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misa2025-03-26 16:52:09

당신의 등을 밀며 성장하는 우리

영화 <행복의 노란 손수건> 리뷰

*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해당영화는 씨네랩 크리에이터 활동의 일환으로 시사회 참석 후 작성된 글입니다

 

 

 

 

 



 

홋카이도를 누비는 빨간 차. 그 안은 어쩐지 수상한 한 남자와 젊은 남녀의 조합으로 심상치 않은 여정임을 예고한다. 낯선 이의 차에 올라 목적지 없는 여행을 떠난다는 것, 그야말로 과거의 소재이기에 낭만이 확보된다. 어쩐지 어색함 만이 감돌 것 같은 이 조합은 예상외로 시끌벅적하고 도무지 예측이 불가능한 여정으로 향한다. 고전 로드 무비의 정석과도 형태를 보여주며 영화는 단순하고도 확실한 방법으로 홋카이도 길 위를 누비는 빨간 차 안으로 우리를 초대한다.

 

 

 

 

 

사실 빨간 차가 나오는 일본 영화는 그닥 낯설지 않다. 여러 화제를 모았던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의 <드라이브 마이 카>를 쉽게 연상할 수 있을 것이다. 해당 작품에서 역시 차는 중요한 소재다. 내가 오롯이 소유하는 재산이자 동시에 날 어디론가 이끌어 줄 수 있는 이동 수단이다. 하지만 그에 대한 목적지는 내가 정해야 하는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하다. 나를 어디론가 데려가 주는 것은 차이나 결국 조종간은 내가 잡고 있기에 차에 탄 나는 매 순간 선택을 내려야만 한다. 그것에 대한 부담감도 자유도 여정도 영화는 이야기한다. 4월 2일자로 개봉을 앞둔 <행복의 노란 손수건> 역시 마찬가지이다. 껄렁대는 청년 긴야가 모든 것을 털어 산 이 빨간 차는 뜻밖의 사람들을 태우고 홋카이도를 누비며 갖가지 사건들을 겪게된다. 그 무엇도 예정되어 있지 않다. 젊은이의 차답게 목적지도 없이 그저 기분에 따라, 도로를 따라 달릴 뿐이다. 하지만 그런 차엔 갖가지 이야기를 담은 세 사람이 타고 있다. 이들은 저마다 하나 씩 잃은 상태로 이 차에 오르게 됐다. 그렇기에 당장 무엇을 찾아야 하는지 알 수 없다. 과연 나는 하룻밤 상대만을 원하나? 그저 기분전환 만을 원하나? 일자리만을 원하나? 이 빨간 차도 그 답을 알려주진 못한다. 다만 장시간 달려야 하는 좁은 평수의 차 안에서 나누는 이야기를 통해 점점 차가 밟는 도로의 색이 짙어질 뿐이다. 영화는 그렇게 다양한 구도로 인물과 차, 도로를 번갈아 조명하며 한치 앞도 모르겠는 여정에 메세지를 뚜렷이 한다.

 

 

 

 

 

