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코스텔로2025-04-01 15:57:36

<존 오브 인터레스트>, '존재하고 있는 것'과 '보는 것' 사이의 아슬아슬한 싸움

<존 오브 인터레스트> 리뷰

<존 오브 인터레스트>, ‘존재하고 있는 것보는 것사이의 아슬아슬한 싸움

 

 

 

그것이 선명하든 희미하든 프레임에 담기는 순간 우리는 그것을 볼 수밖에 없다. 비껴가려 해도 소용없다. 2016년 개봉한 <사울의 아들>은 댕강 잘린 4:3의 화면 비율과 주인공만을 따라가는 1인칭 핸드헬드 촬영, 흐릿한 초점을 극단까지 밀고 나가 실제 일어난 역사(홀로코스트)의 참상을 오락적으로 전시하지 않겠다고 선언한다. 그러나 보여주지 않기 위해서는 대상이 언덕이나 구덩이, 특정 물체나 인물 등의 지형지물, 혹은 안개나 연기 따위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거나, 눈앞의 물체를 식별할 수 없을 만큼 조도가 낮아야 한다. 대상을 완전히 가리지 못한다면 그것이 제아무리 흐릿한 초점 너머에 있더라도, 분산된 시점 속에 스치듯 지나가더라도, 그 일부가 댕강 잘려나가 온전치 않은 형상으로만 존재하게 되더라도 관객은 결국 그것을 보게 된다.

 

<존 오브 인터레스트>는 오로지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외벽과 그 주위를 위압적으로 휘감고 있는 담장만을 포착함으로써 <사울의 아들>이 해내지 못한 완전한 비가시화를 성공적으로 이뤄낸다. 영화는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내부를 들여다보는 대신 나치 장교 부부의 집에서 일어나는 안온하고도 유복한 일상의 풍경을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외벽과 담장의 이미지와 나란히 묘사함으로써 과장되지도 축소되지도 않은 정량의 비극을 그야말로 관객 스스로 껴안게끔 만든다. 여기에는 흐릿한 초점 너머로 보이는 학살의 광기도, 분산된 시점 속에 스치듯 지나가는 노역의 비루함도, 댕강 잘린 형상으로 비치는 나체의 시쳇더미도 없다. 이미지는 뒤로 밀려나고 비극은 온전히 관객의 상상에 맡겨진다. 그 상상 속에서 비극은 스스로 깊어지고 확장됨으로써 국가와 언어를 초월하여 아우슈비츠 피해자들과 깊은 유대감을 형성하게 만들고 더 나아가 선과 악에 대한 제 나름의 깊이 있는 사유를 길어 올리게 만든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의 거장 구로사와 기요시의 발언을 소개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그는 그의 강연 내용을 성실히 묶어놓은 저서 구로사와 기요시, 21세기의 영화를 말한다에서 이렇게 말한 바 있다.

 

저는 영화 제작이 존재하고 있는 것보는 것사이의 아슬아슬한 싸움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종종 합니다. 영화 촬영 중 제게는 틀림없이 존재하고 있던 세계도 렌즈 앞에 장애물이 놓인 순간 미래의 관객에게는 존재하지 않게 됩니다. 보이지 않게 된다는 얘기지요. 하지만 이런 얘기를 하기 시작하면, 관객에게는 이 세계의 거의 대부분이 보이지 않는단 말이 되겠지요. 닫혀 있는 문 저편은 관객에게 절대로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도 관객은 그 문 저편에도 세계가 펼쳐져 있음을 분명히 알고 있지요. 그러니까 잘만 찍는다면, ‘저 문이 언젠가 열리지 않을까’, ‘저 문 너머는 도대체 어떻게 되어 있을까’, ‘혹 상상도 못하던 세계가 펼쳐져 있는 게 아닐까’, ‘만약 저 문 저편에서 갑자기 미지의 세계가 이쪽으로 밀려온다면 주인공은 얼어붙을 것 같은 공포를 느끼게 되지 않을까하는 식으로 관객이 이런저런 생각을 할 수도 있겠지요. 이게 제가 이상으로 삼는 영화가 지니는 최상의 기능입니다.”

 

 

구로사와 기요시의 표현대로 말하자면 <존 오브 인터레스트>존재하고 있는 것보는 것사이의 아슬아슬한 싸움을 팽팽하게 유지시켜 존재하고 있는 것에 가닿을 수 없는 무력한 운명의 관객에게 문 너머의 공포를 절감하게 만드는 영화다. 이것이야말로 한 편의 영화가 구현할 수 있는 최상의 기능이 아닐까?

작성자 . 코스텔로

출처 . https://brunch.co.kr/@shadows/89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