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또비됴2024-08-18 22:31:25
이제야 정상궤도로 돌아온 레전드 SF 호러
<에이리언: 로물루스> 리뷰
이제야 정상 궤도로 돌아왔다. <에이리언: 로물루스>는 시리즈의 장점과 향수를 자극하며 작품 본연의 재미를 견고하게 다지는 데 성공한다. 개봉 전 이 영화의 완성도는 반신반의했다. 그 이유는 리들리 스콧 감독이 구축한 <에이리언>의 세계관이 시리즈를 거듭할수록 그 힘이 떨어졌기 때문. 하지만 새롭게 조종석에 앉은 페데 알바레즈는 보란 듯이 성공적 도킹에 이른다.
2142년, 거대 기업 ‘웨이랜드 유타니’의 우주 식민지화 사업은 가열차게 돌아간다. 사업이 확장할수록 죽어 나가는 건 노동자들이다. 우주 식민지에서 기업의 노예처럼 사는 레인(케일리 스패니)는 친동생처럼 여기는 합성 인조인간 앤디(데이비드 존슨)와 낙원과도 같은 식민지 이비가 행성을 가려 한다. 노동시간을 채우면 행성 이동이 가능한 시스템을 활용해 이를 신청한 레인은 영문 모를 이유에 거절당하고, 좌절한다. 그러던 그에게 친구들이 찾아와 더 나은 삶을 찾기 위해 식민지를 함께 떠날 계획을 들려주고, 이들은 바로 행동에 옮긴다. 그 첫 목적지는 버려진 우주기지 ‘로물루스’. 이곳에서 동면용 장치와 연료를 가져오려는 레인과 친구들은 굳게 닫힌 문을 연다. 그 안에 에이리언의 무자비한 공격이 기다리고 있는지도 모른 채.
<에이리언: 로물루스>는 새로움을 적극적으로 가져오는 대신 익숙하지만 멋들어진 오마주를 펼친다. 스토리 라인도 곁가지를 다 쳐낸 듯 매우 단순하다. 희망을 찾기 위해 길을 나선 청춘들이 버려진 우주기지 안에서 미지의 외계생명체와 사투를 벌인다는 내용이다. 기존 IP가 가진 가공할 힘에 기댄 듯한 영화의 전략은 주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이번 영화에서 제작자로도 참여한 리들리 스콧 때문인 동시에 덕분이다.
2012년, <에이리언> 시리즈를 다시 회생시키기 위해 리들리 스콧은 다시 도킹을 시도했다. 숨겨진 에이리언의 기원을 소개하는 <프로메테우스>를 비롯해 2017년 <에이리언: 커버넌트>를 내놓은 것. 시리즈의 팬들이 그토록 궁금해한 외계생명체의 비밀을 알게 되었다는 점에서 두 영화의 의의를 둘 수 있지만, 영화 고유의 끈적끈적한 공포의 맛은 덜해졌다. 또 다른 동력으로 불멸의 시리즈를 이어 가기 위해 그 기회를 엿봤던 리들리 스콧에게는 다소 아쉬운 선택이 된 것.
어느 순간 목적지 없이 유영하는 우주선이 된 이 시리즈의 굳게 닫힌 문을 연 이는 <맨 인 더 다크>로 유명한 페데 알바레즈다. 감독은 이야기의 깊이와 넓이의 확장 대신, 에이리언 고유의 재미와 매력을 살리기 위한 심폐소생술에 집중한다. 에이리언의 광팬이라 밝힌 감독은 우주선 밀실 공포와 그 안에서 벌어지는 인간과 에이리언의 대결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1편의 초기 설정처럼 의문의 외계 생명체의 출현과 어떻게든 살아남으려는 인간들의 모습, 페이스허거를 시작으로 체스트버스터, 제노모프 등 에이리언의 성장 단계별 모습과 공격 등 상세히 설명한다. 그동안 우리가 잊고 지냈던 미지의 공포를 수면 위로 끌어올린 듯한 느낌이 강하다. 이런 부분은 기존 팬들에게는 향수로, 이 시리즈를 새롭게 볼 신규 관객들에게는 이 세계관의 친절한 입문서로서 읽힌다.
