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NELAB2025-02-24 14:54:30
2월 넷째 주 주말 박스오피스 분석 with 씨네픽
아쉬운 성적, 그러나 순위 유지는 성공한 새로운 캡틴 아메리카!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가 국내 누적 관객 수131만 명, 북미 누적 수익 약 1억 4,00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국내와 북미 모두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습니다. 순위는 유지하였으나, 북미 박스오피스에서 지난주와와 비교하여 수익이
약 68%가 하락해 우려를 모으고 있습니다. 이번 작품은 약 1억 8천만 달러의 제작비가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미 박스오피스 2위를 차지한 <더 몽키>는 <기생충>, <아노라>를 배급했던 네온의 역사상 두 번째로 큰 작품으로,
<롱레그스>로 연출력을 인정받은 오즈 퍼킨스 감독의 신작입니다.
스티븐 킹의 1980년대 단편소설을 각색한 작품으로, 쌍둥이와 그들의 어린 시절 장난감인 원숭이가 사람들에게
죽음을 초래하는 이야기를 다룬다고 합니다. 작품의 원작자인 스티븐 킹은 다른 그의 작품과는 확실히 다르다고 강조하며
"미친 듯이 독창적"이라고 평하기도 했습니다.


Relative contents
-
- 진부하더라도 말해져야 할 희망의 가치
사실 홀로코스트를 소재로 한 영화는 많다. 제2차 세계대전이 인류의 삶에 끼친 영향이 막대했기 때문이겠다. 같은 소재를 사용한 작품이 많아질수록, 작품들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는 중요한 가치판단의 기준이 생겨나기 마련이다. 나는 그런 작품들을 바라볼 때 소재를 얼마나 색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는지, 어떤 추가적인 소재를 활용하는지를 통해 본다.
사실 이제는 소재의 싸움이 어느 정도 그 한계를 맞고 마무리되어 가는 시기다. 다양한 소재를 통한 예술 작품들이 출품되고 상영된 지는 이미 꽤 지났다. 이런 상황일수록 같은 소재라 하더라도 독특한 연출법과 패러다임들이 작품을 빛내게 된다. 이를테면 3시간이 넘는 러닝타임으로 인터미션까지 있어 화제가 된 <브루탈리스트>가 있다. 이 작품 또한 제2차 세계대전을 소재로, 주인공이 가지는 성격인 이민자, 건축가라는 요소를 중점으로 내러티브를 전개하고, 주제 의식을 풀어간다. 앞서 말한 ‘많이 사용된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색다른 요소를 첨가한 것이다. 관점을 달리하면 작품에 대한 관점 또한 달라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실제로 평단의 호평을 받아 올해 개최하는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비롯한 여러 부문에서 노미네이트 되는 성과를 쥐었다.
<화이트 버드>는 그런 점에서 인상적이다. 제2차 세계대전 배경의 이야기, 홀로코스트라는 일종의 “흔한 소재”를 차용했다. 그러나 당시 소련과 나치의 이데올로기를 전파하고 관객에 주입하는 데에 사용됐던 ‘영화’라는 매체를 돋보이게 한 점이 눈에 띈다. 핵심적인 시퀀스는 사라(아리엘라 글레이저)가 줄리안(올랜도 슈워드) 가족의 헛간에서 숨어 지내며 희망을 잃어갈 때, 상상으로 만들어내는 이미지와 영사기를 활용해 실제 영상을 봄으로써 희망을 찾는 과정에 있다. 당시에는 나치의 이데올로기나 사상을 선전하는 데 사용됐던 영화가 사라와 줄리안에게 만큼은 희망과 미래의 상징으로써 사용되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화이트 버드>가 희망을 말하는 방법
희망을 말하는 여러 상징물이 등장한다. 앞서 말했던 영화에서부터 시작해, 영화의 제목이며 가장 중요한 심볼로 등장하는 ‘화이트 버드’, 하얀 새가 있다. 영화에서는 하얀 새를 의도적으로 반복해서 등장시키고 강조한다. 주로 사라가 헛간에 숨어 지내는 과정에서 등장하는데, 희망을 잃을 위험에 처하는 상황들 속에서 희망을 잃지 않도록 하는 일종의 장치로서 등장한다. 하얀 새가 ‘평화, 자유’라는 의미를 뜻하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88 올림픽’ 당시 날렸던 수많은 비둘기가 흰색을 띠기도 했다. 이는 자유와 희망, 평화 등의 상징적 의미를 올림픽을 관람하는 이들에게 보여주고자 했던 퍼포먼스였다.
이 ‘화이트 버드’는 사실상 영화 전체를 지배하는 상징물로서 작용한다. 사라의 희망을 위한 것에서부터, 영화를 바라보는 관객의 희망을 위해. 그리고 줄리안이 소아마비로 불편했던 두 다리로부터 자유로워지는(영화 종반부에서의 장면인데, 꽤 슬픈 상황이지만 작 중 사라가 “어쩌면 줄리안이 자유로워진 순간이었을 수도 있다”라는 대사를 남긴다.) 순간에서 등장한다. 사라가 줄리안으로부터 선물 받은 목각 새 인형 또한 그런 상징성을 가진다.
