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주의가 팽배하고, 경제는 내리막길이고, 이곳 저곳에서 전쟁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어느 때보다도 먹고 살기 힘든 세상이며, 조금이라도 가져야 할 행복은 온 데 간 데 사라졌다. 이럴 때일수록 우리에게 필요한 건 사랑이다. ‘사랑은 무신 얼어 죽을 놈의 사랑’이라 반박할지 모르지만, 그럼에도 사랑, 사랑, 사랑이다. 핀란드의 아키 카우리스마키 감독의 신작 <사랑은 낙엽을 타고>는 척박한 세상에 그나마 행복이란 꽃을 피워내는 건 사랑이라 말한다. 특유의 괴팍한 유머와 건조하리만큼 무표정한 이 커플의 모습을 보여주며.
영화 <사랑은 낙엽을 타고> 스틸 / 사진 제공 찬란
마트에서 일하는 안사(알마 포이스티)와 공장에서 일하는 홀라파(주시 바타넨)는 일을 마치고 동료와 함께 가라오케로 향한다. 그곳에서 이들은 서로를 눈여겨본다. 짧은 만남을 뒤로한 채 안사는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을 가져갔다는 이유로 해고당한다. 술과 담배로 무미건조한 삶을 버티는 훌라파는 거리에서 안사를 만나고, 카페, 극장 데이트를 나누며 오랜만에 따뜻한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다음 만남을 기약하며 안사는 홀라파에게 전화번호를 적은 쪽지를 건넨다. 하지만 디테일이 부족한 이 남자는 그 쪽지를 잃어버리고, 마지막으로 헤어졌던 극장 앞을 서성인다.
아키 카우리스마키 감독 / 사진제공 다음 영화
의미하고 불필요한 전쟁에 시달리던 중,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주제에 관해 쓰기로 결심했다. 사랑에 대한 갈망과 연대, 희망, 타인에 대한 존중, 자연, 삶과 죽음이 바로 그것이다.
2017년 <희망의 건너편> 이후 은퇴를 선언했던 감독은 6년 만에 자신의 말을 주워 담고, <사랑은 낙엽을 타고>를 만들었다. 6년이란 시간 동안 다사다난했던 온 세상의 일들이 노 감독의 마음을 움직였다는 점에서 한편으론 고맙기도 하지만, 그만큼 우리의 삶에 중요한 것들이 점차 잊히고, 상실되었다는 걸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니 씁쓸한 여운을 남긴다.
영화 <사랑은 낙엽을 타고> 스틸 / 사진 제공 찬란
<사랑은 낙엽을 타고>는 이 씁쓸한 감정과 분위기로 가득 차 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겪는 고용 불안, 경제 하락 등 먹고 살기가 더 힘들고 팍팍해진 삶은 그 우울함을 배가시킨다. 유통기한을 넘긴 음식을 가져갔다고 해고당하거나(물론 가져가면 안 되는 건 맞다.), 힘든 삶을 잠시 잊고자 켜는 라디오에서 매번 음악 대신 전쟁 뉴스가 흘러나오는 건 이를 잘 보여준다. 알코올에 의존해 일을 하거나 가스통 옆에서 담배를 피우는 등 은연중에 삶과 죽음의 기로에 선 이들의 삶도 엿볼 수 있다. 특히 감독이 영화를 통해 집중했던 노동자들의 불안한 삶을 그렸다는 점은 극 중 특유의 무표정한 얼굴로 표현되며 극대화된다.
그렇다고 이 영화가 켄 로치 감독의 영화처럼 노동자들의 비루한 삶을 투영하는 사회 비판적 작품은 아니다. 앞서 소개했듯 <사랑은 낙엽을 타고>는 사랑을 주제로 한 로맨틱 코미디다. 아이러니하게도 무미건조한 삶 속에서 우연한 이들의 만남, 재회, 데이트, 그리고 사랑이란 감정은 더 돋보인다. 과장이 아닌 너무나 담백해서 무색무취한 감정이라고 해도 그 오가는 정은 관객으로 하여금 오롯이 느낄 수 있다.
영화 <사랑은 낙엽을 타고> 스틸 / 사진 제공 찬란
돌고 돌아 비로소 재회한 이들의 첫 저녁 식사 준비 장면은 이를 잘 보여주는데, 멋진 데이트를 위해 식기를 고르고, 값싼 구색 갖추기용 술을 사고, 집을 청소하는 안사, 여자에게 잘 보이기 위해 옷을 빌리고 꽃을 사는 홀라파의 모습은 여느 로맨틱 영화보다 더 설렌다. 그 설렘의 근원은 삶이란 지난한 여정을 가는 상황에서 피어난 사랑의 기적이라는 점일 것이다. 그 시간이 지나면 고된 일과 일상이 그들을 기다릴지언정 이 순간만큼은 만끽하고 싶은 그 소중함. 감독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느끼고, 갖고 싶어 하는 순간과 감정들의 고귀함을 스크린으로 옮긴다. 이 영화에서 그토록 노래 부르는 장면이나 음악이 나오는 장면이 자주 나오는 건 이 때문이 아닐까.
영화 <사랑은 낙엽을 타고> 스틸 / 사진 제공 찬란
극 중 등장하는 사랑은 한 발 더 나아가 연대의 의미를 고취시킨다. 안사와 홀라파는 서로를 사랑하는 사람인 동시에, 힘겹게 살아가는 노동자들이다. 이들의 사랑이 힘겹게 이뤄지는 과정은 곧 같은 처지에 있는 이들이 서로 이해와 공감을 하는 과정과 일치해 보인다. 이는 이들의 관계에서만 빗어지는 게 아니다. 안사와 홀라파의 직장 동료는 물론, 홀라파가 입원해 있었던 간호사에게도 이 따뜻한 기류가 전파된다. 만약 안사와 홀라파의 처지에 공감하고 이들의 사랑을 응원하는 관객들이라면 스크린을 넘어 그 의미를 충분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영화 <사랑은 낙엽을 타고> 스틸 / 사진 제공 찬란
누가 뭐라 해도 <사랑은 낙엽을 타고>는 크리스마스 시즌에 어울리는 영화다. 감독이 의도하진 않았겠지만, 어렵게 길어온 그 소중한 감정은 냉기만이 흐르는 작금의 시대에 작은 촛불과도 같다. 올 연말, 이 영화를 마주한다면 저마다 작은 촛불을 마음속에 간직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모두 사랑하자! 러브! 러브! 러브!
평점: 4.0 / 5.0
한줄평: 냉기만이 흐르는 시대에 켜진 작은 촛불
* 씨네랩 크리에이터로서 시사회에 참석 후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