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wanderer2021-09-15 21:50:04

낭만을 위하여

영화 '붉은 돼지'

 우린 비행기가 일상적인 환경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나는 다른 것보다도 서울에서 부산을 갈 때 비행기를 타고 가는 게 더 싸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일상'이란 걸 실감했다. 그렇지만 더 싸기 때문에 비행기를 타고 국내를 여행하는 일은(제주도를 빼면) 앞으로도 없을 것 같다. 여행에서의 목적은 전적으로 그 미지의 공간을 감각하는 일에 있으니까. 너무 빠르게 나아가면 많은 것들을 보지 못하거나 듣지 못하고 지나친다. 효율적인 수단을 택하는 건 합리적이지만 여행의 목적으로 떠날 때 합리성만 추구하다가는 여행의 아름다움을 놓치기 일쑤다. 기억 속에 남기고 싶은 여행을 하고 싶다면 어느 정도는 비합리적이어야 한다.

 

 하늘을 나는 일이 일상적이지 않은 시절을 산다는 건 지금 느끼긴 어려운 감정이다. 우주비행을 꿈꾸는 정도라면 비슷하게 흉내라도 내볼 수 있겠으나 충분치 않다. 육지의 전장에서 말이 사라지고 나서 하늘을 활공하는 기체는 말이 되었고, 파일럿은 하늘의 기사가 되었다. 그렇게 명예를 운운하기에 좋은 비유가 생겼다. 기술의 발전 초창기엔 언제나 미지의 세계를 쉽게 이해하기 위한 이야기들이 붙는다. 기존의 사회에 있었던 상징과 의미를 이어 붙인 세계는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발전할수록 낭만을 잃는다. '비행정 시대에 지중해의 하늘'에서 명예와 여인과 돈을 걸고 공적과 싸우는 '한 마리 돼지'의 이야기는 그런 점에서 어느 정도 낭만을 그리고 있다.

 

 포르코는 비행정을 모는 조종사다. 전쟁에도 참전했던 베테랑 조종사지만 원인 불명의 마법에 걸려 이름처럼 돼지가 된다. 그는 뛰어난 비행술을 살려 현상금 사냥꾼 일을 하며 유유자적 지낸다. 고요한 외딴섬엔 파도 소리와 라디오 소리 말고는 신경 쓰일 일도 없다. 별다른 설명 없이도 포르코가 만끽하는 자유의 만족감은 충만하게 느껴진다. 불행하게도 각박한 시대에 자유를 만끽하는 일은 질투를 부른다. 포르코의 활약으로 공적 연합은 번번이 인질극에 실패한다. 이익을 나누기 싫어하는 그들이 '미국인 조종사'를 부른 이유기도 하다. 값비싼 자존심을 내려놓을 정도로 공적 연합은 단단히 벼르고 있었다. 영화는 포르코가 시시콜콜한 소동에 휘말리는 과정을 풀어낸다.

 

 관조하듯 살아가는 포르코에겐 오래된 옛 친구들이 있다. 과거에 활약했던 인간 조종사 시절을 기억하는 친구들 사이에 우정은 있지만 감정의 교류는 없다. 이 점이 흥미로웠다. 포르코는 자신의 겉모습을 부정하지 않았다. 돼지로 변한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지도 않았다. 그럼에도 인간 시절의 자신을 기억하는 건 옛 친구들 뿐이다. 친구들은 여전하다. 돼지의 모습을 하고 있어도 그를 옛 이름으로 부른다. 기억 속의 사람을 그리워하기에 친구들은 과거의 시절로 그를 소환하고, 포르코는 그런 반응을 무던하게 밀어 넘긴다. 옛 전우 페라린은 취미로 비행하는 시대는 지났다고 말하면서도 공군을 피할 수 있는 활로를 알려준다.

 

 영화에서 부서진 비행정의 잔해들이 하늘로 승천하는 모습은 처연하게 아름다웠다. 하늘로 솟구친 비행정이 보는 세상은 고요하다. 프로펠러는 작동을 멈추고 엔진도 꺼진 채 부유하며 날아오른다. 전우들을 떠나보내는 생사의 기로에서 포르코가 느꼈던 감정은 전혀 그렇지 않았을 테지만 말이다. 살아남은 자는 그 몫으로 여러 시선을 견뎌야 한다. 굳이 돼지로 변한 이유를 캐묻지 않아도 알 수 있다. 생존자의 죄책감은 그만큼 무겁다. 현실에서는 죽어서까지 지켜야 할 명예가 있을지도 모르지만 저기에선 그러지 않아도 된다. 교훈은 삶으로 향해야 마땅하다.

 

 지중해의 푸르른 배경과 갖가지 비행기들의 모습을 보다 보면 손이 근질거린다. 꼭 움직이는 형태는 아니더라도 뭐라도 만들어보고 싶다는 상상에 불을 지핀다. 그렇지만 비행기가 많이 나오는 지중해 배경의 이야기를 설득력 있게 만들려면 조건이 주렁주렁 달린다. 아예 비현실적인 세계를 만드는 건 품이 더 커지는 일이다. 배보다 배꼽이 커질 일을 감당할 수는 없다. 그러니 무거워지지 않고 자유롭게 그림을 그려내려면 주인공 정도는 돼지가 되어야 마땅했다. 전쟁을 배경으로 하고 있음에도 비현실적인 이유가 있어 너무 무겁게 흘러가지 않는다. 창공에서 수없이 총알이 뿌려져도 기체는 부서지고 불에 타지만 갈등은 적당히 갈무리된다. 

 

 연극이라는 걸 알고 있기에 할 수 있는 말들이 있다. 예컨대 아이들은 공적에게 자기들은 수영반이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위로를 건넨다. 납치한 아이들을 험하게 다루지 않는 공적들의 모습을 보는 건 마법 같은 일이다. 비행 대회가 한바탕의 축제처럼 열리는 모습도 그렇다. 불법적인 축제까지도 얼떨결에 그러려니 하게 된다. 영화를 보면 삶에 마법처럼 좋은 일이 벌어지길 기대하는 것보다 마법처럼 나쁜 일이 사라지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생긴다. 거대한 쇳덩이를 타고 하늘을 난다는 낭만은 가끔 보면 정말 믿기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러니 일상에 조금은 더 낭만적인 일이 생겼으면 좋겠다.

 

사진 출처 : IMDB 'Kurenai no buta'

작성자 . wanderer

출처 . https://brunch.co.kr/@nkt109/395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