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왹져2025-03-21 16:31:44

일탈과 이탈, 도피와 탈피 사이를 나지막하게 가로지르는 선율.

구로사와 기요시의 <도쿄 소나타>

 하스미 시게히코의 저서 [영화장화]에서는 ‘영화는 활극이어야만 한다. 활극이란 숏의 반복, 거듭되는 숏이 새로운 숏으로 바뀔 때마다 커다란 충격을 가지고 오는 것이다. 그러나 그 충격은 완만하다. 부드럽지 않게 하겠다고 선언하면서도 마지막은 액션이 연결돼서 아주 부드럽게 흘러간다.’라고 <도쿄 소나타>를 평한다. 정적인 숏 속에서 <도쿄 소나타>의 인물들은 끊임없이 행동한다. 어떠한 결심을 하고 몸을 움직인다. 그 속에 큰 목적성은 없다. 그래야만 할 것 같다는 지배적인 무의식이 행동하게끔 만드는 것이다. 사사키 가족은 일탈과 이탈, 도피와 탈피를 경험한다. 네 명의 인물들은 각자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가.

 

 메구미는 일탈하는 인물이다. 오프닝 시퀀스, 열린 문 사이로 빗줄기가 들이친다. 서둘러 문을 닫고 바닥에 고인 빗물을 닦던 메구미는 다시금 문을 열어 허공을 응시한다. <도쿄 소나타>에서 집이란 정돈되어 있는 안락한 곳, 사사키 가정을 의미한다. 평화로워 보이는 이 가정을 위협하는 폭풍우는 앞으로의 갈등을 암시하는 듯하다. 여기서 문을 다시 여는 메구미의 행동은 굉장히 상징적이다. 관객은 가정의 갈등이 외부에서 시작되었다 하더라도, 균열을 만들고 고통을 내부로 들이는 것은 메구미임을 알 수 있다. 류헤이의 실적에서부터 비롯된 폭풍우는 애써 모른 척해주는 메구미가 문을 닫기 때문에 집에 들어올 수 없다. 하지만 이미 고인 빗물처럼 균열을 감지한 메구미는 다시 문을 열고, 결국 폭풍우는 사사키 가정을 침범하게 된다.

 작중 메구미는 수많은 프레임 속에 갇혀 있다. <도쿄 소나타>의 주배경인 집은 세트를 지어 촬영했다. 그렇기에 집의 구조와 가구의 배치 같은 공간적 특성은 모두 의도된 연출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속에서 구로사와 기요시는 사사키 가족을 결코 허투루 잡지 않는다. 힘을 준 숏이라는 게 느껴지는 대목이다. 그런 기요시가 메구미를 보여줄 때는 필수적으로 장애물을 배치한다. 책장, 찬장, 창틀 사이로 보이는 메구미는 언뜻 철창 속에 갇혀 있는 것 같다. 반복되는 이중 프레임은 메구미에게 있어 평온한 가정이 얼마나 감옥처럼 느껴지는지를 가시화한다.

 메구미가 일탈하고자 하는 시도는 영화 전반적으로 등장한다. 운전면허를 취득하고 자동차를 보러 가는 것이 그러한 예시이다. 류헤이의 이탈을 알아챈 것도 바로 일탈의 과정 속에서다. 메구미는 애써 전업주부의 삶도 나쁘지 않다고 말하는 좋은 엄마이자 아내이지만, 반복되는 일상과 가정의 불화에 심한 염증을 느끼는 인물이기도 하다. 류헤이의 권위가 하락하며 자아를 되찾은 메구미는 납치범에게 잡힌 인질일지라도 가정을 떠난다는 선택을 내린다. 결정권이라고는 메뉴를 고르는 것뿐이던 메구미가 처음 적극적으로 행동한 순간이다. 정해진 삶에서 벗어나 도착한 곳은 어떠한 프레임도 없는 망망대해다. 쓸려가 버릴 듯 파도를 느끼는 메구미는 도로로와 같은 선택을 하지 않는다. 강인한 그녀를 맞이하는 것은 강렬한 햇빛. 메구미는 다시 집으로 돌아온다. 엉망이 된 집은 예전처럼 정돈되어 있진 않지만 따스한 햇볕이 들어온다. 다시 밥을 짓는 메구미는 이전과 같지 않다. 균열을 느끼고 받아들인 순간부터 메구미는 일탈을 통해 변화했기 때문이다.

 