단순 새라는 상징물뿐 아니라 사라와 줄리안, 그리고 그의 가족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사라를 둘러싼 그 주변 사람들 모두. 그들은 모두 서로를 의심해야만 하는 상황에서도 돕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나치당원들의 감시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그 사이에서 서로를 돕고 좌절하지 않는다. 그들은 다정함은 다른 이를 끌어내리고 무너뜨리려 하는 악의보다 강하고, 끈질기며 가치 있다고 여긴다. 실제로도 그렇다. 타인에게서 미움받은 경험보다, 타인에게서 받은 호의와 사랑의 힘은 양에 비해 강력하고 지속적이다. 다만 영화에서 일종의 “감동 유발 장치”로 사용되는 ‘노래’는 다소 작위적이고, 전개 과정에서 등장의 수미상관을 이룸으로써 “플래그” 적으로 사용된 것이 아쉽다. 의도 자체에 아쉬움을 표하고 싶진 않다고 하더라도, 그 의도가 노골적으로 드러났음에 매우 아쉬움을 느낀다.
원작이 있는 영화의 딜레마
원작이 있는 영화는 항상 딜레마에 휩싸인다. 어떤 장면과 연출을 살려둬야 할지, 아니면 각색해야 할지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 사람마다 중요하다고 여기는 장면과 요소들이 다르기 때문에, 특히 원작이 있는 작품은 영화로 각색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비판과 아쉬움을 낳게 된다. <화이트 버드> 또한 원작 소설이 있는 작품이다. 그렇기에 이 ‘무엇을 각색할 것인가, 무엇을 보존할 것인가’ 딜레마에 빠지게 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일 것이다. 나는 원작이 있는 작품이라면 원작을 관람 전후로 무조건 확인해보는 편인데, 그렇지 않으면 영화가 원작을 얼마나 참고했는지와 원작을 잘 각색하려고 노력했는지를 알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원작과는 다르게 각색된 부분들이 몇 있었는데, 특히 노인이 된 사라가 과거를 이야기하는 스토리텔링의 방식이 영상통화를 통하는 원작과는 달리 영화는 사라가 직접 손자의 집에 방문해서 전하는 것으로 택한다. 과연 의문이다. 원작을 보존했어도 크게 이상하지 않았을 흐름이었음에도 불구, 오히려 보존했다면 더욱 과거와 현재에 대한 구분이 지어지면서 스토리텔링과 현재의 시공간이 자연스럽게 왕복하는 듯 보였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게 됨으로써 현재와 과거의 비슷한 컬러 톤이나 미장센 등의 유사성으로 인해 자칫 두 시공간이 같은, 어쩌면 크게 시간적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오해될 수 있는 여지가 남겨지게 됐다. 이는 원작 고증과 각색의 딜레마에서 오히려 패착이 될 가능성에 대한 결정을 했다고 볼 수밖에 없지 않을까.
그렇다 하더라도 <화이트 버드>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어났던 인종 말살 행위에 대한 무도함에 대한 매체적 비판을 행함으로써 그 가치를 보여주기를 택한다. 그것을 얼마나 정교하게 보여주는가에 대한 물음에 날카로운 대답을 던지지는 못했으나 작품이 가진 소재의 가치와 메시지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당당하게 자부심을 드러냈다.
세계가 급변하고 어떤 가치가 이 세상을 더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가게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들게 되는 요즘일 것이다. 기존에 믿고 있던 가치가 흔들리게 될 수도 있고 종잡을 수 없던 마음이 오히려 단단히 굳어지는 과정에 놓여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한 가지, 이 영화가 주목하는 ‘자애와 박애, 그리고 선의’라는 가치를 넘겨짚어서는 안 된다. 전쟁이 반복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는 21세기, 특히 생명이라는 가치의 소중함이 점점 희박해지는 이 현실에서 그 가치를 지켜야만 인류는 미래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생명과 존엄함의 가치 아래서, 이 영화를 관람할 수 있기를. 그리고 관람 후에도 그 가치에 대한 평가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기를 바라는 나의 간청을 모든 관객에게 바친다.
* 이 글은 '씨네랩 크리에이터'로서 시사회에 초청받아 관람한 뒤 작성했습니다.
-
- 쏠 때마다 빗나가는 웃음사망꾼
지난 30일 개봉한 신작 '아마존 활명수'를 보고 있노라면, 과거 MBC 예능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 출격했다가 '웃음 사망꾼' 타이틀을 얻게 된 박명수가 떠올랐다. 이후 '무한도전'의 '웃음 사냥꾼이 간다' 특집을 통해 재기를 노렸으나, 웃음을 노린 포인트들이 하나같이 불발탄처럼 터지지 않아 폭삭 망했기 때문이다.
