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rewr2021-11-22 17:13:22

이센스가 왕이었던 시절, 두 소년의 이야기

영화 〈라임크라임〉 리뷰

 

  ‘힙찔이’라는 말이 있다. ‘힙합’과 ‘찌질이’를 합친 말이다. 힙찔이라는 말이 처음 나왔을 때, 이 단어의 적확성에 감탄해 마지않았던 기억이 있다. 언젠가부터 래퍼들이 집단적 중2병에 걸린 것만 같다는 느낌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중학교 2학년 남학생들이 자기 주변에 예쁜 여자와 돈이 많다고 자랑하는 것 혹은 그런 상태를 욕망하는 것은 권장할 만한 일은 아니지만 그럭저럭 넘어갈 수 있는 일이다. 심지어 허세 넘치는 그들의 모습을 조금은 귀엽게 봐 줄 여지도 있다. 하지만 대중적 인기와 경제력을 갖춘 성인 남성 래퍼들이 이들과 똑같이 구는 건 완전히 다른 문제다. 나는 성인이 되어서도 거들먹거리는 말투와 몸짓, 태도로 자랑할 것이 돈과 여자밖에 없다는 듯 구는 그들이 진심으로 한심하고 딱했다. 내게 ‘힙찔이’는 여전히 중2에 머무른 채 성장하지 못한 남성 래퍼와 그의 추종자들을 매우 적절하게 지칭하는 단어였다. 

 

송주(좌)와 주연(우)

 

  〈라임크라임〉은 힙찔이의 전사(前史) 혹은 균열을 탐색하는 영화다. 힙합 덕후였던 이승환, 유재욱 감독이 힙합에 빠져 지냈던 본인들의 학창 시절을 모티브 삼아 만들었다고 한다. 주인공은 송주와 주연이다. 송주는 그리 풍족하지 않은 집에서 자랐다. 아빠는 카센터 정비공으로, 엄마는 마트에서 계산원으로 일하는데 아빠가 술을 마시면 돌변하는 탓에 분가해 엄마와 함께 살고 있다. 성적은 좋은 편이 아니고, 담배를 피우고 또래에게 돈을 뜯는 친구들과 어울린다. 반면 주연은 넓은 아파트에 산다. 그의 부모는 경찰서에 끌려간 송주를 빼 줄 수 있을 만큼의 힘을 가진 사람이고, 집은 가사노동자를 고용할 정도로 풍족하다. 성적도 좋아서 외고를 준비하고 있다. 이토록 다른 송주와 주연의 공통점은 하나다. 바로 힙합 그리고 래퍼 이센스를 좋아한다는 것.

 

  수많은 차이에도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면, 관계는 시작될 수 있다. 둘은 ‘라임크라임’이라는 힙합 팀을 결성한다. 자기들만의 아지트를 만들고, 작은 무대나마 공연장에 올라 환호를 받는다. 일련의 과정들을 거치고 함께한 경험이 쌓이면서 둘의 세계는 점차 공고해진다.

 

  하지만 하나의 공통점으로 시작된 관계는 언젠가 서로의 차이를 마주할 수밖에 없고, 이를 조율해 내지 못하면 위기를 맞는다. 송주는 래퍼 형들과 어려운 용어를 써 가며 대화하는 주연에게 소외감을 느끼고, 주연은 송주가 왜 계속 껄렁한 친구들과 어울리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함께 랩을 하며 꿈을 키우는 송주와 주연

 

서로의 차이를 좁히지 못하는 송주와 주연

 

 결국 관계는 두 세계를 조율하는 게 아니라 세계를 가로질러 이동함으로써 유지된다. 둘의 관계는 주연이 송주를 자신의 세계로 초대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주연은 송주에게 랩을 같이 해 보자고 제안했고, 명반으로 불리는 랩 음반을 빌려줬으며, 함께 공연에 오르자고 독려했다. 즉, 라임크라임의 모든 것은 주연의 세계에서 전개되었다. 라임크라임으로 시작된 둘의 관계가 주연의 세계를 토대로 했다는 의미다.

