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이정2023-01-26 20:41:24
서술과 공명과 기억
영화 <애프터썬> 리뷰 (샬롯 웰스 감독, 2023)
*온라인 무비 매거진 '씨네랩'을 통해 시사회에서 감상 후 작성하였으며,
줄거리가 일부 서술되어 있습니다. 영화 개봉일은 2월 1일입니다.
*누군가의 소중한 기억에 들어가는 기분으로 푹 젖어드는 영화입니다.
극장에서 보시길 적극 추천 드려요. :-)
* * *
영화 <애프터썬>은 20여 년 전 11살 소피가 여름방학 끝자락 아버지와 함께 갔던 튀르키예 여행을 소재로 한다. 그래서 현재의 소피, 과거의 소피, 여행에서 찍은 캠코더 영상까지 다양한 결의 영상이 섞여 있다.
리조트로 이동하는 버스에서 부녀가 소곤소곤 귓속말을 하며 여행은 시작된다. 광활한 들판을 달리는 튀르키예의 버스. 영화는 캠코더 줌 소리와 캠코더 속 계단 현상으로 조각조각 깨진 영상으로 시작하면서 이것이 영상임을 선명하게 느끼게 만들더니, 이내 버스를 같이 탄 것처럼 가장 현실적인 시야 안에 관객을 둔다. 덕분에 새삼 깨닫는다. 기억은 단순한 저장과 축적이 아니라 편집과 서술에 가까운 행위라는 것을.
촬영한 사람의 1인칭 시선이 반영된 캠코더 영상처럼, 기억은 사실 1인칭으로 서술된 후 편집된다는 것을. 우리는 우리에게 공명한 것만을 서술할 수 있으며, 서술한 후에 비로소 기억할 수 있는 것이다. 어두운 방에 앉아 캠코더 속 오래된, 변해버린 기억들을 더듬어 보는 아빠의 모습이야말로 ‘기억을 기억’하는 우리 모습에 가까운지 모르겠다. 숨소리만 들리는 이 영화 속 새벽을 가만 집중해 바라보게 되는 것도 어쩌면, 새벽은 모든 추억이 가장 선명하게 요동하는 시간이기 때문에.
이 영화는 관객에게 소피와 아빠의 기억을 설명하고 보여주기보다, 그냥 그들의 기억 속에 관객을 덜렁 내려놓는다. 덕분에 마치 <이터널 선샤인>의 주인공들처럼 기억에 숨어든 기분마저 든다. 남의 부녀 여행에 별안간 동승해 버린 나는 어리둥절한 채로 열심히 두 사람의 세계를 파악한다. 그러다 보면 영화를 본다는 느낌 그 이상으로, 이 영화를 내 기억으로 새로 쓰는 느낌마저 든다. 그렇게 영화는 관객을 적극적으로 이끈다. 기억이란 이렇게도 적극적인, 그럼에도 아주 선명할 수만은 없는 행위인 것이다.
수백 가지 감상문이 가능할 이 영화를 보는 내내, 튀르키예의 높은 하늘과 어마어마한 광량을 함께 느끼는 듯했다. 그래서일까 따끈한 햇볕 아래에서 콧날이 시큰거리는 기분을 느껴야 했다. 이 영화의 어떤 순간이 나에게 공명했는지 서술해 보기로 한다. 결국 나에게 이 영화는 나의 서술로 기억될 테니까.
기억은 공명하는 것
누군가와 관계를 맺는다는 것은, 단지 지금 내 눈앞의 상대뿐 아니라 그의 과거와 미래까지 마주하게 된다는 뜻이다. 그 순간은 비장하고 묵직한 운명의 얼굴을 하고 오지 않는다. 아주 여상한 순간, 가볍게 찾아온다. 미리 준비할 수도 없게.
