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윤동남2025-03-31 19:35:04

애도와 비유의 방법론

<너와 나>

 

 

 수학여행 하루 전날을 배경으로 두 여고생 세미와 하은의 미묘한 감정의 기류를 다루는 영화인 <너와 나>는 무엇보다도 감독 조현철의 연출적 야심이 여실히 드러난 영화이다. 그런데 여기서 그 수학여행이라 함은 세월호 참사가 일어나게 될 그 수학여행이다. 두 여학생의 로맨스와 세월호 참사의 조합. 이 영화는 바로 이 이질적인 조합에서부터 출발하는 영화이다.


 우선 '왜 두 여학생의 첫사랑과 세월호 참사를 결합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찾기 어려울 것 같다. 조현철 감독은 인터뷰에서 모종의 개인적인 사건으로 죽음을 바라보는 관점이 바뀌었다고 했고, 그 연장선상에서 세월호 참사 역시 자신에게 특별한 사건으로 남았다고 말했다. 그러므로 이 영화의 창작 동기는 조현철 감독의 개인적인 그 무엇으로 남겨놓자. 그렇다면 그 다음 질문은 이 영화가 그 둘을 어떻게 결합하는지에 관한 것이 되어야 한다. 감독 조현철의 연출적 야심이 드러나는 지점과 이 영화가 흥미로워지는 순간은 바로 이 질문을 떠올릴 때이다.


 이 영화는 두 여학생의 로맨스와 세월호에 관한 이야기 중 어디까지나 전자를 우선시하고 있는 영화이다. 영화에서는 세월호와 관련된 직접적 언급이 한 번도 등장하지 않으며, 심지어 세월호 참사 당일이 되기도 전에 영화가 끝난다. 그렇지만 이 영화는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자신이 세월호에 관한 영화임을 환기하고 있는데, 그것을 드러내는 방식은 매우 문학적이다. 세미는 하은에게 자신의 꿈을 이야기하며 하은(그리고 이후에 꿈속에서 하은이 된 자신)이 풀밭에 죽은 것처럼 누워있었다고 했고, 또 온 동네가 텅 빈 채로 동네의 알던 모든 사람들과 친구들이 똑같이 누워있었다고, 이유없이 하은이 걱정되고 불안하다고 말한다. 또 그 꿈 속 하은이 된 세미가 버스에서 오열하는 장면에서는 태풍에 관한 뉴스가 효과음으로 흘러나오며, 개 똘똘이를 찾은 똘똘이의 주인 아주머니는 똘똘이를 자식처럼 아꼈다며 생각보다 훨씬 깊은 감정을 표현한다. 그러니까 이 모든 정황상 이 영화의 사건과 단서들이 세월호를 가리킨다는 것은 너무나도 명백하다. 그런데도 이 영화는 비유와 상징, 환기의 방법을 통해 애써 '세월호'라는 단어를 돌려 말하고 있는 것이다. 세미의 꿈속 오열하는 하은이 탑승한 버스에서 태풍 재난 뉴스가 흘러나올 때, 그것은 누가 봐도 그 다음날 있을 재난을 환기하는 것이다. 또, 똘똘이를 잃은 줄 알고 펑펑 우는 주인 아주머니의 눈물은 누가 봐도 똘똘이 이상의 것, 자식을 잃은 부모의 눈물인 것이다(공교롭게도 아주머니 역을 맡은 길해연 배우는 <벌새>에서도 참사로 자식을 잃은 부모 역할을 연기했다.). <너와 나>는 세월호 참사를 그것의 일부분과 비슷한 특성을 지닌 보조관념들을 가져와 환유의 방식으로 표현해내고 있다. 사실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만든 영화에서 해당 사건을 애써 에둘러 표현하는 것은 낯선 일은 전혀 아니다. 같은 세월호 참사를 다룬 영화 <생일>을 봐도 영화 속에서 지나가듯 '세월호'라는 단어가 등장하긴 하지만 그 사건을 전면에 드러낸다거나 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너와 나>는 그 방법에서 <생일>과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 <생일>이 '세월호'라는 단어에 대한 언급을 자제했다면, <너와 나>는 '세월호'라는 단어를 우회하거나 회피한다. 그래서 <생일>은 결과적으로 천천히 간다고 할지라도 명백히 세월호에 관한 영화이지만, <너와 나>는 아무리 돌아서 가도 명백히 세월호에 관한 영화는 아니다. <너와 나>는 세월호를 '비유'한 영화고 '환기'한 영화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 다음 질문은 그 방법이 과연 옳은 방법인지 묻는 것이다. 우선 결론적으로, 나는 이 질문에 대답을 내리지 못했다. 조현철 감독의 이 방법론이 본인의 연출적 야심을 과시한 개성적이고 독특한 방법론인지, 아니면 원관념에 끝내 다가서지 못한 채 보조관념에만 머무르는 머뭇거림인지, 아니면 거대한 참사에 대해 우선 대기한 뒤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신중하고 윤리적인 방법인지는 관객들 각자에 따라 그 판단이 모두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사실 현재 시점까지 <너와 나>가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평단과 관객들의 반응을 불러일으킨 것을 볼 때 대다수의 사람들은 조현철의 이 방법론에 대해 첫 번째, 혹은 세 번째의 경우로 판단을 내린 것 같기는 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아직 두 번째 경우에 대한 의심을 완전히 거두지는 못하겠다.