 

  그러나 많은 것이 어그러진 후, 이번엔 주연이 송주의 세계로 들어간다. 지금까지 둘은 늘 주연의 깔끔한 아파트에서 작업을 했다. 주연이 수집한 수많은 음반을 듣고, 주연의 돈으로 산 피자를 먹으며, 주연이 틀을 잡은 방식대로 음악을 해 왔던 것이다. 하지만 다시 만난 둘이 모인 건 송주의 허름한 다세대 주택이다. 주연은 그곳에서 송주가 끓여 준 라면을 먹고, 송주가 만든 음악을 들으며, 송주의 제안으로 다시 라임크라임을 이어갈 용기를 얻는다.

 

  이처럼 〈라임크라임〉은 청소년들의 성장과 꿈, 관계의 윤리 등이 결합된 영화다. 영화에는 힙합이 주류가 아닌 하위문화 시절이었던 때의 정서와 시대적 질감이 잘 묻어나며, 다소 어색한 듯 짧은 호흡으로 이어지는 장면들은 오히려 성장영화의 장르적 특성을 잘 살리는 연출처럼 보이기도 한다. 송주와 주연 사이에 오고 가는 내밀한 감정 묘사는 감독이 굉장히 세심한 관찰력과 회상으로 영화를 연출했음을 보여 준다.*

 

송주와 주연은 어떤 어른/래퍼로 성장했을까?

 

  그러나 혼란, 상실 속에서도 꿈과 관계의 윤리를 모두 놓치지 않았던 송주와 주연이 어떤 어른/래퍼로 성장했을지를 상상했을 때 조금은 우울해졌다. 과연 그들은 자신들이 겪어 온 시절을 잊지 않고 좋은 어른/래퍼로 성장할 수 있었을까? 혹여나 그들이 혼란스러웠던 과거는 다 잊어버렸다는 듯이, 혹은 이제 나는 성공을 거머쥐었기에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라는 듯이 구는 ‘힙찔이’가 되어 버리진 않았을까? 왜 어른/래퍼들은 자신의 취약함을 타인에 대한 다정함으로 전환하지 못하고 늘 강한 척 연기하는 걸까?

 

 물론 이런 질문들은 다른 결의 힙합을 추구해 온 래퍼들의 존재를 비가시화하고 모든 래퍼와 힙합 팬들을 ‘힙찔이’로 환원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하지만 래퍼의 주류적 이미지가 여전히 거들먹거리고 젠체하며 자신의 ‘우월함’을 입증하려 드는 남자들이라는 점에서 위 질문들은 진지하게 고민될 필요가 있다. 송주와 주연이 경험한 그 시절의 모든 것들은 더 깊게 이야기되어야 하고 힙합 음악으로도 표현되어야 한다. 그렇게 될 때야, 이센스가 왕이었던 시절 두 소년의 이야기를 담은 〈라임크라임〉은 ‘힙찔이’들이 자신의 과거를 낭만적으로 채색하려는 퇴행적 시도에 그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송주와 주연이 좋은 어른이자 래퍼로 성장했길 바란다.

 

 

*〈라임크라임〉이 감독의 자전적 경험을 다룬 영화라는 걸 모르는 채로 영화를 봤는데, 송주와 주연이 함께 장난치며 햄버거를 만들며 노는 장면에서 서로의 몸에 묻은 케첩, 머스터드를 스치듯 핥는 장면을 보며 이 영화가 감독의 경험을 반영한 영화란 걸 확신했다. 성인이 되기 전, 남성들 간의 우정(특히 둘 사이의 우정)에는 결코 동성애로 독해되지 않으나 명백히 동성애적인 순간들이 너무도 많다. 〈라임크라임〉의 햄버거신(scene)이 포착한 건 바로 이 순간이다. 이 정도의 세심함은 직접 경험하지 않고서는 웬만해선 나오기 어렵다.

 

**씨네랩에 초청받은 시사회에 참석한 후 작성한 글입니다.

작성자 . rewr

출처 . https://brunch.co.kr/@cyomsc1/129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