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양예슬2021-11-19 15:16:01

경계의 모호함 속에서, 우리

프랑스여자 영화 칼럽

재작년 쯤에 광주극장에서 ‘프랑스여자’ 종영 기념 GV에 관람했다. 이 자리가 나의 ‘프랑스여자’ 영화의 두 번째 관람이었다. 첫 번째 관람은 작년 광주여성영화제에서 만났었다. 어찌 보면 나는 프랑스여자 극장상영에서의 거의 처음과 끝을 만난 것이라 볼 수 있겠다. 처음에는 이 영화를 만났을 때는 꽤나 낯설고 어려웠다. 마치 꿈같고 환상적인 전개는 나에게 혼란스러움 가중시켜주었다. 그래서 영화가 끝나고 물음표가 가득했었다. 덕에 GV를 더 열심히 들었던 것 같다.

 

그리고 올해 프랑스여자가 상영한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처음 봤을 때의 나의 감정을 다시 회고해보면 어려웠던 기억이 더 많아 선뜩 보러 갈 마음이 들지 않았다. 그러다 우연한 기회로 권유를 받아 친구와 함께 종영 GV를 관람하게 된 것이다. 그렇게 마주한 두 번째 프랑스여자는 나에게 또 다른 감정을 선사해주었다. 분명히 봤던 영화지만 참신한 느낌으로 다시 다가온 것이다.

 

‘프랑스여자’는 맥락을 알고 보는 것과 맥락을 모르고 보는 것이 확연하게 다른 영화였다. 당연히 나는 맥락을 알고 봤을 때가 더 재밌었다. 처음에는 그저 난해한 줄 알았는데, 이 스토리의 흐름을 알고서 같이 찾아가며 보니 난해함이 아니라 마치 계산된 듯 마냥 딱딱 맞아 떨어져갔다. 영화의 큰 구성은 미라와 친구들의 술자리 장면 그리고 미라의 꿈이 번갈아 이어진다.

 

이 두 장면은 서로에게 이질적으로 보이면서도 서로에게 실마리를 알려주며 호환되는 장면들이었다. 술자리에서의 의문이 미라의 꿈에서 몽환적으로 재현되는 듯했다. 또한 술자리 장면도 특이했는데, 마치 타임리프 같았다. 바로 미라가 프랑스에서 한국으로 돌아온 현재와 미라가 프랑스로 가기 전인 20년 전 과거로 시점이 번갈아 가며 나온다.

 

이는 영화 ‘써니’가 생각나기도 했는데, 다른 점이 있다. ‘써니’처럼 과거로 돌아간다 해서 과거의 모습으로 등장하는 게 아니라, 40대 중년 미라의 현재 모습으로 그대로 이어진다. 마치 미라가 과거의 모습을 꿈꾸는 중인 상황 속에 들어 온 것 같았다. 미라만 현재의 모습이며 친구들은 20년 전 모습 그대로이다. 이에 미라는 당황해하지 않고 당연하게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지낸다.

 

이런 타임리프 장면이 나에게 참신하고 신기했었다. 과거로 돌아간 상황에 전혀 당황해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모습은 되러 관객 쪽에서 아이러니를 느꼈을 것이다. 하지만 이내 관객들도 미라의 모습으로 20년 전의 해은, 영은, 성우의 모습을 지켜본다. 왜냐면 현재의 그들의 이야기에서 무언가 숨겨지는 듯한 모습들이 과거를 추적하게끔 관객을 유도한다.

 

그래서 이 장면전환은 꽤나 재밌었다. 앞으로의 실마리가 어떻게 풀어질까에 대한 흥미진진함을 유발시켜줬다. 그것도 몽환적이고 영롱하게. 마치 시간이 초월 되는 기분이 든다. 공간은 술집 그대로 똑같은데 시간의 모호함이 느껴진다. 이게 과거인지 현재인지 미라와 미라가 있는 장소만 바라보자면 알 수가 없다. 시간의 경계선 어딘가에 미라가 있는 것이다.

