사고
이 영화의 주인공은 청와대 행정관 차정원(이선균)이다. 딸(김수안)과 함께 사는 싱글파더 정원. 직장이 청와대인 탓에 위에서도 어깨가 무겁지만 그의 입장에 더 중요한 과제가 있다. 바로 딸이 랩(힙합)을 하고 싶다는 것이다. 궁여지책으로 낸 해결방식은 호주로 유학을 보내는 것이다. 운전 중인 정원. 그전에 이상한 양아치 조박(주지훈)와 말다툼이 있던 것은 아무래도 중요하지 않다. 한참 운전에 집중하고 있는데 사건이 벌어진다. 콰콰쾅하는 소리가 난다. 앞에서 확인하니 수많은 차량이 추돌사고를 일으켰다. 어수선한 도로. 군인들이 모여 도로를 정리하는 것 같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 일어난다. 개 한 마리가 혼자서 돌아다니더니, 이내 곧 군견들이 사람들을 공격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당황하는 사람들. 골프선수 유라(박주현), 병학과 순옥(문성근/예수정), 과학자(김희원) 역시 뾰족한 수가 있는 건 아니었다. 생지옥이 된 도로. 과연 탈출할 수 있을까?
재난에'만' 집중하다
사실 이 <탈출 : 프로젝트 사일런스>는 재난영화라는 근본을 충실히 쫓아간다고 볼 수 있다. 재난영화의 근본이 뭐야? 기본적으로 현 사회 시스템에 대해 다룬 영화라고 볼 수 있다. 재난이 벌어진다. 그럼 그 재난을 수습하려면 어떤 상황이 벌어지겠지? 그 상황에 대해 이상적인 대처를 보여주나(<비상선언>, <볼케이노>) 한 사회의 시스템에 대해 비판하거나(봉준호 감독의 <괴물>) 정부차원이 아니더라도 시민들이 연대해서 극복하는 줄거리(<칠드런 오브 맨>)거나 시민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저열한 인간군상극(<부산행>)이 나올 수 있다. 이 <탈출 : 프로젝트 사일런스>는 이 특성 중 하나를 그대로 가져왔다. 바로 <괴물>의 사례다. 이것을 잘 살리는 주인공 차정원은 청와대 안보실 행정관에서 근무하는 인물이다. 그럼 청와대의 인물들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 어떤 인물이랑 연결됐을까? 바로 유력한 대권후보 정현백(김태우)이다. 이 설정은 이 영화가 한국사회에 대해 비판할 때 중요한 연결고리가 된다. 또 영화가 하이라이트에서 강조하는 무언가가 있다. 이 무언가가 (합을 맞춘 티가 날 지언정) 이 차정원이라는 인물이 이 역할을 맡아 이 이야기를 끌고 가고 이 상황을 맞이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설명해 주는 근거가 된다. 영화가 인물 설정을 통해 무언가를 노리고 이 작품을 기획했는지가 드러나는 셈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영화가 장르를 공간으로 설정한 방식 역시 돋보인다. 이 영화는 도로에서 모든 사건이 벌어지는데, 그 이유는 두 가지인 것으로 보인다. 첫째는 장르적인 토대를 만들고 싶어서. 자동차가 30중으로 추돌사고가 일어나 그 여파로 크리쳐들이 풀려난다. 크리쳐들이 풀려나는 계기가 도로에서 벌어지는 일에만 국한 짓는 것이다. 뭐 바닷물에 오염수를 뿌렸다던가 하는 일이 일어난다고 가정해 보자. 그럼 <괴물>이 생각난다. 또 그 오염수라는 것에 변수가 좀 있다. 그 안의 생태계라던가 환경단체의 감시 같은 것들이 세계를 이루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있을까?라는 걸 생각해 보면 2020년대에 이런 접근은 무의미하게 느껴진다. 나름 영화가 독자적인 노선을 고른 것이다.
그리고 글쓴이는 이 영화가 도로라는 공간적 배경을 선택한 이유가 인물들의 소시민적인 특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도로가 뭘까? 기본적으로 양 방향에서 오며 가며 이동하는 것이 도로다. 이 도로에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차에 탑승한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일단 차에 있다. 겉으로 이 안에 있는 사람이 대통령이건 국무총리건 알 수 없다. 차만 보인다. 인물들 간의 수평적인 관계가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다. 영화는 이 특성을 동력으로 삼았다. 이 영화는 실제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사회 안의 계급을 활용하지 않는다. 플롯에는 기능적일지언정 이야기 안의 문제 해결에는 인물들이 자기 몫 다 한다. 또 자기들끼리 직간접적으로 소통하는 모습도 적지 않게 보인다. 골프선수와 호주 유학 가려는 10대 여학생이 대화할만한 일이 그렇게 많지는 않겠지? 그리고 서로 아이디어를 내는 데에 있어서도 누가 높고 낮다 이런 게 없다. 각자 캐릭터들이 도로라는 공간적 배경 하에 하나로 집결시킨 것이다. 둘째로 이 영화는 도로의 공간적인 특성이 플롯 안에 새겨놓은 흔적까지 보인다. 도로는 두 방향에서 서로 오고 가는 것이다. 만약 이 것의 한 방향을 자른다면? 한 방향 안에서만 머무를 수밖에 없다. 그럼 돌아가야 한다. 도로를 통제하는 사람들이 아니라면 그냥 그 도로 안에 갇힐 수도 있다. 여기서 이 영화가 던지는 윤리적인 문제와도 닿는데, 만약 이 도로를 이용하는 이용객 중 하나가 도로를 관리하는 입장이라면 그게 공정한 것일까? 이 질문을 영화가 도로라는 공간적 배경으로 구현한다. 극후반부를 보면 인물들이 도로를 둘러싼 리액션을 보여준다. 이 리액션이 사실상 영화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는데, 공간적 배경이 ‘도로’가 아니었다면 이 구도가 나오지 못했다는 점에서 공간이 영화의 핵심이 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부분이다.
