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CINELAB2021-08-25 10:25:54

잎이 없는 것의 꽃의 이름

아무르 (Amour,2012)

 

 

 

 

 

 

 

음악가 노부부의 집, 식사 도중 아내 앤이 갑자기 모든 행동을 멈춘다. 남편 조르주는 왜 그러냐고 묻지만 대답이 없는 앤을 보고 놀라 급히나갈 채비를 한다. 그러던 중 다이닝룸에서 다시 들리는 씽크대를 잠구는 소리에 다시 부엌으로 돌아왔다. 다이닝룸에 있던 사람은 아내 앤뿐이었기에 소리를 낼 사람도 앤 뿐이었기 때문이다.

병원으로 가려고 했던 조르주는 앤에게 왜 움직이지 않았냐고 묻지만 앤은 기억을 못한다.

 

 

 

 

 

 

 

 

 

 

앤과 조르주, 이들은 수십년을 함께한 노부부다. 샹젤리제 극장에서 연주하는 제자를 배출하기도 했던 앤의 노후는 이제 조금 달라질 것 같다. 그의 남편 조르주 역시도 말이다. 의사에 말에 의하면 앤은 경동맥에 이상이 생겨서 순간 모든 행동이 멈추고 기억이 없었다고 한다.

 

앤은 언제나 곧은 성격과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자신의 오른쪽 신체가 마비되었다는 사실에 집중되는 것이 싫어 그의 제자 피아니스트에게도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기 싫어한다. 심지어는 딸 에바에게도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지 않아 조르주에게 집에 오지 말라고 대신이야기를 전한다.

병원이라면 질색을 하며 살아온 그녀는 조르주에게 무슨 일이 있어도 자신을 병원에 넣지 말아달라고 부탁한다. 

시간이 흐를수록 앤의 상태는 악화되고 딸 에바는 앤을 요양병원에 보내자고 하지만, 조르주는 간호사를 교대로 고용하며 앤을 보살피며 병원에 보내지 않겠다는 아내와의 약속을 지키기를 마음먹는다.

 

 

 

 

 

 


 

 

 

 

 

나는 미카엘 하네케 감독의 작품을 <아무르>로 처음 접했다. 제목 그대로 불어로 'Amour', '사랑' 이라는 의미인데, 노년부부로 이야기를 만든이유가 특별히 있을거라고 생각했다. 사랑을 의미하는 어떤 특정한 정의를 영화속에서 내리겠지 생각했다. 큰 오산이었다.

영화 속 부부에게 벌어지는 일들은 아주 느릿하고 서서히 진행된다. 영화에서는 수 많은 신(scean)을 리얼타임으로 보게된다. 감독이 반복해서 고집하는 이 연출법은 우리에게 생각할 시간을 충분하게 준다. 그렇기때문에 우리는 이 영화를 구경할 수 없게 된다. 보는 이들로 하여금스스로 생각하게한다. 영화는 나름의 반전을 가지고 있는데, 이 반전에 우리가 놀람보다 어느정도 공감을 할 수 있는 이유 또한 감독의 지혜때문이다. 

 

영화 <아무르>는 2012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꽃이라고 하면 피어난 꽃의 ‘송이’를 떠올린다. 하지만 원래 꽃을 피어나게 하는 것은 뿌리와 몸통이다. 그에 비해 우리는 피어난 꽃의 ‘송이’ 자체만 보고 많은 것을 판단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그렇게 판단하기 전에 조르주는 미리 꽃송이를 잘라버린 것이다. 이제 우리는 여기에서 어떤 기획을 가지고 영화를 시작하게 되었는가에 대해 새로운 관점에서의 상상을 할 수 있게 된다.

 나는 궁금했다. 조르주가 앤의 숨을 끊는 모습을 보고 그 이전 수년동안 그녀를 간호한 그의 손길과 마음들은 모두 무산이 되는 것인지. 그리고 또, 그는 왜이렇게 비둘기 잡는 것에 집착했던 것일까. 결국 놓아줬다고 했지만 그는 확실히 그 비둘기를 잡으려고 집 안에 모든 창과 문을다 닫기까지 한다. 나는 조르주가 꽃 머리만 자를 때, 비로소 감독의 말하고자 하는 바를 어렴풋이 알게 되었다. 영화가 말하는 'Amour', 사랑이라는 정의는 송이가 잘린 꽃이다.

 

우리는 조르주의 행동이 함부로 사랑이 아니라고 말할 수 없다. 또 윤리적인 측면의 접근을 막는 것은 아마도 조르주의 행동의 결과를 논하기 전에 우리가 알고 있는 조르주의 희생의 시간들 때문일 것이다. 그러면 우리는 무엇을 보고 사랑이라고 말하고 살아가는 것일까. 아무르는 우리에게 묵직한 질문담은 꽃 잎 없는 꽃을 건네준다.

 

 

 

** 본 리뷰는 브런치 작가 '성실'님의 자료를 받아 씨네랩팀에서 업로드한 게시글입니다. 

 

작성자 . CINELAB

출처 . https://brunch.co.kr/@sssincerity/72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