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loeybnue2025-02-21 16:38:39
그의 눈은 온종일 그녀를 향해 있다
영화 <오만과 편견> 리뷰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대개 로맨스 작품의 클라이맥스는 마침내 연인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장면이라 할 수 있다. 고백 장면은 그간 작품이 쌓아온 두 사람 간의 로맨스 서사를 완성하는 하나의 장치이다. 반면 수많은 로맨스 작품의 원형으로 여겨지는 <오만과 편견>에서는 고백 장면이 이 작품의 백미라고 보기는 어렵다. <오만과 편견>에서 ‘사랑’은 한 사람의 사랑 고백 이후부터 시작된다. 정확히 말하자면 사랑의 ‘자각’은 그 고백을 거절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제인 오스틴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오만과 편견>을 조 라이트의 영화로 처음 접한 이들에게 엘리자베스를 향한 다아시의 고백은 당황스럽다. 소설의 방대한 분량을 2시간짜리 영화로 압축하는 과정에서 둘 사이의 서사를 충분히 설명해주지 못한 감독의 실수라 탓할 수도 있지만, 원작 소설에서도 다아시의 고백은 엘리자베스에게나 독자에게나 다소 갑작스럽게 느껴진다. 이는 작품이 철저히 엘리자베스의 시점에서 전개되기 때문이다. 곧 엘리자베스의 사랑은 다아시의 고백 이후부터 시작한다. 그렇다면 다아시의 사랑은 어느 시점부터 시작한걸까.
소설은 영화와 마찬가지로 엘리자베스를 위주로 전개하나 그와 동시에 소설의 특성을 살려 다아시의 내면까지 자세히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영화적 언어를 사용해야 하는 감독의 입장에서 본래 말수가 적은 다아시의 감정을 대사로 표현하기는 어렵다. 그렇기에 감독은 다아시의 시선과 손을 클로즈업하는 등 비언어적 표현을 사용한다. 엘리자베스가 다아시의 마음에 천천히 스며들었듯이 영화는 점차 선명해지는 다아시의 사랑을 자연스럽게 관객에게 설명하려 노력한다. <오만과 편견>을 처음 관람할 때는 엘리자베스의 감정선을 따라가게 된다면, 관객은 두 번째 관람에서야 엘리자베스에 대한 다아시의 감정선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고로 다아시의 입장에서 <오만과 편견>을 해석하여 엘리자베스를 향한 다아시의 감정 변화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영화의 첫 무도회 장면에서 다아시는 엘리자베스의 춤 신청을 사실상 거절한다. 이에 화가 났던 엘리자베스는 사랑의 묘약이 무어냐는 다아시의 질문에 춤이라 응수하며 마지막에 “Even if one’s partner is barely tolerable“(비록 파트너가 끔찍할지라도)이라는 말을 덧붙인다. 이 말은 앞서 다아시가 절친 빙리와 대화를 나누던 도중 엘리자베스를 ‘tolerable‘(봐줄 만한)이라 평가한 말을 몰래 들은 엘리자베스가 다아시를 비꼰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이라면 엘리자베스의 비꼬는 말을 듣고 화를 내거나 당황한 표정을 지었겠지만 다아시의 표정은 그 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 여전히 무뚝뚝하고 감정을 읽기 힘든 표정이다.
그 뒤로 엘리자베스는 아픈 언니 제인이 빙리의 집에서 간호받고 있다는 소식을 들어 빙리의 집으로 향하고 그곳에서 다아시를 다시 마주친다. 빙리의 여동생과 함께 있는 내내 무표정이었던 다아시는 갑자기 찾아온 엘리자베스를 보고 당황해하다 곧바로 정중하게 인사한다. 이러한 다아시의 태도는 먼 길을 걸어오느라 엉망이 된 엘리자베스를 싸늘하게 바라보는 빙리의 여동생과 대비된다. 더 나아가 다아시가 만족할 수 있는 여성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자 빙리의 여동생은 까다로운 조건들을 내놓는다. 이때 다아시는 책을 읽고 있던 엘리자베스를 보고선 독서를 통해 지성을 쌓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그가 엘리자베스를 신경 쓰고 있음을 드러낸다. 그러나 관객은 엘리자베스를 향한 다아시의 마음이 이성적 호감이라 확신하기 여전히 어렵다.