 

이런 시간의 경계 말고도 공간의 경계가 느껴질 때도 있다. 바로 마라의 국적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누가 봐도 한국여자로 보이는 미라는 프랑스여자이다. 그는 병원에 가서도 프랑스사람이기에 건강보험에 혜택을 받지 못한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도 미라에게는 계속 프랑스여자라고만 말을 한다. 그리고 프랑스에는 언제 돌아가느냐는 질문을 한다. 미라는 프랑스에 돌아가겠단 말이 없음에도 말이다. 이미 한국에서의 미라는 프랑스여자가 되어있었다.

 

그러나 미라는 프랑스에서의 진정으로 프랑스사람으로 지냈을까. 남편의 불륜 상대를 보고는, 자신을 한 여자로서 좋아했는지, 한국여자로서 좋아했는지 헷갈린다. 남편의 불륜 상대는 자신의 한국인 후배이기 때문이다. 이에 미라는 배신감을 느끼고 남편과 이혼한다. GV에서 감독님이 말씀해준 것 중에 기억 남는 게 있다.

 

미라는 남편과 함께 살았던 당시에는 국적을 바꾸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이혼 이후 국적을 프랑스로 바꾼다. 그전에는 언제든지 국적을 바꿀 기회가 있어 굳이 선택하지 않고 경계선에 머물렀던 것인데, 이혼으로 언제든 할 수 있다는 선택에 위기가 온 것이다. 그렇게 프랑스에서 법적으로 한국여자로 살던 미라는 남편과 이혼 이후 프랑스여자가 된다.

 

남편과 미라가 싸웠던 식당에서 테러를 받아 미라는 죽을 목숨에 처하게 되는데, 만약 미라가 거기서 죽었다면 미라는 한국여자가 아닌 프랑스여자로서 죽음을 맞이하게 됐을 것이다. 평생 한국여자로 살다가 어떤 계기로 국적으로 바꾼 날, 그 사람이 죽는다면 한국여자가 아닌 프랑스여자로 알려질 것이라는 이 아이러니가 신기하고 흥미로웠다고 말했던 감독님의 말씀이 아직도 인상 깊다. 영화의 제목에 크게 관통하는 부분이기도 해서 그랬을 지도 모른다.

 

프랑스여자에 대한 예고편을 보다가 댓글 보았는데, “프랑스여자는 백인이지”. “프랑스여자가 아니라 한국여자인데”라는 댓글을 보았다. 또한 이에 대해서 궁금증과 아이러니가 느껴졌다. 한국에서 사는 외국인은 한국 사람이 아니고, 외국에서 사는 한국 사람은 외국 사람이 아닌 걸까. 이런 공간에 대한 경계성이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그리고 영화에서 제일 미스테리한 인물은 바로 ‘해은’이었다. 아마도 자살로 죽은 것으로 추정되는 해은. 미라는 그에게 마치 죄책감을 가진 듯해 보이면서 알쏭달쏭한 포지션을 취한다. 마치 미라의 꿈으로 보이는 곳에서 미라는 해은에게 자기가 키운 고양이인 나비가 죽은 것이 자신 때문인지 물어본다. 이에 해은은 자신이 말해줄 수 있는 사항이 아니라면서 사라진다.

 

나는 이 장면이 미라가 해은에게 죄책감을 갖고 있는 모습처럼 보인다. 그러나 확실하지 않다. 미라 본인부터가 그 감정이 확실하지 않고 안고만 있다. 20년 전 해은과 성우는 연인관계였다. 하지만 성우는 미라는 좋아하는 상황이었다. 이 상황 속에서 미라는 성우가 같이 잤었는지도 기억이 나지 않아 성우에게 물어보기도 한다. 미라의 죄책감을 알 수 없는 마음에서 그저 짐작만 하는 듯해보였다.