사라진 서스펜스
이 영화의 가장 치명적인 단점이라고 하면 긴장감이 없다는 것이다. 이 영화에 있어 실질적인 재난에 해당하는 것들은 군견이다. 군견은 적군을 학살하는 것에 있어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전적으로 일반적인 군견 같지 않다. 근육이라던가 감각이라던가 기동력이라던가 굉장히 뛰어난 애들이 이 군견들이다. 그리고 다른 설정. 영화가 안개가 자욱하다는 것이다. 그럼 어떤 서스펜스가 생기겠어? 보이지 않는 곳에서 보이는 곳으로 들이닥치는 서스펜스가 있겠지? 영화가 이 서스펜스를 잡았을까? 아니오. 그럼 어떻게 잡았어야 했을까? 바로 청각적인 쾌감을 잡는 것이다. 하지만 영화는 이걸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조박(주지훈)이 받아야 할 돈만 중요하게 생각하거나 기능적으로 소비되는 네 캐릭터만 반복적으로 보여줄 뿐이다. 아니면 정원 부녀의 관계를 보여준다. 이게 영화가 프리미어를 가졌던 칸 영화제와는 다른 분량이라서 애매하게 된 지점이 있는데, 부녀관계가 더 깊숙해야 하는데 매가리가 없기 때문에 차라리 이 부분을 조금 덜 가져가더라도 장르적인 이해도에 주안점을 찍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영화에서 크리쳐에 해당하는 군견들도 이야기의 흐름에서 굳이? 싶은 점이 많다. 가장 큰 이유. 이 크리쳐들이 개일 이유가 있었을까? 이것은 영화에서 양 박사 캐릭터에게 설명이 부족했다는 과도 이어진다. 영화 안에서 양 박사는 군견들을 탄생시킨 프로젝트의 책임 연구원이다. 그럼 이 프로젝트를 굉장히 잘 알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 이면을 설명하는 방법 중 하나는 개의 특성을 영화 안에서 핵심 소재로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군견들의 단점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서스펜스가 생길 수도 있다. 필요한 물건이 있을 것이고, 그 조건이 발휘되거나 그렇지 않는다라는 경우가 있으니까. 하지만 영화는 이것에 관해 그냥 1차원적으로 활용하고 끝낸다. ‘개코’라는 관용어구가 있는 만큼 냄새로 인물들을 추적한다던가 하는 방식이 영화 안에서 중요하게 작동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탈출 : 프로젝트 사일런스>는 근육질의 강아지만 보여주는 선에서 상상력을 피지 못한다. 솔직히 이 영화의 재난이 <미스트>처럼 못생긴 괴물이면 어땠을까? 그건 차라리 비주얼이 무섭기라도 해서 '쟤한테 걸리면 끝장나겠다' 겁이 나기라도 한다. 이 영화의 강아지 묘사라면 호랑이, 고양이, 늑대, 하다못해 모기나 파리 같은 곤충들이었어도 큰 문제가 없다. 영화가 서스펜스에 중요한 것들을 놓친 셈이다.
만화가가 꿈이어도 되는 거 아닌가
이 영화의 캐릭터들이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있어 100% 적합하지는 못했다. 대표적으로 유라라는 캐릭터가 그렇다. 이 인물은 <부산행>의 마동석 배우 캐릭터 같은 느낌이 있을 거라 생각했다. 무기를 활용해서 크리쳐들을 활용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 아내로 나온 정유미 배우의 캐릭터가 임산부인 것을 활용해 이동이나 보고 듣는 것에 제약이 생기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이 생기는 것이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 골프선수라는 직업적 떡밥(?)을 해결하는 방식을 보면 조악하다. 사실 유라가 사격선수라면? 군인 출신이었다면? 골프선수보다 후반부의 전제조건에 더 깔끔하게 호응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둘째. 영화에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정현백이라는 인물물과 군인들이 가진 현실적인 능력 묘사가 이 영화와 적합했는지는 의문이다. 영화 후반부까지 다 보고 나서 드는 의문이기도 한데, 청와대 조직을 글쓴이 같은 20대 남성이 알 리는 없기는 하다. 하지만 분명하게 말하고 싶은 것. 이게 특정 누군가가 이 모든 상황을 컨트롤했다기엔 반론거리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노부부 병학(문성근)과 순옥(예수정)은 이 영화가 둔 가장 큰 패착이다. 이야기를 납작하게 만들 거라는 걸 예측하는 것과 동시에 전 국민이 보고 즐길 오락영화와는 전적으로 다른 장면이 나온다.
의문스러운 기획
전체적으로 영화가 노리는 바는 있었지만 그것을 이루는 토대가 부실했다고 말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 <탈출 : 프로젝트 사일런스>다. 스릴러물로서의 서스펜스? 그렇다기엔 긴장감을 잡으려는 시도가 크리쳐 디자인 말고는 잘 느껴지지 않았다. 동시에 이야기의 힘으로 플롯을 끌고 가기엔 인물들이 차정원을 제외하고 극을 이끄는 데 있어 적합하지 못하다. 허점이 너무 많은 것이다. 이걸 총합하면 얕은 영화라는 평이 가능하다. 인물도 다 예상되고. 영화의 핵심 사건도 다 예상되고. 캐릭터들을 기발하게 활용한 것도 아니고. 한국사회의 정치판을 비판하기엔 조직 내부의 알력다툼에 무심하고. 과연 이게 어떤 생각을 가지고 이 영화를 만들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덱스터 스튜디오의 CG 기술력만 느껴진 작품이었다.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