영화는 다아시의 무뚝뚝함이 엘리자베스에 대한 부정적 감정으로부터 기인한 것이 아니라 그의 내성적 성격 때문임을 설명하기 위해 영화 곳곳에 복선을 배치한다. 앞서 사랑의 묘약이 무어냐는 다아시의 질문에 자신과 춤을 추지 않은 다아시를 겨냥하여 춤이라 대답한 엘리자베스의 행동을 설명했다. 그 이후에 열린 무도회에서 다아시는 먼저 엘리자베스에게 다가와 정중히 함께 춤추기를 요청한다. 사랑의 묘약이 춤이라고 답한 엘리자베스의 말을 기억한 것이다. 또한 다아시는 애초에 엘리자베스가 싫어서 함께 춤추길 거절한 것이 아니었다. 이는 중반부 캐서린 대부인의 집에서 둘이 마주치는 장면으로 설명된다. 여기서 엘리자베스가 춤을 거절당했던 무도회에서의 부정적인 첫인상을 이야기하자, 다아시는 처음 만난 사람과 편히 대화하는 재주가 없어 그랬다며 처음으로 자신의 태도를 해명한다. 그러나 엘리자베스는 여전히 다아시가 오만하다고 평가하며 그에 대한 편견을 지우지 않는다. 하지만 영화 초반부와 달리 슬픔이 서린 다아시의 눈빛을 통해 관객은 그의 감정 변화를 충분히 감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매 장면마다 엘리자베스를 향해 고정된 그의 시선은 관객이 천천히 다아시의 진심에 다가서게 한다.
다음으로 영화는 다아시의 손을 총 두 번 클로즈업 한다. 두 번의 클로즈업은 다아시의 사랑 고백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지며 이는 관객이 엘리자베스를 향한 다아시의 마음을 확신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언니 제인의 건강이 좋아졌을 무렵 엘리자베스의 가족은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마차를 탄다. 이때 다아시는 자연스럽게 엘리자베스의 손을 잡아 부축해주며 영화는 곧바로 다아시의 손을 클로즈업한다. 긴장한 듯 손을 폈다 다시 쥐는 다아시의 손과 당황한 엘리자베스의 표정을 교차하여 보여주는 연출은 둘 사이의 미묘한 감정선을 나타낸다.
이러한 복선을 통해 관객들은 엘리자베스를 향한 다아시의 마음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그럼에도 다아시의 고백은 소설에서도, 영화에서도 작품의 하이라이트라기보다 그의 돌발 행동에 가깝게 느껴진다. 처음부터 다아시를 오만하고 잘난 체하는 남성으로 평가해온 엘리자베스는 그의 고백과 해명에 혼란스럽다. 그런 엘리자베스는 다아시를 의도적으로 피하나 결국 그와 마주치게 된다. 영화는 횡설수설 끝에 황급히 다시 돌아가는 엘리자베스를 비춘 뒤 마지막으로 다아시의 손을 클로즈업한다. 예전과 달리 다아시는 엘리자베스의 손을 잡아주지도 못하고 데려다주겠다는 요청까지 거절당했다. 더욱이나 엘리자베스의 내적 갈등을 알 리 없는 다아시의 손은 더욱 쓸쓸해보인다.
영화는 다아시의 손뿐만 아니라 ‘hand(손)’라는 단어를 활용해 둘의 관계를 암시한다. 다아시가 청혼할 때의 대사는 ‘부디 나와 결혼해줘요’라고 번역된다. 이 대사는 이후 엘리자베스가 다아시의 마음을 받아줄 때의 대사와 연결되기 때문에 영어 원문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이때 다아시는 “Please do me the honor of accepting my hand.”라고 말한다. 직역하자면 부디 제 손을 받아주는 영광을 허락해달라는 정중한 청혼 표현이다. 다아시가 영화의 결말부에 다시 한번 사랑한다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할 때 엘리자베스는 자신도 그러하다는 식으로 대답하지 않고 “Your hands are cold.”(손이 차네요)이라고 대답하며 그의 손을 맞잡는다. 이는 처음 그가 제 손을 받아달라며 청혼했던 대사에 대한 늦은 응답이자 그의 사랑을 이제야 온전히 받아들였음을 드러내는 대사이다.
결국 이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장면은 사랑하는 사람에게 끝내 마음을 고백하는 장면이 아니다. 고백 이후 다아시의 마음을 알아챔과 동시에 자신도 모르게 그에게 스며들었던 엘리자베스의 사랑을 자각하는 과정, 곧 서로에 대한 편견을 벗고 오만했던 자신을 반성하게 되는 고백 이후의 여정이 이 작품의 진정한 하이라이트다. 소설은 이를 인물들의 내면 묘사를 통해 나타냈다면 영화는 비언어적 표현을 적재적소에 사용하여 이를 드러냈다. <오만과 편견>은 원작의 명성을 바탕으로 기존 팬들에게는 원작의 아름다움을 시각적으로 재현해 선물하고, 처음 작품을 접하는 이들에게는 원작 소설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