튀르키예를 여행하는 중 딸에게 질문을 받은 아빠 캘럼의 순간이 그러했다. 11살 소피는 몰랐지만 그 질문은 삼십대 아빠가 아닌 과거의 11살 캘럼에게 던져진 것이었다. 아빠가 지금 11살이라면 무엇을 할지, 아빠의 11살 생일은 어땠는지. 아직 충분히 위로받지 못한 자신의 11살을 떠올리며 캘럼은 질문을 피하려다가, 캠코더를 끄고서야 대답한다. 조금 슬펐던 생일, 자신이 했던 선택을. 그러자 소피는 잘 선택했네, 하고 은은하게 대답한다. 십 년이 두 바퀴나 지난 지금, 그때엔 존재하지도 않았던 이가 지금 말해주는 것이다. 잘했다고. 과거의 자신에게 공명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30대의 아빠가 11살 소피에게 해준 말이, 언젠가 30대의 소피에게 공명할지 모른다. 지금은 고향에 소속감을 느끼고 행복하다는 소피에게, 훗날 생각이 변한다 해도 네가 원하는 대로 살 수 있다는 말을, 아빠는 그래서 남겨두었는지도 모른다. 어떤 얘기든 할 수 있는 사이를 꿈꾼 것도 그래서일 것이다. 언젠가 스스로가 남들과 다르고 유별난 듯이 느껴질 때, 더 이상 소속감을 느끼지 못할 때가 온다면 그때, 지금 이 대화가 떠오를 수 있도록. 두 사람이 앉아있던 바다의 부표처럼 이 기억 위에 앉아 쉴 수 있도록. 시간의 흐름 속에서 우리는 변하고, 어떤 말들은 이전과 전혀 다른 의미로 와닿게 된다.
마찬가지로, “내일도 신날까?”라는 말에 대한 대답도 이미 두 사람의 생애 다른 순간에서 이미 대답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아주 어쩌면, 여전히 섬광 속 아빠를 꿈에서 보는 현실의 소피가 잠에서 깨어 기꺼이 아기 침대로 향하는 선택에는 이런 시간이 영향을 미쳤을지도 모른다.
기억은 서술되는 것
아빠와 소피는 기억을 서술하는 방법을 잘 아는 사람들이다. 물속에서 서로의 사진을 찍고, 캠코더를 들고 다닌다. 그러나 시간을 물성에 잡아 두는 데에만 얽매이지도 않는다. 담아둘 수 없는 시간도 성실하게 마주한다. 버스에서 내렸을 때 하나 같이 사진을 찍는 사람들 틈에서도 자기들의 행위에 집중하고, 온천에서 머드를 발라 줌으로 미안한 마음을 녹이기도 하면서.
그들이 함께 사는 사이가 아니라는 것은 대화에서 금방 드러난다. 같은 하늘 아래 있다는 것으로 같이 있음으로 같이 있음을 느낄 수 있다는 소피의 말에서 실은 참 그리웠다는 마음이 읽힌다. 같이 있는 가족이 놓치기 쉬운, 애틋한 마음의 무게를 늘 그림자처럼 인지하고 있다. 아마 그 마음이 두 사람의 여행에 보조를 맞춰 주었을 것이다.
게다가 두 사람은 눈높이가 그럭저럭 맞는다. 철없는 말도 이따금 툭툭 뱉는 아빠와, 사람들의 어린애 취급마저 여유롭게 소화할 만큼 성숙한 소피는 친구처럼 다양한 대화를 한다. 두 사람의 대화는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다. 화장솜으로 얼굴을 가만가만 어루만져 주는 저녁처럼, 서로 등을 맞댄 느낌으로 나란히 있다. 함께 있지 못한 사이에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 이런 시간을 공들여 쌓았을 것만 같다. 호신술이라며 잡힌 손 뿌리치는 방법을 가르치는 시간처럼, 포켓볼도 아마 저렇게 가르쳤을 것이다. 그 시간이 두 사람의 세계를 만들었다.
캠코더에 연결한 호텔 텔레비전 옆에 첩첩 쌓인 몇 권의 책이 두 사람의 세계를 보여준다. <명상하는 법>이라는 가상의 책과 실제 태극권 교본, 마가렛 타이트의 <시, 이야기, 글 쓰기(Poems, Stories, and Writings)>도 놓여 있다. 시인인 동시에 영화인이었던 마가렛 타이트의 책이 놓인 것에 대해, 샬롯 웰스 감독은 독립적으로 자기 세계를 구축해 나갔던 스코틀랜드 영화인들을 바라보는 마음이라고 대답했다.
