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being artist2025-03-22 22:36:43

이유를 알 수 없어 무척이나 갸륵했던 동물계의 추상적 방주

영화 <플로우> 리뷰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을 좋아한다. 이런 고백은 미술이나 관련 전시회를 조금이라도 다녀본 사람들이라면 한 번씩 들어봄직한 말이겠지만 필자는 유독 고흐의 그림을 좋아한다.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을 특히 좋아하는 이유는 멀리서 보았을 때와 가까이서 보았을 때의 느낌이 무척이나 다르기 때문이다. 가까이서 보았을 때엔 고흐 특유의 거칠고 당찬 붓질과 캔버스 위로 올려진 굳은 유화의 강직함이 상이한 주제와 의미를 가진 그림도 사납고 무서우리만큼 강하게 다가온다. 하지만 그 그림에서 스스로를 달리 아웃시켜 들여다보면 그 모든 야수성이 하나씩 퍼즐 조각처럼 맞춰져 어느새 본인이 마땅히 채워야 할 곳들로 이동해 하나의 모양을 이루고, 주제와 맞지 않을 것 같던 그 흔적들이 비로소 의미가 되어 보는 이로 하여금 감동하게 한다. 고흐의 그림은 셰익스피어의 명언 '가까이서 보면 희극, 멀리서 보면 비극'이라는 말을 어쩌면 담아낸 것일까, 3d도 4d도 아닌 그저 평면의 무언가를 입체적으로 와닿게 해 감정마저 입체적으로 변모시킨다.

 

 

어떤 애니메이션은 사람의 형태와 신체의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한 근육의 운동을 너무 잘 담아내서 호평을 받기도 한다. 물론 이마저 극으로 향하게 되면 실사 영화 <라이온 킹>과 같은 평을 받긴 하지만 말이다. 또 어떤 영화는 구체화에서 벗어나 추상의 영역에 출사표를 던져 그 어려운 모험을 떠나기도 한다. 우린 그 모두를 애니메이션이라 칭하고, 그 둘 중 무엇이 더 애니메이션답다고 평할 수 없다. 둘은 방법적 차이지 수준 적 차이가 아니다.

영화 <플로우>가 제97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디즈니 픽사를 제치고 수상했다는 사실은 자본적으로나 규모의 측면에서나 놀라운 일이다. 하지만 필자는 다른 관점, 추상과 구체의 관점에서도 이 수상의 의미를 더욱 치켜세우고 싶다. 드러내는 것만이 더 이상 장사가 아니다. 순전히 본인의 의도를 본인만의 그릇에 담아 표현하는 것이 영화이고 예술임을 아카데미 시상식이 전 세계를 상대로 공표하는 것과 다름 없다.

인간의 흔적만이 남은 지구의 어딘가, 물에 비친 고양이의 눈동자를 담아내며 영화는 시작한다. 영화엔 대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대사를 배우가 하는 말 따위를 포함한 개념이라 한다면 영화 속 주인공인 고양이와 강아지, 카피바라, 여우원숭이, 뱀잡이수리의 울음소리가 대사만을 구성할 뿐이다. 또 영화는 그 동물들을 표현할 적에 털 하나하나를 세밀히 표현하다 거나 동물 근육의 움직임을 면밀히 담아내지 않는다. 주인공 동물들의 묘사마저도 타 대형 영화사, 애니메이션 사들에 비해선 디테일 적으로 떨어진다. 하지만 이 점이 영화 관람 자체에 문제가 되었거나 불편함으로 남았었다면 본 작품에 대한 평가가 절하되었겠지만 전혀 그런 점을 찾을 수 없었다. 오히려 디테일 하지 않고, 세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위 배경이나 전반적인 동물들의 움직임, 각 동물별 본능적 움직임에서 나오는 귀여움을 즐길 수 있었고, 특히 고양이의 눈을 집중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질문이 생긴다. 왜 주인공 동물들 중 하필 고양이가 주연을 맡고 있고, 이야기는 왜 고양이의 모험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가 그리고 영화는 어째서 관객의 눈을 고양이의 눈으로 집중시킨 것일까.

