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리뷰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감상에 젖은 채 새크라멘토를 운전하는 크리스틴의 모습이 아직도 생생하다. 내가 본 어떤 인간의 모습도, 그토록 우수에 차 있지 못했다. 지금껏 마주한 그 누구도 그녀만큼 성장을 대변하지는 못했다.
성장을 절감하는 순간은 내 과거가 가여워질 때가 아닐까. 탈주하고 싶었던 곳들이 짠하게 느껴질 때. 구현하고 싶던 미래들에 억지로 나를 껴 맞추던 과거들이 안쓰럽게 느껴질 때. 이제껏 가져온 것들을 제대로 사랑해주지 못했음을 깨달을 때.
이미지 출처: 네이버 영화
어린 크리스틴은 크리스틴을 사랑해주지 못했다. 그 이름에서 도망치고 싶을 만큼 '나'를 증오했다. 대신 내가 원하고 바라는 '나'만을 사랑했다. 내 머릿속에서 수없이 상상하고 그리며 수많은 수정 작업을 거쳐 완성해낸 완벽한 나 - 레이디버드만을 사랑했다. 그러나 레이디버드라는 이름과 인격을 향한 집착은 그녀의 사랑의 방향이 자아가 아닌 '완벽성'을 향해 있었음을 반증한다. 완벽만을 사랑하는 사람은 미완의 자신도, 타인도 결코 사랑할 수 없다. 영화의 막바지 크리스틴이 참회의 감정을 느끼는 대상은 다수이겠지만 가장 크게 미안함을 느끼는 대상은 자기 자신일 테다. 완성형의 꿈은 미치도록 사랑했으나 완성된 꿈을 꾸는 진행형의 나는 사랑해주지 못했던 그 시절을 반추하며, 그녀는 후회가 곁들여진 사랑을 곱씹는다.
Different things can be sad.
이미지 출처: 네이버 영화
레이디버드의 슬픔 앞에서 이라크 전쟁에서 죽어가는 민간인에 대해 이야기하며 마치 레이디버드의 슬픔은 별것 아니라고 말하는 카일.
레이디버드는 카일과의 섹스가 별로여서 슬픈 게 아니다. 자신이 카일의 첫 상대가 아니어서 슬픈 게 아니다. 그는 자신의 슬픔을 이해해주지 못하는 카일 때문에 슬픈 것이다. 이는 즉, 카일이 자신을 사랑하지 않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를 증명하기라도 하듯 프롬에 가는 날 제니와 제니의 남자친구, 카일은 레이디버드를 두고 "she is so wierd"라는 말을 한다. 나를 이상하다고 여기는 사람들은 나의 슬픔을 이해하지 못한다.
새크라멘토에서의 추억을 회상하며 다시 교회를 찾는 그녀의 모습은 언뜻 '지나고 보면 다 아름답더라'와 같은 형식적 교훈을 전하는 여타 성장(을 테마로 하는) 영화를 떠올리게끔 한다. 고통의 해결책을 시간의 흐름에 일임해 현재의 비극성을 지우고 지금의 통증을 간단히 마비시켜버리고자 하는 그런 고리타분한 영화들 말이다. 그러나 이 영화의 중점은 과거의 소중함을 강조하는 데에 있지 않다. 영화는 과거의 고통과 슬픔을 현재를 위한 거름으로 쓰지 않으며 성장을 지나치게 숭고화하지 않는다. 고통의 존재 이유를 당위적으로 논하지 않고 성장을 결과로 취급하는 성취지향적 태도 역시 보이지 않는다. 그리하여 지나고 보면 다 좋은 추억이니 지금도 견디라고 강요하지 않는다.