'아마존 활명수'도 극장을 찾은 관객들을 웃기려고 있는 대로 긁어와 계속 활시위를 당기지만, 번번이 웃음 과녁에서 빗나간다. 그러다 보니 관객들의 텐션과 집중력은 점점 떨어지고 믿고 보는 호감 배우들마저 비호감으로 보이게 만드는 기현상을 만들어낸다.
영화는 집에서도 회사에서도 구조조정 대상인 전 양궁 국가대표 진봉(류승룡)이 한국계 볼레도르인 통역사 빵식(진선규)과 신이 내린 활 솜씨의 아마존 전사 3인방(이고르 페드로소, 루안 브럼, J.B. 올리베이라)을 만나 제대로 한 방을 노리는 이야기다. 특히 1626만 명 관객을 동원했던 코믹 영화 '극한직업'의 주역인 류승룡, 진선규, 배세영 작가가 '아마존 활명수'로 재회해 기대를 모으기도 했다.
한국인이라면 참을 수 없는 스포츠 종목 양궁을 선택한 건 좋았다. 여기에 지구 반대편에 있는 아마존 풍경, 그곳을 누비는 전사 3인방을 스크린 안에 담는 것도 꽤 신선했다. 그러나 참신함은 여기까지였다.
연출을 맡은 김창주 감독이 코미디 장르를 잘못 이해한 것 같다. 영화 속 캐릭터들을 지나치게 작위적으로 표현한 게 문제다. 주인공 조진봉을 맡은 류승룡은 그간 쌓아온 내공을 토대로 캐릭터에 입체화시키려고 하나 설정이 에러였다. 집과 회사에서 구박받는 무능력 캐릭터여도 저마다 색깔이 있을 텐데, 웃음 욕심 때문인지 닥치는 대로 섞다가 시대착오적인 캐릭터로 변질됐다. 주인공부터 몰입감이 제대로 되지 않으니 그의 서사나 변화에 관심도가 떨어진다. 이와 맞물려 빵식이나 아내(염혜란), 빌런까지도 무색무취다.
같은 영화가 맞나 싶을 정도로 전반부와 후반부 분위기가 너무나 다르다. 갈피를 못 잡고 헤매는 코미디에서 갑자기 스포츠물로 변모하더니 장르적 클리셰를 통해 긴장감과 감동으로 메꾸려고 한다. 그러나 이는 아마존 전사 3인방과 이들이 처한 상황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며, 조진봉 캐릭터는 주변인으로 전락하고 만다.
이 때문에 코믹 연기에 일가견 있는 류승룡, 진선규의 연기는 영화에서 빛을 발하지 못하고 겉도는 느낌이 든다. 코미디를 쉽게 생각한 감독의 안일함이 불러온 대참사인 셈.
그나마 기억에 남는 건 '부채표 활명수'로 유명한 동화약품과의 컬래버레이션 광고, 그리고 아마존 3인방으로 분한 브라질 배우들이다. 신선한 캐스팅과 안정적인 연기력으로 겨우겨우 영화를 숨 쉬게 만든다.
★☆
-
- 울 것 같은 표정으로 총을 든 남자의 비밀
* 이 글은 영화 시사회에 초대받은 후 작성되었으며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내용을 일부 포함하고 있습니다. 글을 읽을 때 참고해 주세요 : )
나쁜 감정엔 바닥이 없다.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면 두렵고 불안한 마음은 점점 커지고 더 깊은 수렁으로 빠지게 된다. 하지만 감정을 원하는 대로 해결하기란 몹시 까다롭다. 자신도 어찌할 수 없는 나쁜 감정에 휩쓸리는 순간, 세상에 떠도는 수많은 비극이 탄생한다.영화 <킬링 오브 투 러버스>에도 나쁜 감정에 고통받는 한 남자가 등장한다. 영화의 첫 장면에서 그는 울 것 같은 표정으로 자고 있는 아내에게 총을 겨눈다. 그에겐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을까?
영화 <킬링 오브 투 러버스>
영화 <킬링 오브 투 러버스>는 가정생활의 어려움을 겪는 '데이빗(클레인 크레포드)'에게 일어나는 사건과 감정을 담았으며, 작품성을 인정받아 제36회 선댄스 영화제 공식 초정작으로 선정되었다.영화는 앞서 말했듯 '데이빗'이 아내 '니키(세피데 모아피)'에게 총을 겨누며 시작한다. 그들은 어린 나이에 결혼하여 4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세월이 지나 결혼생활의 권태로 인해 잠시 떨어져 지내기로 결정했다. 별거 중인 어느 날 '데이빗'은 자신이 살던 집에서 벌거벗은 채 자고 있는 아내와 남자 '데릭(크리스 코이)'을 보게 된다. 부부 사이에 서로 다른 사람을 만나도 된다는 약속을 했었지만, 화가 난 '데이빗'은 아내에게 총을 겨눈다.