 위에서 '조현철의 방법론'이라고 지칭한 이 영화의 연출은 비단 세월호 참사를 환유의 방식으로 환기하는 것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이 영화는 어디까지나 세월호 참사보다도 두 여학생의 로맨스를 우선시하고 있는 영화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서사를 진행해가는 데도 인물의 심리적 상태를 비유하는 떨어지기 일보직전의 물컵, 인물들 그 자체를 은유하는 동물들 등 비유와 상징을 적극 활용한 '조현철의 방법론'이 드러난다. 여기서 조현철의 방법론이 불편한 이유는 위에서 말한 두 번째 경우와 역시 일맥상통한다. 누가 봐도 명백한 원관념을 굳이 보조관념을 거쳐서 표현하는 것이다. 조금 더 과격하고 단순하게 말하자면 노골적인 비유와 상징이 과도하게 많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누구나 아는 사실을 애써 감춰 말하는 이 영화의 화술은 가끔은 기만적이기까지 하다. 이 영화에 대한 찬사가 순전히 이 화술에 대한 것이라면 그 부분에서만큼은 온전히 동의하기는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에 대한 판단을 아직 보류하는 이유는 세 번째 경우 때문이다. 조현철의 방법론을 비극적 참사에 대한 섬세하고 신중한 접근이라고 해석할 때, 위의 두 번째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역시 비단 세월호에 관한 이야기에만 적용되는 연출은 아니다. 이동진 평론가는 이 영화를 두고 '그 흔한 사랑해라는 말을 이처럼 간절하고 사무치게 전한다'고 말했다. 즉 이 말은 <너와 나>는 다른 어떤 영화들보다도 감정적 측면이 강력한 영화라는 뜻일 테고 나 역시 동의한다. 그런데 <너와 나>는 그 감정적 에너지에 신파적으로 휘둘리지 않은 채 의외의 지점들에서 거리를 두고 객관성을 확보한다. 그 첫 번째는 이 영화의 과도하리만치 뽀샤시한 화면 톤이다. 사실 이 영화에서 세미와 하은이 주고받는 일상적 대화들과 장난들을 보면 상당히 유치하다. 물론 그것은 이 영화가 10대 청소년들의 일상을 지극히 현실적으로 묘사한 것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지만, 수많은 tv 드라마들이 10대 청소년들의 일상적인 모습을 다룰 때 그 현실적인 유치함과 젊은 에너지를 오해한 채 거기에 매몰되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소위 말하는 것처럼 '오글거려'지게 되는 것인데, 이 영화는 오히려 그러한 장면들을 과하게 뽀샤시한 화면이라는 또 하나의 프레임 안에 담음으로서 하나의 풍경으로 보이게 만든다. 두 번째는 이 영화에서 감정적으로 가장 강력한 장면 중 하나인 세미의 <체념> 열창 장면이다. 이 장면은 상당히 간단히 설계되어있다. 우선 머뭇거리며 노래를 시작하는 세미를 담은 다음, 가사와 뮤직비디오가 나오는 노래방 기계를 바라보는 세미의 시점숏을 보여준다. 그 뮤직비디오에서는 세미와 하은이 제주도에서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 장면들이 흘러나온다. 