 류헤이는 이탈하는 인물이다. 가족을 지키는 권위적인 가장, 류헤이를 한 줄로 설명하자면 이렇게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앵글은 류헤이를 권위적으로 그려내지 않는다. 기요시가 메구미를 이중 프레임 속에 가둔다면, 류헤이는 거대한 헤드룸으로 짓눌러버린다. 필요 이상으로 긴 헤드룸은 류헤이를 불안정하고 왜소하게 만든다. 영화 초반부 오피스에 뜬금없이 자리한 나무 모형은 류헤이와 닮았다. 가정을 지키는 가장 같기도 하고, 모두가 각자의 위치에서 일을 하는 공간 속에 섞여 들지 못한 이물질 같기도 하다. 그런 나무에는 거대한 옹이가 자리하고 있다. 속이 텅 비어 버린 구멍을 품은 류헤이는 끝내 무리에서 이탈해 버리고 만다. 하지만, 류헤이는 이탈할지언정 도망치지는 않는다. 여자와 아이, 젊은이들만 태우고 가버린 구명보트, 즉 출근하는 행렬에 섞여 들지는 못하지만, 사회적으로 혹은 가정적으로 도망쳐버린 망자들의 행렬에도 동참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직으로 인한 이탈은 곧 권위의 상실로 이어진다. 메구미가 문을 열어 균열을 받아들일 때, 류헤이는 켄지의 가방을 잠가주며 균열을 외면한다. 가장으로서의 권위를 잃지 않기 위함이다. 기요시는 류헤이의 권위를 식사 장면에서 주로 다룬다.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을 통해 사사키 가족 내 류헤이가 가지고 있는 위치를 시각적으로 그려낸다. 모두가 밥 먹을 준비를 마쳤음에도 류헤이가 맥주를 마시는 걸 기다리는 모습을 통해서는 서사적으로 표현한다. 그런 류헤이의 권위 싱실은 메구미가 류헤이의 실직을 알고 있다고 고백하는 장면에서 나타난다. 항상 높은 곳 혹은 동일선상에 위치해 있던 류헤이가 메구미보다 낮은 층고에 위치함으로써 전복이 일어난다. 이후로 류헤이는 백화점에서 메구미를 마주했을 때 아니라고 소리친다. 자신이 청소부로 일하고 있다는 사실을, 청소하다 발견한 목돈을 탐냈다는 사실을 외면하면서. 켄지를 2층에서 1층으로 밀어버린 시점에서부터는 그 어떠한 가장 노릇도 하지 못한다. 그런 류헤이는 차에 치인 후 일종의 부활을 겪는다. 비로소 류헤이는 권위를 내려놓는다. 엉망이 된 몰골로 청소부 복장을 한 채 집으로 돌아온 류헤이를 메구미와 켄지는 더 이상 기다리지 않는다. 아이러니하게도 그제야 식사 시간은 온기를 되찾는다.

 

 타카시는 도피하는 인물이다. 타카시는 작중 내에서 가장 분량이 없는 인물이다. 그가 도피하는 인물이기에 그렇다. 타카시는 본인 스스로 통찰력을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불황의 일본 사회 속에서 취업도 하지 못하고, 행복도 찾지 못한 채 방황할 뿐이다. 타카시는 일본의 평화를 지켜주는 건 미국이라고 말하며, 일본에 회의감을 가지고 미군에 지원한다. 하지만 국경을 그어 놓은 채, 메구미와 류헤이가 가져다주는 안락함에 기대 사는 건 오히려 타카시다. 국경을 벗어난 타카시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버스 창틀이라는 새로운 프레임이다. 그러나 기요시는 도망친 곳에 결코 낙원은 없다고 말하진 않는다. 도망친 곳에 낙원은 없을지도 그 과정에서 타카시는 새로운 시야를 얻는다. 도피보다 삶을 마주해 나가는 것이 필요한 일임을 깨닫는다. 메구미가 이혼하지 않고 다시 밥을 짓는 것처럼, 류헤이가 집으로 돌아온 것처럼 말이다.

 

 켄지는 탈피하는 인물이다. <도쿄 소나타>는 선형적 내러티브 구조로 진행되다가, 영화의 중반 지점부터는 역순행적 회상 내러티브로 바뀐다. 플롯이 변화한 그 시점, 백화점에서 메구미와 류헤이가 마주한 뒤부터 사사키 가족은 각자의 사건을 겪기 시작한다. 만남 이후 메구미는 화면상 오른편으로 운전하고, 류헤이는 화면상 왼편으로 달린다. 켄지는 타구치를 만나 전에는 메구미처럼 오른쪽으로 걷는다. 이후, 켄지는 가출한 타구치가 아빠에게 잡히지 않게 도와주다 결국 타구치를 지키지 못한다. 류헤이가 가정을 지키지 못한 것처럼 켄지도 관계의 상실을 겪는다. 그때부터 켄지는 류헤이처럼 왼편으로 달리기 시작한다. 계단 갈등 이후 켄지가 류헤이를 이해하게 된 순간이다. 그럼에도 가정으로 가장 먼저 돌아온 건 켄지이고, 류헤이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것도 켄지의 연주이다. 켄지는 방어적이던 자신의 모습에서 탈피해 설익은 위로를 전하기보다, 진심으로 공감하고 곁에 머무르기를 선택한다.

 

 메구미와 켄지, 류헤이와 타카시는 각각 궤를 같이하는 인물이라 볼 수 있다. 사사키 가족은 각자의 여정 끝에 다시금 식탁 앞으로 모인다. 그렇게 반복되는 식사 장면은 관객에게 충격을 선사한다. 그러나 정작 당사자인 사사키 가족은 자신들이 어떤 일을 겪고 왔는지 구태여 입 밖으로 내지 않는다. 그저 묵묵하게 다시 밥을 먹을 뿐이다. 하스미는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만들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고 있던 것이 흔들리고 무너지도록 만드는 것이 영화이다. 알려고 하지 않았는데 자신도 모르게 알게 되는 순간이 살아있는 현재를 뒤흔드는 아주 현실적인 체험인 것이다.’라고 말한다. <도쿄 소나타>를 통해 관객은 무엇을 느꼈을까. <도쿄 소나타>는 사회가 머금고 있는 수많은 아픔을 일상적으로 살아내고 있을 사람들에게 충격이 되어주었을까, 혹은 나지막한 선율로 위로가 되어주었을까.

작성자 . 왹져

출처 .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