숨이 멎을 듯 멈췄던 시간은 거실에서 떠드는 아이들 목소리에 의해 깨진다. 창문을 통해 집을 빠져나온 남자는 무작정 도로를 달리기 시작하고 카메라는 그의 뒷모습을 따라간다. 동시에 금속과 살이 부딪히는 듯한 기괴한 소리가 들린다. 듣는 사람마저 불쾌한 감정을 전염시키는 특유의 효과음은 '데이빗'이 나쁜 감정에 사로잡힐 때마다 들린다. 음향을 담당한 '피터 알브레히첸(Peter Albrechtsen)'은 '데이빗'의 삶과 연관된 소리를 찾아내려 노력한 끝에 상영 시간 84분 동안 자동차 문이 84번 열고 닫히는 모습에서 영감을 받아 효과음을 만들었다.연출의 특징도 눈 여겨볼만하다. <킬링 오브 투 러버스>는 화면 비율을 4:3 정도로 줄인다. 화면은 크면 클수록 좋고 IMAX가 대세인 요즘 영상과 확연히 다른 선택이다. 좁은 화면은 인적 드문 공터나 도로처럼 영화 속 배경이 주는 여백과 대비되어 훨씬 답답한 느낌을 준다. 게다가 카메라의 움직임을 최소화해서 한 장면을 길게 촬영하는 단조로운 구도를 사용했다. 그중 인물의 전신이 보이도록 촬영된 장면이 많은데 관객은 그들의 동선과 대화만 확인할 수 있고 자세한 표정은 알 수 없다. 영화의 감독 '로버트 매코이언(Robert Machoian)'의 인터뷰에 따르면 '카메라에 담긴 특정 인물에게만 집중하기보다 등장인물 누구나 공평한 가치를 지니길 원했다'라고 설명했다. 감독의 의도대로 주인공 '데이빗'을 담는 카메라조차 철저히 방관자에 입장에서 그의 고통을 관찰한다.
Q. 나쁜 감정을 숨기며 지내나요?
'데이빗'은 좋은 남편이자 좋은 아빠가 되기 위해 나쁜 감정을 숨긴다. 그는 '니키'가 다른 남자와 잔 걸 모르는 듯 태연하게 행동하거나 소원한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저녁 데이트 코스를 준비한다. 그리고 다정한 아빠 역할을 충실히 해내려고 아이들이 좋아하는 코미디 프로그램을 보거나 신중하게 장난감을 고른다.아무리 덤덤한 얼굴로 괜찮은 척 해도 '데이빗'은 어느 하나 숨길 수 없다. 영화의 배경인 미국 유타주 카노시는 사람이 적은 한적한 동네여서 동네 사람들은 그가 처한 상황을 자연스레 알게 된다. 마트에서 아내의 남자 친구를 마주치고 이웃과 안부 인사를 건네며 가출한 딸을 잡는다. 심지어 딸에게 '니키'를 둘러싼 삼각관계를 들키며 딸은 방황하고 부녀 사이는 갈수록 나빠진다.
꾸역꾸역 감추던 감정은 폭력으로 표출된다. 그는 아이들과 자유롭게 만날 수 없게 되자 '니키'와 큰소리로 다투는 일이 잦아지고 비아냥거리며 거친 말을 내뱉는다. 급기야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고 사람 모양의 샌드백에 마구잡이로 주먹질을 하고 총을 쏜다.
글에서 설명한 장면을 영화 <킬링 오브 투 러버스> 예고편에서 만나보세요▼
그의 분노를 한 꺼풀 벗기면 나쁜 감정의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데이빗'은 애쓸수록 망가지는 상황을 해결할 방법을 몰라서 혼란스럽다. 만약 '데릭'으로 인해 아내와의 관계가 끝난다면 가족에게 영원히 돌아갈 수 없을까 봐 두려움을 느낀다. 감독은 영화 속 그의 처지를 노숙자에 비유하는데, 별거로 인해 가족과 한 집에서 지낼 수 없으며 아버지 댁에서도 임시로 머무는 손님에 가깝기 때문이다. 그나마 집이라고 할 만한 장소는 자신의 낡은 트럭뿐이기에 좌절과 외로움을 홀로 견뎌야 한다.
나쁜 감정엔 바닥이 없다. 그러나 시작된 이유는 분명히 있다. 이유를 알아내는 첫 단계로 감정을 숨기는 대신 솔직하게 마주해야 한다. 영화 <킬링 오브 투 러버스>의 절정은 아내에게 총을 겨누는 장면이 아니라 그가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주저앉아 우는 장면이다. 결국 그는 약한 모습을 드러내고 두려움을 인정했다.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면 '데이빗' 주변에 나쁜 감정의 찌꺼기가 남은 듯 불안감이 감돌지만, 그가 바라던 대로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감정을 숨기는 게 익숙한 사람이라면 영화 속 '데이빗'의 슬픔이 긴 여운으로 남을 것이다. 자신의 인생이 비극이길 바라는 주인공은 없으니까.