그리고나서 이번엔 세미의 열창하는 얼굴을 클로즈업으로 잡은 다음엔, 다시 뮤직비디오 화면을 보여주는데 이번엔 노래방 기계 속 화면이 아니라 진짜 프레임에 담긴 장면이다. 말했듯이 이 장면은 세미의 감정이 완전히 폭발하는 장면이고 영화를 통틀어서 가장 감정적으로 강력한 장면이다. 그런데 이런 장면을 연출할 때도 노래방 기계 속 뮤직비디오 화면이라는 이중의 프레임을 한 번 거쳐서 감정을 폭발시키는 것이다. 이 연출은 이후 노래방 기계가 없는 뮤직비디오 장면의 감정적 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강력하고 단순한 감정에 접근하는 데 있어 객관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훌륭하다. 세미와 하은이 뮤직비디오에 등장한다는 장면 자체는 오글거리는 것을 넘어서서 자칫 코믹할 수도 있는 장면이지만 여기에 이중의 프레임을 씌움으로써 그 상황을 한 발짝 떨어져서 보도록 유도한 것이다. 더욱 놀라운 점은 그 이후 노래방 기계가 없어진 장면에서도 이중 프레임을 완전히 벗어던진 채 감정을 폭발시킨 듯 보이지만 <체념>이라는 노래가 계속되고 있기에 여전히 일말의 객관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처럼 강력한 감정에 섣불리 접근하는 것을 피하고 신중하게 객관성을 확보하는 태도는 세월호에 관한 이야기에도 똑같이 관통한다. 이 영화는 세미와 하은 두 인물의 가장 감정적인 순간들마다 두 인물의 대사를 보이스오버 처리하고 그 대신 수많은 평범한 학생들과 사람들의 몽타주 화면을 비춰준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위에서 말한 '두 여학생의 로맨스와 세월호 참사를 어떻게 결합할 것인가'에 대한 이 영화의 대답이다. 이 영화는 다른 어떤 것도 아닌 사랑에 대한 영화다. 세미와 하은의 애틋한 사랑은 다른 수많은 학생들과 평범한 사람들에게로 확장된다. 세미가 조이에게 건네는 '사랑해'라는 말이 화면이 암전되고 수많은 사람들의 작은 속삭임들로 확장되는 마지막 장면, 나는 세월호를 애도하는 이보다 아름다운 장면을 본 적이 없다.

 

 이와 같은 이유들로 나는 <너와 나>를 열렬히 지지함과 동시에 비판하고 또 그래서 아직 이 영화와 감독 조현철에 대한 판단을 보류한다. 그러나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조현철은 이 장편 데뷔작으로 자신의 연출적 방향성에 대한 선언을 분명히 했으며, 관객들에게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는 것이다. 더불어 세월호 참사를 영화만이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애도하는 아름다운 순간을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올해 한국영화 가장 빛나는 성취'라는 이동진 평론가의 말은 바로 이 질문과 애도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해석하기로 한다. 그리고 일단 조현철의 다음 영화를 학수고대하기로 한다.

작성자 . 윤동남

출처 .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