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KinoDAY2023-09-05 09:11:36

<스파이 코드명 포춘>가이 리치에게 기대치 않은 무언가

<스파이 코드명 포춘> 리뷰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정체를 알 수 없지만, 전 세계를 파괴할 만한 위력을 지닌 무기 '핸들'이 도난당한다. 이에 영국 정보부는 '네이선'(캐리 엘위스)에게 '핸들' 회수를 의뢰한다. 

 

경쟁자 '마이크'보다 먼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네이선은 최고의 팀원을 소집한다. 업계 최고의 스파이 '포춘'(제이슨 스타뎀), IT 전문가 '사라'(오브리 플라자), 만능 요원 'JJ'(벅지 말론)까지.

 

 그들은 '핸들'의 거래를 담당하기로 알려진 세계적인 무기상 '그렉'(휴 그랜트)에게 접근하기로 결정하고, 그렉이 가장 좋아하는 할리우드 스타 '대니'(조쉬 하트넷)를 포섭해 임무에 나선다.

 

 

첩보 영화의 과거와 현재

시대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 장르가 없지만, 첩보 영화는 유난히 시대적 흐름에 민감하다. 첩보물은 국가의 역할과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기 때문. 스파이 영화의 핵심은 이해관계다. 첩보원, 기관, 국가의 이익이 첨예하게 대립할 때 서스펜스는 극대화된다. 따라서 변화하는 국가의 역할, 이익을 반영하기에는 첩보물만 한 장르가 없다. 

 

예를 들어 냉전이 한창일 때 미국, 영국 첩보 영화에서는 소련이 주요 적국이었다. 냉전이 끝나갈 때쯤에는 북한 같은 공산권 국가가 표적이었다. 9.11 테러를 기점으로는 이슬람 테러 조직이 자주 등장했다. '테러와의 전쟁'이 끝난 후에는 자성의 물결이 일었다. <본> 시리즈처럼 국가의 폭력으로 인한 희생자와 피해자의 역공을 다뤘다. 즉, 첩보 영화는 각 시대마다 시민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대상을 보여줬다.  

 

그다음은 뭘까? 관객과 시민은 어떤 적에게 두려움을 느끼고 있을까? <스파이 코드명 포춘>은 나름대로 답을 내놓는다. 가이 리치의 첩보 영화는 국가의 영역에서 벗어나 국가의 기능을 잠식해 가는 적을 겨냥한다. 

 

 

'진짜와 가짜'에 주목하라

보통 가이 리치 영화는 화려한 편집과 연출 스타일을 즐기는 오락 영화로 정평이 나 있다. 하지만 <스파이 코드명 포춘>은 기대와 다르다. 의외로 깊은 스토리와 플롯이 먼저 눈길을 끈다. 그 중심에는 '진짜와 가짜'라는 모티브가 있다. 

 

IT 재벌 빌런은 전 세계 금을 전부 매입한다. 고차원 AI인 '핸들'을 이용해 디지털 금융 세계를 유명무실화 하는 게 그들의 목적이다. 계좌 상 숫자는 사라질 수 있는 약속에 불과하고, 오직 금만 실제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노린다. 비슷한 뉘앙스의 대사도 반복된다. 작전이 막힐 때마다 포춘은 사라에게 직접 현장에서 부딪히라고 말한다. IT 전문가라고 의자에만 앉으면 안 된다면서. 

 

'진짜와 가짜'라는 모티브에 주목하면 어색한 장면이 필요한 이유를 유추할 수 있다. 사실 작중 휴 그랜트와 조쉬 하트넷은 이상할 정도로 높은 비중과 많은 분량을 차지한다. 그나마 그렉은 '핸들'의 거래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에 할리우드 스타 대니는 대체 왜 필요한지 의문이다. 아무리 그렉이 가장 좋아하는 배우라고 해도. 

 

하지만 대니의 서사를 뜯어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그의 이야기는 진짜와 가짜 사이에서 진짜를 찾아가는 여정이나 다름없다. 일례로 그는 포춘의 협박 때문에 작전에 참여한다. 포춘은 그에게 자기 자신을 연기하면 된다고 조언한다. 이를 기점으로 그는 달라진다. 꺼져가던 연기에 대한 불씨를 다시 키우기로 마음먹는다. 