영화 리뷰를 꾸준히 쓰고 있지만, 장면마다 숨겨둔 감독의 의도가 이 정도로 궁금한 영화는 정말 오랜만이었습니다.
글을 쓰면서 참고한 감독의 인터뷰와 다른 리뷰는 아래 링크로 남깁니다.
https://www.abc.net.au/news/2021-09-16/the-killing-of-two-lovers-review/100463886
https://www.slashfilm.com/581177/the-killing-of-two-lovers-director-interview/
-
- 수이와 이경의 눈부신 성장 로맨스
“우리는 마시고 내쉬는 숨 그 자체였다”
태생적인 갈색톤의 머리카락과 눈동자로 놀림을 당해 온 평범한 고등학생 이경이 우연하게 날아온 축구공에 맞아 안경이 부러지며 축구선수 수이와의 첫 만남이 시작된다. 미안한 마음에 수이가 매일 같이 이경을 찾아 딸기우유를 건네며 둘은 조금씩 가까워지고 묘한 사랑의 감정을 키워 나간다. 시간은 흘러 고3의 여름, 둘은 서로가 함께하는 미래를 꿈꾸지만 수이는 부상으로 인해 더 이상 축구 선수의 꿈을 이어나가지 못하고 이경은 평범한 대학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서울로 상경한 두 사람은 각자의 삶을 이어가며 사랑을 지속하지만 조금씩 어긋나고 뒤틀리는 관계에 이별을 맞이한다. 최은영 작가의 단편집 ‘내게 무해한 사람’에 수록된 동명 소설을 원작을 옮긴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그 여름은 수이와 이경이라는 두 여고생의 뜨거운 여름날에 시작된 반짝이는 청춘의 순간을 전한다. 조심스러우면서도 순수한 마음으로 시작된 사춘기 소녀의 첫사랑과 뒤이어 따르는 성장이라는 주제의 감정선을 섬세하게 따라가며 관객들의 정서적 공감을 이끄는 형식으로 강렬하기보단 천천히 젖어드는 작은 떨림이 존재했다.
애초에 애니메이션이라는 정보만을 인식한 채 시사회에 간 거라 예상치 않은 퀴어(LGBT) 장르가 한국, 그것도 애니메이션 극장판으로 나왔다는 것에 조금 놀랐지만, 앞서 언급한 잔잔한 여운이 남는 매력적인 이야기가 더 흥미로웠다. 사랑이라는 주제가 인종, 성별과 관계없이 대중들의 공감을 일으킨다는 건 이미 해외의 여러 수작들로 증명된 바이고 특히 첫사랑은 늘 설렘과 두근거림을 상기시켜주지 않는가? 묘한 눈빛과 감정, 소소한 손길이 닿는 베스트셀러 바탕의 흥미로운 이야기는 이러한 강점들을 잘 살리고 일본 애니메이션이 떠오를 만큼 인물, 시골과 서울 등을 묘사한 한국 애니메이터들의 발전된 그림체는 학창 시절부터 20대 초반을 지나치는 시간을 담은 빛바랜 사진첩처럼 추억을 선사하며 말랑말랑한 분위기를 더욱 그럴싸하게 꾸며준다. 여기에 메인 테마곡 정우의 ‘그 여름’, 선우정아의 ‘도망가자’, 브론즈 with 미노이의 ‘HARU’ 등의 노래들이 적절하게 배치되어 두 사람의 상황과 이어지는 감정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며 섬세한 작화만큼이나 감성적 터치로 관객에게 여운을 남긴다.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그 여름은 그렇게 성장과 첫사랑이라는 감정을 두 소녀의 풋풋한 감정을 시작으로 20대의 이별까지 그린다. 시종일관 담담한 기조는 격렬한 감정의 파고보다 한 방울로 시작된 호숫가의 잔잔한 물결처럼 다가온다. 누군가에게 평범했을지도 모르고, 혹자에게는 특별했을지도 모를 추억을 떠올려보라는 듯 말이다. 깔끔하고 담백한 연출과 누군가의 마음을 훔쳐본 듯한 스토리는 매력적이지만, 슬픔을 억누르고 상대방의 행복을 빌며 애써 웃음 짓는 이별의 순간도, 사랑이 시작되는 순간만큼 중요한 것이기에 60분가량의 짧은 분량에서 후반부 이별을 맞이하는 두 사람을 보여주는 데는 한계가 있어 보여 비싸진 티켓값에 관객이 선뜻 선택할지 의문이 남는다. 멋지게 표현된 한 편의 뮤직비디오 같은 느낌을 지울 수 없으테니 말이다.