 

 

영화 속 동물들, 그 중 고양이는 물을 통해 비치는 자신과 하늘을 자주 바라본다. 이는 영화가 시작한 직후부터 출발해 영화의 막이 내려질 때까지 꽤 빈번히 등장하는 샷이다. 그러다 물에 빠지기도 하고, 멍하다 새에 잡히기도 하며, 친구들과 함께 세상을 바라보기도 한다. 비치는 거. 신기할 따름일까, 고양이뿐만 아니라 반짝거리는 것들을 수집하는 컬렉터 여우원숭이도 고조선의 청동거울처럼 생긴 인간의 거울을 들고 자신의 얼굴을 한참 들여다본다. 행동의 이유를 알 순 없다. 대사가 존재하지도 않고, 그들의 행동을 해설해 주는 보이스오버마저 등장하지 않으며 오직 들려오는 건 동물들의 울음소리뿐이다. 그렇기에 더욱 집중되는 건 그들의 행동과 눈동자 그리고 고양이의 존재이다.

영화 속 고양이는 다소 겁이 많고, 굉장히 고상한 고양이처럼 보인다. 현실의 많은 길거리 고양이들이나 주인 고양이들도 비슷한 특성을 띄겠지만 영화 속 고양이는 유독 그런 것 같다. 동물들의 방주에 삼삼오오 예측하지 못했던 불청객들이 찾아올 때마다 항상 고양이는 몸을 곤두세워 뒤집은 U자형으로 그들을 경계한다. 또 새로운 일들을 맞이할 때마다, 물에 빠질 때마다 그 크고 귀여운 고양이의 동공이 가만히 있지 않는다. 영화는 설득의 예술이고, 별 다른 대사가 없는 영화일 수록 특별한 장치나 요소로서 관객을 설득해야 하는데, 영화 <플로우>는 고양이의 심정을 움직임과 눈동자를 통해 설득했고, 이는 필자의 입장에선 성공이었다고 판단된다.

 

 

영화 속 세상마저 추상적이다. 그 어느 곳에서도 인간의 흔적을 찾을 수 있고, 고양이와 그 친구들이 타고 있는 배 도한 원초적으로 인간의 것임을 한 눈에 알아차릴 수 있었다. 하지만 영화는 어째서인지 인간 문명이 모두 멸망했고, 그 멸망으로 인해 어떠한 세계로 변했는지 등의 사건의 배경을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해일이 일어나 숲이 모두 가라앉는 사건과 몇 일 사이에 해수면이 모두 가라앉게 된 그 이유마저 설명하지 않는다. 영화는 친절하지 않다. 하지만 친절하지 않은 그 점이 관객의 온 신경을 곤두세우게 해 저절로 생각하게 한다. 영화 <플로우>를 보고 있으면 '저건 어쩌다 저랬을까?' '저 집은 왜 존재하고, 집 안 속 고양이 그림들이 가득한데, 주인공 고양이는 그 집의 고양이였던 것일까?'하는 상상을 하게 된다. 영화는 설득의 예술이면서 동시에 소통의 예술이다. 일방적으로 전하고자 하는 이야기만을 보따리 채 싸 들고 관객에게 하나씩 던져내는 게 아니라 관객과 공감하고, 소통하고, 이미 제작된 영화를 마치 함께 만들어 나가는 것처럼 몰입시키는 것이 영화의 참맛이라 생각한다. 그런 점에 있어 영화 <플로우>는 관객과 소통하는 영화라 생각한다.