현실과 환상의 경계에 서성이고, 청소년과 성인의 경계에 서성이고, 사랑과 증오의 경계에서 서성이다가-
상처받고 상처 준 자신을 끌어안아 보다 더 따뜻한 시선으로 과거를, 현재를 바라보는 성장. 영화는 이런 성장을 이야기한다. 무엇엔가 깊이 아파하던 나를, 결코 아름답지만은 않던 과거를 연민과 애정 어린 시선으로 하나하나 보듬는 자가 치유에 대해 말한다. 지나온 것들이 아름다운 게 아니라 지나온 내가 아름다운 거라고, 스스로를 대견히 여길 수 있는 관용에 대해 말한다. 그리고 영화 말미, 크리스틴은 잘 견뎌낸 나를 토닥이고 그때의 나를 위해 눈물짓는 지금의 시간을 격려한다.
이미지 출처: 네이버 영화
영화가 화해를 말하는 방식이 무척 마음에 든다. 이를테면 엄마와 크리스틴이 각자의 진심으로 서로의 마음을 찬찬히 적셔드는 그런 방식.
엄마는 크리스틴에게 편지를 전하지 못했다. 그녀의 마음을 완벽하게, 보기 좋게 전하고자 시도했지만 써도 써도 부족한 것처럼 느껴지는 절망감으로 인해 그녀는 끝내 편지를 밀봉하지 못한다. 그러나 크리스틴을 마음을 녹인 건 완성된 편지도, 완벽한 글솜씨도 아니었다. 끝내 그녀에 손에 들리지 못한 미완의 편지, 서투른 글솜씨, 차마 말로 다 형용할 수 없는 엄마의 끝없는 진심이었다. 작품은 이곳에서 또 한 번 미완의 것들이 가져다주는 진심과 기적을 조명한다.
미완을 무한으로, andless를 endless로.
어쩌면 유한의 존재인 인간에게 가장 큰 선물은 무한이 아닐까. 마침표 찍지 못한 수많은 마음, 정돈되지 않은 날 것 그대로의 마음. 이처럼 때때로 우리는 미안하다는 말을 하지 않아도 진실된 화해를 이룩할 수 있다. 그저 사랑이, 느껴지는 순간에.
사랑이 느껴지는 또 하나의 화해의 씬은 엄마와 크리스틴이 새크라멘토를 운전하는 모습이 겹쳐지는 순간이다. 서로를 이해하게 되는 순간을 묘사하는 데에는 언어도, 사과도 필요치 않다. 그저 둘은 같은 공간 속에서 닮은 듯 다른 마음으로 서로를 헤아린다.
미완의 존재들이 미완의 것들로 서로를 치유하고 사랑하는 기적들이 무한 반복되길, 이곳이든 너머이든 어느 곳 누군가는, 완생이 아닌 미생의 존재인 우리에게 끝없는 축복을 보내주길 바라본다.
이미지 출처: 네이버 영화; “아니, 날 좋아하냐고.”
사랑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은 다를까. 한 가지만 골라야 한다면 나는 사랑을 택하겠다.
누군가 내게 진심을 고백한다면 그건-
"난 널 좋아하기보다 사랑하는 것 같아.
그래서 내가 널 미워할 수는 있어도 결코 네가 싫어지지는 않을 거야."의 이야기였으면 좋겠다.
그리고 그 고백을 듣는 내가 마음의 무게를 아는 사람이었으면, 고마움을 아는 사람이었으면. 상대의 뜨거운 진심에 손이 다 델지라도 타오르는 마음의 온도를 기꺼이 체험하는 용감한 사람이었으면.
이미지 출처: 네이버 영화
"추한 것들이 다 부도덕한 것은 아니야."
추한 모습들을 아름답게 만드는 그레타 거윅. 추한 것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그녀의 대담함이 삶을 대하는 그녀의 솔직함인 것 같아 새삼 그녀가 참 용기 있는, 따뜻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p.s 어쩌면 모든 꿈은 꿈으로 존재할 때만 아름다운 게 아닐까. 환상처럼 간직하던, 엄청난 상징적 의미를 두던 첫 경험도, 금지되어 온 담배도, 19금 포스터도 결국 경험하니 별것 아닌 것처럼 느껴지는 순간처럼.
* 본 콘텐츠는 브런치 리월 님의 자료를 받아 씨네랩 팀이 업로드 한 글입니다.
원 게시글은 아래 출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