“열여덟 여름에 처음 만났다”
갈색 눈동자를 가진 평범한 학생 '이경' 여름의 햇살을 닮은 고교 축구선수 '수이' 열여덟 살의 여름, 예기치 못한 사랑에 빠진 '이경'과 '수이'는 함께하는 미래를 그리며 스무 살을 맞이한다. 대학에 진학한 '이경'과 달리 '수이'는 바로 사회에 뛰어들고, 낯선 행복과 사소한 오해 속에서 둘은 새로운 계절을 마주하게 된다.
예고편│Trailer
원제: The Summer│감독: 한지원│원작: 최은영 작가의 동명 단편 소설
출연진: 윤아영, 송하림 외 多
장르: 애니메이션, 드라마, 멜로/로맨스│상영 시간: 61분
국가: 대한민국│등급: 12세 관람가
제작: (주)레드독컬처하우스│배급: 판씨네마(주)
평점: 평론가 7.0
개봉일: 2023년 6월 7일
한 줄 평 : 비로소 깨닫는 첫 사랑이 남긴 계절의 흔적
-
- 껍데기의 결말
도리언 그레이의 첫 묘사는 손때가 묻지 않은 연약함에서부터 출발한다. 그가 처음 등장했을 때만 해도 그는 그저 순진무구한 한 청년이었을 뿐이다. 그렇게 세상 물정 모르던 한 청년이 주변 사람들과의 교류로 인해 어떻게 악의 화신이 되었는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위 분석은 도리언 그레이는 주변 사람들과의 교류가 도리언 그레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어린아이가 자아를 찾아나가는 관점과 관련 있다는 가설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One and only 사랑은 없다. 당신의 착각이었을 뿐
그는 시빌 베인 자체를 사랑한 것이 아니라 시빌 베인이 연기한 캐릭터들, 그녀의 연기력, 즉, 그녀의 재능을 사랑한 것이었다. 그녀의 출중한 연기력으로 그녀가 표현해낸 줄리엣, 이모겐을 사랑한 것이다. 그녀는 도리언의 완벽한 외모에서 비롯된 그의 아름다움을 통해 진정한 사랑을 갈구했다면, 그는 그녀의 연기만을 사랑한 것이다. 결국 그들은 서로의 내면을 사랑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겉껍데기를 사랑했다.
그녀에게 이별을 고하고 난 뒤, 배실 홀 워드의 초상화가 일그러지는 모습을 확인한 도리언 그레이는 자신의 아름다운 젊음에 대한 찬미가 담긴 초상화에 대해서 진절머리를 느끼게 된다. 시빌 베인에 대한 증오심으로 인해 완전무결하고, 자신의 아름다운 외모를 완벽히 그려낸 초상화가 흉측하게 변하는 모습을 보고, 배실 홀 워드의 초상화는 그의 내면을 반영하는 거울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겠다.
도리언의 초상화는 그의 인생이 담겼고, 그의 영혼이 담겨있음을 시사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하지만 도리언은 자신의 완전무결한 모습에 취해서 초상화에서 보이는 자신의 늙고, 흉측한 모습은 애초에 보고 싶어 하지도 않기 때문에 시빌 베인을 더 이상 사랑하지 않는, 더 이상 내면이 아름답지 않은 자신의 초상화를 다락방에 가두어 버리는 선택을 하고야 만다.
이처럼 배실의 초상화는 도리언의 인생을 기록한 것이기도 하면서 도리언의 잘생긴 외모라는 가면 아래 남들에게 인식되지 못하고 있던 악한 모습도 포함하고 있는 어쩌면 도리안의 진실된 모습이라고 볼 수 있다. 도리언은 배실에게 페로몬을 흩뿌려 이성을 마비시킨다. 그래서 도리언에게 있어서 배실은 이성보다는 선에 기반한 감성을 더 자극하는 사람으로, 도리언의 나르시시즘을 발현시키는 것에 있어서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는 도리언이 헨리와의 쾌락적이고, 비관주의적인 토론을 하는 것보다는 아름다운 것들에 감탄하고, 그의 젊음을 찬미하기에만 바쁘다. 이런 배실의 탐닉적인 모습은 자신이 그린 초상화가 일그러져 있는 모습을 보았을 때, 비로소 무너지게 된다.
또다른 등장인물, 헨리 워튼 경은 도리언 그레이에게 “사상적인 분신”의 역할을 한 사람으로서 배신을 도리언에게 아름다움을 고취시킨 사람이라면, 헨리 워튼 경은 도리언의 악한 욕망에 눈 뜨도록 이끌어준 인물이다. 바질은 선에 입각한 인물이었다면 헨리 워튼 경은 사탄과도 같은 존재이다. 도리언에게 쾌락주의적 사상을 본의 아니게 주입시키는 인물로서 정신적으로 도리언 그레이를 망가뜨린 인물이다. 그의 상징적 이미지는 실낙원에서 선량한 아담과 이브를 고통의 세계로 이끈 뱀(serpent)의 이미지와 상통한다.