물론 과거의 작품임을 감안해야 하는 장면들도 존재한다. 하지만 이를 감안한다면 긴야와 아케미가 각각 어떤 성장을 겪게 되는지 이미 성장을 마친 어른인 유사쿠가 무엇을 되찾는지 더욱 분명하게 볼 수 있다. 첫 등장부터 실연의 아픔을 겪은 긴야는 그야말로 날라리, 양아치란 말이 어울리는 청년이다. 모든 것을 털어 '마쓰다 파밀리아'를 살 때마저 문에 걸려 넘어지는 젊은 긴야는 매 순간 가볍게 몸을 던지며 넘어지기 일쑤다. 이러한 긴야의 모습은 영화 러닝 타임 동안 확실히 관람객의 웃음을 책임지지만 어쩐지 덜 자란 아이처럼 그 무엇에도 조심성 있게 해내지 못하는 모습으로도 역시 그려진다. 이런 미성숙의 모습은 아케미를 대할 때도 드러난다. 아케미와의 만남이 우연이었던 것처럼 그는 중반부까지도 아케미를 그저 하룻밤 잠자리 상대로 생각한다. 그녀가 보이는 거부 표시를 곧이 곧대로 받아 들이지 못하며 그저 관계에 있어 우격다짐으로 나올 뿐이다. 두 번째 숙소에 들어갈 때 역시 유사쿠의 훈계를 어리둥절하게 이해했던 그는 자꾸만 여정에 유사쿠를 끼워넣으려는 아케미의 행동에 삐치기도 한다. 하지만 유사쿠의 이야기에 점점 가까워질 수록 그는 보다 적극적으로 유사쿠의 여정을 응원하고 그의 선택에 눈물 흘린다. 아케미가 재차 유사쿠와 여정을 이어나가자는 긴야의 선택에 정말이냐 되묻는 대사가 있는 만큼 영화도 역시 그의 변화를 분명히 보여주려 한다. 영화가 후반부로 나아갈 수록, 긴야가 사람이 되어갈수록 더 이상 넘어지지 않는 것 역시 그 때문이다. 더 이상 넘어지지 않게 된 청년의 의미를 그 차에 오른 관객 역시 알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아케미에게 역시 나타난다. 남자친구의 바람으로 도쿄에서 실연을 겪은 아케미는 숫기 많은 청년으로 자신에게 돌진하는 긴야에 부담스러움을 표하지만 그와 내내 여정을 함께 할 정도로 호감이 있음을 보인다. 긴야의 성장 포인트가 미성숙함에 있다면 아케미의 경우 자신감이 없다는 것에 있다. 다른 여자를 찾아보라는 대사나 기껏 용기를 내 차를 몰았을 때도 긴야의 마쓰다를 건초더미에 처박아 혼나는 등 성장에 기회에 있어 여러 차례 좌절의 순간이 찾아오나 그는 어쩌면 유사쿠보다도 더 큰 목소리로 집으로 돌아가보자 외치는 인물로써 성장한다. 러닝타임 중 유사쿠가 물리친 깡패에 행태에 가장 목소리를 높이는 것 역시 아케미이다. 숫기가 없어서 긴야의 질문에 대답조차 제대로 못하던 아케미는 그렇게 점점 밝은 목소리를 되찾아가고, 긴야가 눈물 흘리는 순간에 기꺼이 달래주는 인물이 되어간다. 이렇게 두 젊은이는 자신조차 몰랐던 스스로를 발견하며 성장해나간다. 그리고 이렇게 그들을 변화시키는 것은 다름 아닌 유사쿠의 어쩌면 가장 익숙하고도 뻔한 이별의 이야기이다. 이제 막 출소 한 낯선 아저씨와의 여정 그리고 순탄치 않은 홋카이도 길은 그들에게 확실한 시간을 제공해 준 셈이다.

 

 

 

 

 

 

 

 

 

유사쿠와 아케미 일행은 분명하게도 기성 세대와 젊은 세대로 나뉜다. 서서히 밝혀지는 유사쿠의 과거는 일본의 종전 시절과도 맞닿아있으나 아케미 일행의 삶은 그것과는 완전히 다른, 자신의 삶을 보다 멋대로 결정할 수 있으나 무엇에 가로 막힌 젊은 세대들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영화는 이들의 차이를 강조하기 보다는 그런 유사쿠의 등을 젊음의 패기로 힘껏 밀어주는 연대의 모습으로 나타낸다. 그야 세대를 막론하고 '사랑' 이라는 개념은 우리 모두에게 해당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마침 홋카이도로 모이게 된 두 젊은 남녀는 도쿄에서 각각 실연을 겪고 떠나온 여행이라는 것에서 타인의 사랑을 위한 여정에 기꺼이 참여하며 자신들에게 결여되어있던 부분들을 성장시키고 끝내 사랑이라는 것을 찾은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유사쿠의 재회를 보기도 전에 출발하는 차는 완전한 재회를 위해 빠져주는 것일 수 있으나 그 나름대로의 결말을 지어냈다는 점에 있어서는 유사쿠의 사랑을 보고 성장한 두 젊은이가 나름대로의 사랑을 또 해나간다고 역시 해석할 수 있다. 이렇게 타인의 이야기를 통해 한 차례 더 나은 사람이 된다는 것. 어쩌면 홋카이도를 누비던 빨간 차의 이야기는 다름 아닌 영화와 관람객의 이야기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여전히 유바리 어느 집에는 노란 손수건이 펄럭인다. 바람 따라 누군가의 목적지임을 보여주는 이 손수건은 한 연인에게는 이정표이자 또 누군가에게는 그 자체로 집이 되어주기도 한다. 타인의 이야기로 성장했다면 이제는 관객의 차례이다. 우린 어떤 손수건을 매달 것이며 어떤 이정표를 지나 잃어버렸던 것을 되찾을 것인가. 은은하게 번지는 주인공들의 웃음 위로 나 역시 웃음 지으며 생각해보게 된다. 

 



 



작성자 . misa

출처 .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