기존 시리즈와 동어반복적인 스토리라인에도 기시감을 넘는 긴장감을 계속해서 부여하는 건 멋들어진 오마주 덕분이다. 1편에서 봤었던 우주선 조작키부터 내부 통로, 투박한 모니터와 화질 등 그 시절 리플리(시고니 위버)를 통해 만났던 디자인은 물론, 보기만 해도 고개를 돌릴 정도로 매끈한 빅헤드를 들이밀며, 턱받이가 필요할 정도로 산성 침을 질질 흘리는 얼굴, 그리고 입에서 촉수처럼 또 하나의 입이 나오는 크리처의 향연은 그 자체로 멋지다. 어둠속에서 머리나 꼬리를 살짝 보여주며 공포감을 자아내는 것은 물론, 수평, 수직 공간을 자유자재로 넘나들며 공격을 가하는 액션 스타일까지 구현한다. 특히 <맨 인 더 다크> <이블 데드>(2013)에서 보여줬던 분위기와 액션을 잘 활용한 듯한 느낌도 든다. 여기에 CG가 아닌 아날로그 방식으로 크리처를 제작해 연기를 펼쳤다는 것만으로도 감독의 덕심은 영화를 향한 존경으로 바뀐다.
그렇다고 이 영화가 시리즈의 장점만을 계승한다는 목적 아래 오마주만 바친 건 아니다. 레인과 앤디의 관계성은 그 자체로 새로움을 전한다. 이들의 관계는 창조주(인간)와 창조물(합성 인간)의 관계를 뛰어넘어 유사 남매처럼 보여주기도 한다. 물론, 더불어 로물루스에 올라타며 과거 이 우주기지에 있던 합성 인간의 디스크를 통해 업그레이드 한 이후 180도 돌변하는 앤디의 모습을 통해 극의 긴장감을 더하기도 하지만, 결국 이들은 손을 잡고 연대를 펼친다. 마치 1편에서는 리플리의 적이었다가 2편에서는 동지로 우정을 나누는 합성 인간 비숍(랜스 헨릭슨)처럼 말이다.
더불어 중력을 활용한 액션 시퀀스는 그 자체로 새로움을 준다. 인간이나 에이리언 모두 중력에 굴복하는 생명체라는 점에 착안해 이를 활용한 후반부 액션 시퀀스는 기존과 다른 액션의 묘미를 전하기 충분하다. 더불어 남루한 현실을 어떻게든 벗어나려는 몸부림처럼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레인과 친구들의 모습은 그 자체로 스릴을 맛보게 한다.
앞서 언급한 장점 못지않게 대체로 인물들의 전사가 길고, 기존 시리즈의 스토리라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인간과 에이리언의 사투가 과거 보다 신선함이 떨어지는 등 영화가 가진 단점도 명확하다. 오마주를 바치고, 향수를 자극한다고 해도 그건 일시적인 충족감을 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페데 알바라즈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궤도를 벗어난 시리즈를 정상 궤도로 다시 옮긴 작업을 했다고 본다. 오랫동안 우리가 잊고 있었던 <에이리언> 시리즈의 강점과 매력은 무엇인지 인장을 제대로 찍고 싶어 했다는 생각이 영화에 비춰줬다. 단순히 이건 덕심만으로 작동하는 건 아니라고 본다. 이 불멸의 시리즈를 어떻게든 이어 나가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이런 감독의 마음을 알아챈 이들이라면 다음 시리즈가 나올 동안 다들 동면에 취할 듯하다. 기대감에 부픈 미소를 머금고.
덧붙이는 말: 영화 제목이기도 한 ‘로물루스’는 쌍둥이 동생 레무스와 함께 로마를 건설한 것으로 알려진 전설적인 왕의 이름이다. 이들은 티베리스강에 버려졌으나 늑대의 젖을 먹고 자란 인물로, 늑대의 힘을 지닌 인간으로 여겨진다. 극 중 우주기지에는 로물루스와 레무스라는 이름이 명시되어 있고, 늑대 젖을 먹는 두 인물의 모습이 담긴 그림이 있을 정도. 웨이랜드 유타니 사가 왜 이런 이름의 우주기지를 만들고, 그 안에서 외계생명체를 통해 어떤 걸 만들려고 했는지를 알게 되면 자연스럽게 제목의 의미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사진제공: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평점: 3.5 / 5.0
한줄평: 침흘리개 친구야! 어디 갔다 이제야 왔어!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