 

그래서 그런지 꿈에서 보이는 해은의 모습은 무섭게 나타나며, 마치 그 장면들은 공포 영화 같은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것이 해은에 대한 미라의 심리라고 생각한다. 미라의 죽음을 막지 못한 것에 대한 죄책감과 혹시라도 자신 때문에 죽은 것이 아닐까 하는 두려움이 나타났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프랑스여자는 시간, 공간, 감정에 대한 경계에 놓인 미라를 보여준다. 그러면서 여러 아이러니를 만나 관객들도 생각하게끔 만들어 준다. 시공간은 초월하며 감정은 알쏭달쏭하게 풀어지는 이 영화, 그래서 참으로 몽환적이다고 느낌을 받았다. 이런 이유로 내가 처음에 느껴던 그 어렵다는 감정은 감독이 유도했단 감정이 아니었을까 라는 생각도 든다.

 

김희정 감독의 인터뷰를 보면, 앞으로 만들고 싶은 영화는 영화로만 만들 수 있는 영화를 만들고 싶다 하셨다. 바로 이 프랑스여자가 그 말을 대변해줄 수 있을 것 같다. 이 경계의 모호함과 또 거기서 나오는 아이러니는 말로만 설명하기에 어려울 것이다. 이런 어려움을 김희정 감독은 프랑스여자로 잘 풀어냈다고 생각한다. 그야말로 김희정 감독님의 영화이기에 이런 요소들은 풀어내고 겪을 수 있게 만든 것 같다.

 

이런 다양성을 겪을 수 있다는 점에서 김희정 감독님의 영화는 참 매력적이다. 그리고 내가 가장 매력적이다고 느꼈던 요소는 중년 여성의 모습을 개인적으로, 주인공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프랑스여자는 김호정 배우를 주연으로 김지영, 김영민 그리고 류아벨 배우가 주로 나온다. 류아벨 배우를 제외하고는 40-50대인 중년 배우들이 출현한다.

 

누군가의 엄마, 이모, 고모로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중년의 나이로 그 개인의 모습으로, 미라 자신으로 출현한다. 한국 영화나 드라마 쪽에서는 중년 여성을 독립적인 여성으로서 다룬 작품들이 별로 없었다고 생각한다. 젊은 여성 캐릭터들이 많아도, 이들 또한 독립적인 여성으로서 그려지는 작품들은 적었다고 생각한다.

 

사랑이라는 주제 없이는 여성 캐릭터를 거의 만나보기 힘들었는데, 나이가 들어갈수록 그 캐릭터의 발견은 점점 더 힘들어진다. 그저 타자화된 채로 만나기만 할 뿐. 그들의 서사는 매우 단편적이고 한정적이다. 아직 나는 중년의 나이가 되지 않았지만, 항상 나의 미래를 꿈꿔 보곤 한다. 하지만 한국 미디어에서의 나이 든 여성이란, 그저 엄마나 시어머니 사회적 역할로서만 보여준다.

 

여성 캐릭터에 대한 작품들과 상상력이 많이 부족한 것이라 보인다. 언젠가 젊은 우리고 중년이 되고, 노년이 될 것인데 이렇게 미디어는 노출된 게 없다는 아주 아쉬웠다. 그래서 프랑스여자가 더욱 반가웠다. 누군가의 아내, 엄마가 아닌 미라 개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중년 여성의 또 다른 모습을 하나 제시해준 셈이다.

 

프랑스여자는 영화 내용만큼이나 캐릭터 또한 다양성에 큰 영향을 줬다고 느껴진다. 우리 사고의 확장은 이런 다양성을 추구하는 영화에게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거로 생각한다. 그런 이유로 나는 앞으로도 이런 도전적인 영화에 응원하며 또 기대하게 된다. 그래서 앞으로 김희정 감독의 작품들이 궁금하며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기대된다.

작성자 . 양예슬

출처 . 미다지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