문득 궁금해진다. 자기 손으로 이야기를 써내려가는 사람의 책을 여행지에서도 읽고 있는 소피가, 훗날 이 순간을 어떻게 서술하고 기억할까. 그러다 불현듯 깨닫는다. 이 영화 자체가 그 대답임을. 극 중 인물의 미래는 영화 이후의 (관객이 알 수 없는) 선형적 시간이 아닌, 영화 안에 이미 들어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기억을 서술하는 한, 시간은 회전목마처럼 무한히 순환한다.
기억은 기억되는 것
두 사람의 여행은 적당히 무료하고 적당히 나른하며 적당히 신난다. ‘인스타그래머블’하고 요란하지 않았던 그 시절의 여행답게. 두 사람은 튀르키예 구석구석을 살뜰하게 즐긴다. 소피의 머리에 실을 감고, 하나하나 이야기를 넣어 짰다는 카펫을 구경하면서. 실을 얽고 짜는 데 재능이 있는 땅, 이야기를 얽고 짜는 데 재능이 있는 땅이다.
그러나 삶은 카펫이 아니어서, 우리는 모든 이야기를 다 읽어낼 수가 없다. 모든 자식들이 다 그렇듯 우리는 생각보다 아빠를 잘 모른다. 이따금 캘럼이 보이는 어두운 면들을 영화는 자세히 서술하지 않는다. 까만 티셔츠를 입고 바다로 걸어 들어가는 모습, 카펫 더미에 기대서 짓는 표정 같은 것들에서, 밝아 보이는 아빠 이면의 캘럼이 있음을 어림짐작하게 할 뿐이다.
저렇게 대화가 많은 부녀여도, 아무리 소피가 성숙해도, 그토록 꼭 끌어안았어도. 아빠와의 기억은 천천히 차오르는 폴라로이드 사진 같아서, 아주 선명하지도 않지만 다시 인화할 수도 없다. 자식에게 부모의 기억이란 대개 그럴 수밖에 없는 것 같다. 그래서 더 애틋하다.
두 사람은 헤어지는 순간까지 착실하게 캠코더에 담는다. 지켜보고 있음을 알기에 돌아보고, 장난을 치면서 이별을 조금 유예해 보기도 한다. 그러나 모든 이별은 종결될 수밖에 없다. 사랑한다는 말로든, 잘 가라는 말로든. 밝은 미소로든, 서글픈 미소로든. 우리는 다만 피할 수 없는 종결의 순간에 어떤 모습으로 서 있을지 선택할 수 있을 뿐이다.
소피는 이제 성인이 되어 그 시절의 기억을 재생해 볼 수 있지만, 어떤 대화와 어떤 뒷모습, 어떤 씁쓸한 미소 같은 것들은 미처 캠코더에 다 담기지 못했다. 그러나 괜찮다. 수영복을 입은 소피의 어깨나 머리칼을 따끈따끈 데워 주었을 어느 여름의 태양 빛처럼, 직면하지 않아도 흔적을 남기는 것들이 있다. 기억으로 서술되고 공명하고 그렇게 끝내 추억이라는 이름을 얻은 어떤 순간들이 있다. 과거의 사람이 되어 버린 그 시절의 아빠는 이제 섬광의 기억 속에 있다. 서술되지 않은 것들까지 총합하여 소피는 아빠의 카펫과 다른, 자신의 기억을 써내려갈 것이다.
앞으로 나아갈 때에야 비로소 뒤에 있는 이를 인지할 수 있다. 등 뒤의 존재를 생각하며 깨닫는다. 삶은 본질적으로 긴 이별임을, 즐겁고 평온한 순간조차 우리는 다 알 수 없는 서로를 더듬거리며 멀어져 가고 있음을, 함께 있는 순간은 당연한 게 아니었음을, 그럼에도 서로를 서술하고 서로 공명하고 깊이 기억하는 일이 사랑임을. 그래서 슬프고 그래서 따끈한 어떤 여름 햇살 같은 사랑임을.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