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mungha2025-03-15 09:58:00

정당한 살인이 존재하는가?

OTT 드라마 <살인자0난감> 리뷰

 

정당한 살인이라는 것이 존재할 수 있을까아니 애초에 정당함과 살인이라는 단어가 공존할 수 있는 것인가흉악범에 대한 공적 제재가 약한 현대 사회시민들은 사적 제재를, 심지어는 흉악범에 대해 아무 관련이 없는 사람의 사적 제재를 용인하는 분위기로 나아가고 있다. 나라가 벌주지 못한 사람을 개인이 나서서 혼내주는 것이 얼마나 멋진가.

 

이러한 우리 사회의 분위기를 건들고 있는 작품이 있다[살인자0난감]은 지극히 평범하고 소심한 대학생 이탕이 우연히 살인을 저지르는 것에서 시작 된다.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마치고 귀가 중, 좋은 마음으로 말을 건 한 남성과 시비가 붙은 이탕은 일방적으로 맞기만 하다가 편의점에서 챙겨온 망치로 엉겁결에 살인을 저지른다. 우발적으로 저지른 살인은 목격자를 제거하기 위한 또 다른 살인으로 이어지고 두 살인을 저지를 이탕은 자신이 우연히 죽인 사람들이 죽어 마땅한 범죄자들임을 알게 된다그렇게 이탕의 정당한 살인이 시작된다.

 

이 작품은 악인을 벌주기 위해 살인을 저지르는 자들과 이들을 잡기 위한 형사의 대립구조로 진행된다. 이탕과 이탕의 살인을 돕는 노빈, 악인에 대한  살인을 저지르는 또 한 명의 인물 송촌은 자신들이 특별하다고 믿는다. 악인들을 벌하고 사회에서 고립시키는 살인은 정당하다고 믿는다.  그러나, 이들을 쫓는 장난감 형사는 죽어 마땅한 사람을 왜 네가 정하냐고 반문하며 분노한다. 독특한 일이다. 형사의 역할은 범죄자들을 체포하고 위험으로부터 시민들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악인들을 죽이는 무리는 어찌 보면 형사에 의해 지지가 되어야 하는 인물들이 아닌가.  여기서, 이 작품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보인다. 이탕은 사회의 악을 벌주는 정의로운 영웅이 아니라 심판되어야 하는 죄인이라는 것정의로운 살인은  존재할 수 없다는 것.


[살인자0난감]은 죽임을 당하는 인물들을 잔혹하고 우리가 분노하는 범죄를 저지른 캐릭터로 그려낸다. 죽어 마땅한 인물로 그림으로써 주인공의 살인을 응원하고 한 순간에 작품을 보는 시청자들이 살인을 지지하도록 만들어낸다. 그렇기에 죽어 마땅한 사람을 왜 네가 정하냐는 장난감 형사의 외침에 자신도 모르게 살인을 지지하고 있던 시청자들이 강한 의문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 작품은 감독의 생각을 일방적으로 주입하는 게 아닌시청자들이 직접 자신의 생각을 돌아보게 만드는 이러한 전개를 사용함으로써 가장 완벽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최근 들어, 악인들을 벌하는 인물이 주인공으로 나서는 작품들이 많아지고 있다. 악인들을 벌할 때 통쾌함을 느끼는 시청자들이 그러한 작품들을 많이 원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우리 사회는 아주 자연스럽게 정당한 살인을 인정하는, 죽어 마땅한 사람이 존재한다고 결론을 내린 분위기로 나아가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우리가 모두 마음속에 품고 있지만 아무도 확답할 수 없는 정당한 살인이 존재할 수 있는가?’에 대해 [살인자0난감]은 용감하게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다.

작성자 . mungha

출처 .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