그리고 그는 영혼과 육체의 상관관계는 인간의 충동적인 결정의 근원에 대한 질문을 하는 부분으로 앞으로 도리언 그레이가 어떠한 충동적인 결정으로 크나큰 비극을 맞게 되는지에 대한 암시를 보이는 인물이기도 하다. 영혼은 정말 몸 안에 존재하냐고 질문하는 부분은 구절은 이후 도리언 그레이가 영원한 젊음을 위해서 영혼을 파는 부분을 연상시키면서 더 이상 도리언 몸에 있지 않은 도리언 진짜 영혼에 대해 떠올리게 한다. 도리언의 추악한 본능을 담은 매개체는 도리언의 몸이 아니라 도리언을 그려낸 초상화였다.
-
- 강인한 고요함, 그 아름다움
*본 리뷰는 영화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너무 오래 붙어있으면 모든 것을 당연하게 느낀다. 더러는 익숙해지면 소중함을 잊고 무뎌진다고도 하지만, 사랑하는 마음을 잃지 않은 익숙함은 그것과 다르다. 사랑을 표현하는 모든 몸짓과 눈빛이 자연스럽게 오가는 것이다. 레오와 레미는 그런 친구다. 함께 들판을 뛰어놀고 살결을 맞대고 잠드는 것이 당연한. 그리고 누구도 두 사람의 사이를 규정짓거나 한계를 만들어두지 않았다.
그런 각별한 관계가 무너지기 시작한 것은 사회로 나서면서부터이다.
아이들이 성별에 대한 고정관념과 특정한 성 정체성에 대한 강요를 처음 맞닥뜨리게 되는 공간은 보통 학교이다. 부모 혹은 발달된 미디어의 영향도 없지는 않겠지만 불특정 다수의 또래의 집단 속에서 남들과 다르다는 것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에서 비롯된 성 정체성의 혼돈에 비하면 사소한 것일지도 모른다.
영화 [클로즈]는 이런 고요한 혼돈 속에서 단단해지는, 성숙해지는 한 소년의 모습을 섬세하고도 아름답게 만들어낸 영화였다.
레미는 거친 말투로 친구들과 농담을 던지며 축구를 하기보단 옹기종기 모여 소소한 일상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들어주며 미소를 짓는 편이다. 구르고 부딪히고 넘어지는 아이스하키 대신 적막 속에서 소리의 울림을 느끼는 클라리넷 연주를 즐기는 편이다. 그렇기에 유독 친구들에게 놀림을 많이 당한다.
레오는 그런 레미와 묶여서 같은 부류로 취급받는 것에 굉장히 발끈한다.
이전까지는 한 번도 의심해 본 적 없었던 레미와의 관계를 의식하기 시작한다. 레오는 그제야 레미가 여타 다른 남자아이들과는 다르다는 것을, 그리고 자신마저도 그들의 세계 속에 포함된 적은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레오는 또래 소년들이 하는 것들을 즐기고 싶어 하면서도 레미와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에 착잡한 감정을 느낀다.
두 친구가 완전히 등지게 되는 사건은 레오가 레미를 늘 기다리던 길목에서 기다리지 않으면서부터이다. 그보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레미가 레오의 아이스하키 연습장에 찾아오면서부터이다. 레미는 자신과는 달라지려고 애쓰는 레오에게 다가가기 위해 묻는다.
"나도 아이스하키 배울까?"
레오는 침묵한다. 그건 레미가 자신과 다른 남자아이들의 교집합에 발을 들이미는 것이 달갑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나, 그보다 더 직접적으로는 질문 속에서 자신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단순히 또래 아이들이 하는 행위를 따라 한다고 해서 결코 자기 자신이 그들과 같지는 않음을 알아버린 것이다. 레오는 여전히 레미와 닮아 있었다. 시끄러운 소리보다 고요함 속에 있는 것이 더 잘 어울렸던 것이다.
레오는 그 사실을 인정하기 싫었고, 그래서 레미를 완전히 떠나기로 한다.
비극적이게도 레오가 레미를 떠나려고 결심한 순간, 레미는 세상과 등지기로 결심한다. 영원히.
레미를 잃은 상실감 속에서 레오는 괴로워한다. 하지만 죄책감 탓에 남들에게 괴로운 제 모습을 티 내지 못한다. 특히 레미의 엄마에게 자신의 과오를 고백하고 싶은 동시에 망설인다. 레오 역시 자신의 아들이라고 말했던 레미의 엄마는 무언가 알고 있는 듯한 레오에게 계속해서 묻는다.
"제 잘못이에요. 제가 그 애를 밀어냈어요."
레오의 고백에 레미 엄마는 괴로워한다. 레오를 차에서 쫓아내고 울지만, 이내 도망가 버린 레오를 쫓아가 안아준다. 그 포옹은 자신의 또 다른 아들이었던 레미에게 보내는 것이기도 하다. 사회의 시선에 부딪히며 멍들고, 자신의 감정에 흔들리다가 깨어져 버린.
레오의 가족은 꽃 농장을 운영한다. 영화 전반적으로 레오가 부모님을 돕는 모습이 나온다.
