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지인2025-04-02 23:13:13

'헤레틱', 그릇된 믿음

믿음에 대한 보상심리가 낳은 착각

씨네랩, '헤레틱' 첫 시사회

 

 

 

 3월 28일, 씨네랩에서 처음으로 초청돼 헤레틱 시사회에 갔다. 믿음관, 불신관 둘중 하나를 미리 택한 후 해당하는 상영관에서 영화를 보았다. 영화가 끝나고 보니 관별로 객석 추첨을 하고 선물을 주는 이벤트가 있었다. 당첨은 되지 않았지만 시사회에서는 하는 이벤트도 경험할 수 있어서 흥미로웠다. 영화가 모두에게 공개되기 전이었다. 설레는 와중에 영화가 시작되었다.

 

 

 

 

 

믿음과 불신이 모여 만든 '착각' 

 

 

 

 영화에는 2명의 소녀와 1명의 중년 남자가 등장한다. 몰몬교를 믿는 소녀들은 전도를 하기 위해 남자의 집에 방문하게 되고, 그와 몰몬교를 비롯한 신앙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며 시간을 보낸다. 남자는 성경을 기초로 하는 다양한 종교를 연구한 전력이 있었는데, 그는 이러한 자신의 지식을 설파하며 소녀들이 믿는 종교의 정당성과 믿음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소녀들을 자신의 집에 가둔 채로.

 

 

 

 스릴러 장르에 걸맞게 갇힌 공간에서 대답을 강요당하는 소녀들의 상황이 퍽 무섭게 그려진다. 그럼에도 두 소녀는 저마다의 방식으로 저항한다. 탈출을 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기도 하고 그의 논리의 오점을 지적하며 반박을 하기 시작한다. 설왕설래를 하는 동안 분명해지는 건 믿음과 불신의 참과 거짓이 아니라, 믿음과 불신을 거쳐 건설된 그의 '착각' 뿐이다.

 

 

 

종교와 통제, '경계'의 차이 

 

 

 

 중년의 남자는 사이코적인 면모를 어김없이 뽐내며, 영화 안에서 극악무도한 짓을 일삼는다. 그는 '종교는 곧 통제'라는 깨달음을 얻은 자로, 전도를 하러온 신앙인들에게 그 깨달음을 강요하는 행위를 반복한다. 그 방 안에서는 통제하는 그가 곧 절대자, 신이 되는 것이다. 이렇듯 '통제'라는 개념은 안과 밖이 있다. 

 

 

 

 그러나 종교는 안과 밖, 그 경계가 없다. 성경을 덮는다고 신앙인들의 믿음이 멈추지 않는 것처럼. 믿음과 불신 또한 그 경계를 분명히 알 수 없으며, 완전한 믿음과 불신이 없다는 것을 그 사이 스펙트럼에서 충돌하는 두 소녀와 남자가 증언한다. 종교의 참과 거짓을 알 수는 없지만, 종교와 통제가 동의어가 될 수 없다는 것만은 알 수 있을 것이다.


작성자 . 지인

출처 .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