 

그 이후도 마찬가지다. 촬영장에서 스턴트 연기를 하던 그는 자기가 촬영 때 탔던 소품 차를 몰면서 진짜 카 체이싱을 펼친다. 다음 작품에서 억만장자 백역을 연기할 때는 억만장자가 썼던 진짜 대사와 제스처를 고스란히 따라 한다. 이처럼 그는 진짜와 가짜 중 전자를 찾아가는 과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인물이다. 첩보원이 아닌데도 첩보 영화에서 비중이 큰 이유다.  

 

 

진짜 적을 찾아서

이에 더해 '진짜와 가짜'는 첩보 영화의 현재를 엿볼 수 있는 모티브라서 중요하다. 이 영화 속 빌런은 철저히 모습을 숨긴 상태로 진행된다. 보이는 적이 있고, 진짜 적이 따로 있다. 이를 빌런의 존재와 결합하면 꽤 의미심장하다. IT 기업가, PMC를 연상시키는 프리랜서 첩보 집단, 무기 거래상은 손을 잡고 있다. 국가가 책임져야 할 영역을 대신하고 있는 주체들이 흑화해서 세계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한다.  

 

이는 <위기의 국가>에서 바우만과 보르도니가 지적한 바와 같다. 현대 사회에서 국가는 초국가적 자본, 기술, 조직에게 권력을 내줬다. 사회 갈등을 해결하는 중재자, 경제 규제의 주체, 안전의 보장자라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국가의 영역을 벗어나서 국가가 통제하지 못하는 새로운 주체의 등장, 그들이 내포한 위협을 사람들은 두려워한다. <스파이 코드명 포춘>은 바로 이 대목을 겨냥하는 영화다. 

 

그러다 보니 인공지능이 등장해도 <미션 임파서블 7>과는 결이 다르다. <미션 임파서블 7>에서는 인공지능이 빌런이었다. 하지만 <스파이 코드명 포춘>에서는 AI를 어떻게 활용할지가 문제다. 달리 말해 인공지능은 그저 이야기를 시작하기 위한 도구에 불과하다. 마지막 장면까지 등장하지만, 미묘하게 이야기의 핵심은 아니다. 마치 <미션 임파서블 3>의 토끼발 같은 맥거핀이다. 이조차도 '진짜와 가짜' 놀이 안에 있는 셈이다. 

 

 

오락 영화라는 변명 혹은 핑계

그런데 <스파이 코드명 포춘>은 여기서 멈춘다. 문제의식의 핵심은 건들지 않는다. 영화 속 스파이 묘사가 대표적이다. 작중 첩보원은 프리랜서다. 스포츠 스타나 다름없다. 스카우트할 수도 있고, 이적할 수도 있다. 그들에게 임무는 그저 돈을 벌기 위한 수단이고, 커리어를 쌓는 일이다. 국가의 대리인으로서 고뇌하던 이전까지의 스파이와는 다르다. 제임스 본드, 제이슨 본, 이단 헌트, 심지어 킹스맨과도 다르다.

 

역으로 그렇기에 그들의 존재는 더 섬뜩하다. 그들에게는 사명이나 책임감이 없다. 내적 갈등도 없다. 돈만 준다면, 조건만 맞춰주면 그들은 언제든 영화가 지목한 잠재적인 적이 될 수도 있다. 마이크와 네이선의 경쟁 구도처럼. 네이선이 포춘을 애국자라서 고용한다는 말이 단순한 농담은 아닌 셈이다. 

 

하지만 영화는 묘한 경계선을 이용하지 않는다. 국가의 영역이 상업화되는 세태를 다룰 듯하다가 이내 잊는다. 아군도 적도 될 수 있다는 양면성은 유머의 소재로 휘발된다. 이번에는 어디로 휴가를 갈지, 어떤 와인을 마실지 고민하는 이들 앞에서 주제 의식은 무의미하다. <007> 시리즈 같은 첩보 영화와 비교하면 아쉬움이 남지 않을 수 없는 지점이다. <007> 시리즈도 엄연히 오락 영화이고 상업 영화라는 걸 고려하면 더 그렇다. 