그럼 영화는 어째서 인간의 세계를 보여준 것일까. 인간의 것을 전혀 보여주지 않아도 이야기의 흐름이 결코 무너지지 않았을 것이었다. 인간의 흔적과 그들이 남기고 간 유적들이 단순히 동물들의 항해를 더욱 빛내기 위한 배경으로만 삼지 않았다 생각한다. 어쩌면 영화 속 세계엔 해수면이 오르락내리락 하는 일이 꽤 빈번히 일어나는 것처럼 보인다. 영화의 초반부, 해일의 전조 증상이었던 순록의 무리 이동이 영화의 종반부에 반복된다. 과연 그런 세상이었다면 인간은 어떻게 대처했을까? 영화 속 동물들이 모두 하나같이 서로를 배려하고, 위험에 처한 서로를 도우려 하며, 다른 종이더라도 물심양면으로 구조했던 건 아니다. 동물들의 본능이 작용해서인지, 서로를 돕다가도 본능에 이끌려 행동하는 강아지 무리를 볼 수 있고, 소유욕이 강한 여우원숭이는 본인의 소유물이 바다에 떠내려가자 뱀잡이수리와 싸우려 했다. 그렇지만 놀라운 건 우리 관객이 끝까지 따라갔던 그 친구들은 원했든, 원치 않았든 벌어진 그 모험 속에서 종이 다른 우정의 싹을 틔워내 함께 살아남으려 애썼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의 초반부와 종반부가 대칭을 이루게 되는 물에 비치는 동물들의 모습 샷엔 고양이 한 마리에서 고양이와 그 친구들로 변할 수 있었다. 영화는 동물들의 우정 연대기를 비추면서 지속해서 인간의 흔적들을 함께 담아내는데 이 또한 관객이 상상하고, 생각할 수 있도록 그 여지를 남겨둔다. 인간 또한 하나의 동물에 불과한데, 그 동물은 어쩌다 사라지게 되었고, 인간이라는 동물의 본능은 무엇이길래 개, 고양이, 원숭이 살아남는 세계에서 사라지게 된 것일까 하는 질문 등을 자신에게 던지게 한다.

 

 

영화 속 가장 아름다운 장면은 아무래도 친구 무리 중 뱀잡이수리가 하늘로 떠나게 되는 장면이 아닐까. 본 장면이 아름다울 수 있었던 이유는 죽음에 대한 표현법 때문이다. 현재 살아있는 우리는 각자의 죽음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도, 죽음에 이른 순간 무엇이 보이는지 살아있기에 알 방법이 없다. 영화는 한 동물의 죽음을 표현하는 데에 있어 또 다른 동물의 시선을 빌려 담아냈고, 이 점이 아름다울 수 있었던 이유이다. 사실 영화 <플로우>의 카메라 시선은 굉장히 다각적이지만 하나의 시선을 중심으로 움직이는데, 그건 바로 고양이의 시선이며 프레임 속 비치는 세상은 모두 고양이의 시선에서 비친 세상이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는 그 '비침'이라는 관념을 꾸준히 상기시키기 위해 물에 비친 자신을 바라보는 고양이 장면을 계속해서 드러낸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날개를 다친 새는 도저히 올라오기 힘들어 보이는 수상한 둔덕 어딘가 고양이는 본능적으로 그곳으로 향했고, 그곳엔 친구 뱀잡이수리가 있었다. 내리던 빗방울이 영화 <나우유씨미2> 속 장면처럼 하늘로 올라갔고 고양이와 뱀잡이수리까지 함께 몸이 공중으로 뛰어졌다. 그 순간 알 수 없는 빛이 어두운 하늘을 감쌌고, 뱀잡이수리는 함께 떠올려진 고양이를 발로 밀어 다시 땅으로 착지하게 했다. 고양이를 지키려다 동족들에게 꺾여버린 그의 날개는 상처를 모르는 듯 빛을 향해 힘찬 날갯짓을 시전했고, 항상 엉거주춤하게 하늘을 날던 뱀잡이수리는 마치 하늘을 덮듯 멋지게 날아가 버린다. 이 장면이 과연 인간의 시선이었을 경우 이토록 아름다울 수 있었을까? 영화는 관객의 상상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해당 영화 속 주인공들의 상상까지 빌려 영화를 풍부하게 한다.



재밌는 건 이 모든 점들이 영화를 재미나게 관람한 필자의 상상이라는 점이다. 감독의 이야기나 인터뷰를 아직 보지 못한 필자의 상상력이 이토록 풍부할 수 있었던 데엔 영화가 그만큼 여지를 많이 남겼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영화는 불친절하다. 하지만 이를 다르게 표현하자면 영화 <플로우>는 추상적이다. 그래서 무척이나 갸륵하고, 흥미롭다.



작성자 . being artist

출처 . https://blog.naver.com/le_film_artiste_ho/223806274383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