성적 고정관념을 가진 어떤 이들은 종종 여성성을 꽃에 비유하곤 한다. 하지만 이 영화에선 '레미'라는 사람을 대변하기 위해 꽃을 보여준다. 레미는 고요하지만 그 속에서 자신만의 울림을 가지고 있는, 묵묵히 자라나는 꽃을 닮았다. 허나 너무 일찍 꺾여버린 것이다. 자의에 의해서가 아닌 타의에 의해서.
레오는 레미의 죽음을 맞닥뜨리고 아이스하키에 몰두한다. 조용한 것을 참을 수 없는 것이다. 침묵 속에 있으면 자꾸만 레미가 떠오르고, 보고 싶었다. 꽃밭을 내달리던 한때의 아름다움이 너무나 강렬해서, 그 고요함이 너무나 달콤해서 레오는 괴로웠다.
자신이 사랑했던 그 모든 세상을 놓아버렸던 선택을 후회했다.
텅 비어버린 레미의 집을, 그 어느 때인가 가족들과 함께 식탁에 둘러앉아 식사를 하던 그 집을 바라보며 레오는 허전함을 느낀다. 하지만 따스한 햇살 아래, 다시 만발한 꽃 사이에 서서 그들의 강인함을 느낀다. 그 순간을 통해 레오는 비로소 꽃이 된다. 한때는 자신이 부정하고 싶었던 자신의 모습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면서, 레오는 폭풍우를 이겨내고 새싹을 틔운다. 언젠가는 레오 역시 아름답게 만발할 것이나, 그대로 멈추지 않기를 바란다.
다시 지고 힘겨운 싸움을 하더라도 끝끝내 저문 자리에서 다시 피어나는 강인한 꽃이 되기를.
*이 리뷰는 씨네랩으로부터 초청받아 참석하여 작성된 리뷰임을 알립니다*
-
- ?CINEPICK 특별 콘텐츠 #3 ? 올여름 다양성 영화 기대작에 투표하면 푸짐한 상금이??
올여름 개봉 예정 다양성 영화 중
가장 기대되는 작품에 투표하면
푸짐한 상금이???영화 정보도 얻고 상금도 받고!
영화를 즐기는 새로운 방법, 씨네픽!? 기간 : ~ 6월 22일
? 응모는? 씨네픽 어플에서 부탁드려요아이폰 다운로드 https://apps.apple.com/kr/app/%EC%94%...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씨네픽 매주 목요일 밤 11시 59분 오픈
#CINEPICK #영화 #추천 #박스오피스 #예측 #상금 #20만원 #오스카 #아카데미 #미나리
-
- [우리의 감독을 찾아서_#3] 철학과 영화 사이 (with. 정태완 감독)
🎙️ Episode 3. 촬영감독 정태완 00:00 자기소개 06:27 철학과 이야기 14:59 영화를 시작하게 된 계기 18:18 [날 좋은 날]이야기 19:47 홍상수 감독을 오마주한 [날 좋은 날] 23:20 다시 [날 좋은 날] 이야기 28:13 ‘공감’에 관한 이야기 34:11 영화를 계속해서 연출하지 못한 이유 36:50 종교에 관하여 41:59 촬영 감독으로서의 정태완 43:11 [풀 메탈 브레인] 이야기 & XR 이야기1 45:22 [풀 메탈 브레인]의 연출적인 이야기 47:23 한예종과 XR 이야기2 53:09 앞으로 계획 57:18 마무리 & 쑥스러움에 관한 이야기 ‘우리의 감독을 찾아서’는 단편 영화 감독을 만나 영화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는 팟캐스트입니다. 영화를 통해 어떤 말을 하고 싶었는지, 영화란 무엇인지, 그리고 더 나아가 예술이란 무엇인지에 관하여 이야기를 나눠봅니다. ◾️ 정태완 📍instagram @xowanc 📍사이트 https://j30n9.myportfolio.com/work ◾️ 따옴표 필름 📍 instagram @ddaompyo.film 📍 YouTube @ddaompyofilm 📍 ddaompyofilm@gmail.com
-
- 영화 <샤잠! 신들의 분노> 메인 예고편
입덕 부정기는 끝?났?다? 폭풍 성장해서 돌아온 [샤잠! 신들의 분노] 메인 예고편 공개!
-
- 영화 <루이스 웨인 : 사랑을 그린 고양이 화가> 메인 예고편
모든 동물이 행복해지길 바랐던 엉뚱한 천재 화가 ‘루이스’(베네딕트 컴버배치).
그림 말고는 모든 게 서툴렀던 그의 앞에 어느 날 운명 같은 사랑이 찾아온다.
그의 세상을 송두리째 바꿔 놓은 삶의 전부,
‘에밀리’(클레어 포이) 그리고 고양이 ‘피터’.
모두를 다정하게 끌어안을 가장 사랑스러운 로맨스가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