 

 

장르에 충실해서 문제다

또 다른 문제도 파생된다. 상술했듯이 <스파이 코드명 포춘>의 스토리텔링은 첩보 영화치고 얕다. 그런데 반대로 연출이나 편집은 지나치게 첩보 영화스럽다. 그래서 영화 자체의 매력이 약하다. 언뜻 듣기에는 이상한 말이다. 장르에 충실해서 문제라니? 하지만 감독이 가이 리치라면 말이 된다. 가이 리치 영화는 장르적 쾌감 못지않게 독특한 스타일이 빛날 때 호평받기 때문. 안타깝게도 <스파이 코드명 포춘>은 해당되지 않는다.

 

가이 리치 스타일은 독보적이다. 그는 템포를 가지고 논다. 쉬어갈 때는 확실하게 분위기를 잡다가, 필요한 순간에는 빠른 편집과 의도적인 급전개로 관객을 현혹한다. 특히 편집이 인상적이다. 한 편의 영화를 서로 다른 시점과 시간대로 분해한 후 짜 맞추는데 능하다. 전작인 <캐시 트럭>도 현재 시점, 6개월 전, 5개월 전 3개의 파트로 나누어져 있었다. 그래서 그의 영화는 전체 퍼즐을 맞춰가는 재미가 있다. 

 

<스파이 코드명 포춘>에는 그 맛이 없다. 시간 순서를 뒤집고 화려한 화면 분할을 활용하는 장면은 팬서비스처럼 스쳐 지나간다. 제이슨 스타뎀이 '핸들'을 훔쳐간 테러리스트 거처에 침입했다가 빠져나가는 장면이 대표적이다. 캐릭터나 정보량이 많아서 기존 스타일을 고집하면 영화가 난잡해질 수 있다고 판단한 듯하다. 하지만 직전 작품인 <젠틀맨>과 <캐시 트럭>이 워낙 색깔을 잘 보여줬기에 아쉬움이 크다. 

 

 

어떤 의미로든 밋밋한 하위 호환 

액션도 기대 이하다. 일반적으로 가이 리치는 액션을 평범하게 보여주지 않는다. 작전을 세우는 장면과 작전을 실행에 옮기는 장면을 대비한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세련된 액션을, 그렇지 않으면 예상치 못한 유머와 쾌감을 즐길 수 있다. <셜록 홈즈>에서 홈즈가 상대방의 움직임을 예측하거나 <킹 아서>에서 아서의 런던 침투 계획이 어그러진 장면이 대표적이다. 

 

반면에 <스파이 코드명 포춘>은 분량도 적지만, 개성도 없다. 볼만한 맨몸 액션이 등장하기는 하지만, 액션씬은 대부분 제이슨 스타뎀의 역량에 기댄다. 그 결과 다른 첩보 영화에 비해 눈을 사로잡을 만큼 차별화된 개성이나 매력을 느끼기는 어렵다. '가이 리치라면 달라야 하는데'라는 생각을 떨치기 어려운 이유다. 

 

그래도 특유의 유머 감각은 살아 있다. 서로 빠르게 주고받는 영국식 유머를 재치 있게 활용한다. 누구 한 명 빼놓지 않고 혀놀림이 화려하다 보니 유머 타율도 나쁘지 않다. 007을 비튼 대목도 재밌다. 마티니를 찾는 본드랑 달리 포춘은 최고급 와인만 고집한다. 이 티키타카만 즐겨도 영화는 충분히 흥미롭다.  

 

종합하면 <스파이 코드명 포춘>은 인기 첩보 시리즈의 하위 호환이라는 인상이 짙다. 소재나 주제의식은 근래 <007> 시리즈에 미치지 못한다. 영화의 구성은 <미션 임파서블>을 연상시킨다. 팀업무비라는 점이나, 팀원들의 역할 분배가 겹친다. 유일한 차별화 방법도 놓쳤다. 가이 리치 감독의 스타일을 강조하는 대신 장르의 관습에 기댄다. 그 결과 <스파이 코드명 포춘>은 여러모로 가이 리치에게 기대하지 않은 결과물이 됐다.  

 

 

Acceptable 무난함

'가이 리치'도, '첩보 영화'도 뽑다 말았다

작성자 . KinoDAY

출처 . https://brunch.co.kr/@potter1113/618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