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misa2025-04-01 17:45:49

사랑을 볼모 삼지 말지어다

영화 <컴패니언> 리뷰

*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동반자, 반려 등의 뜻으로 사용되는 단어 ‘Companion’ 은 그 어원을 살핀다면 같이 밥을 먹는 사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한 식탁에서 빵을 나눠 먹으며 인생을 함께 살아나가는 동반자 말이다. 요즘 사회는 그런 동반자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고 있을까.

 

영화는 오프닝 타이틀이 뜨기도 전에 앞으로 펼쳐질 전개를 예고한다. 주인공 ‘아이리스(소피 대처)’는 머릿속 안개가 사라진 것만 같은 개운함을 느끼며 자신의 단 하나뿐인 사랑 '조쉬(잭 퀘이드)'를 만난 것과 그리고 그런 조쉬를 자신의 손으로 죽이게 된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본격적으로 영화의 무늘 연다. 그리고 그런 아이리스와 조쉬가 자동주행 차에 올라 그의 친구들과 외딴 별장에서 조우한 뒤 아이리스가 첫 살인을 저지르기까지 영화는 채 30분을 보내지 않는다. 그렇다 아이리스는 사실 반려로봇 즉, 보급형 섹스봇이며 영화 속 세상은 자연스럽게 자동주행을 이용할 정도로 기술이 보편화 되어있는 세계관이다. 이러한 세계관 아래 영화는 로봇이라는 소재로 아주 영리하게 현재 논의되고 있는 의제들을 불러온다. 하나는 AI의 발전과 더불어 인간형 로봇이 추후 가져오게 될 미래이고 또 다른 하나는 데이트 폭력이다. 자칫 엮이지 않을 것 같은 두 개의 소재는 아이리스라는 캐릭터를 통해 융화된다.

사실 첫 번째의 경우 해당 영화에서 역시 오마주 한 바 있는 <터미네이터> 때 부터 논의되어왔기에 그렇게 신선할 구석이 있지는 않다. 우리와 닮았으나 결국은 다른 개체에 대한 공포는 늘 있어왔으며 AI의 발전과 함께 다시금 수면 위로 올라왔을 뿐 영화 소재로써는 단골 소재나 다름이 없다. 하지만 영화는 으레 공포 장르에서 그러했듯이 공포의 대상이였어야만 했던 아이리스를 다르게 묘사하는데 그렇게 차이점이 빚어지게 된다. 인간형 로봇은 결코 인간과 동일한 취급을 받지 못한다. 인간의 편의를 위해 개발된 수단으로 결정적인 순간에 있어서는 물체화 되거나 만일 감정을 갖게 된 순간 엘리와 패트릭처럼 이는 어떠한 사회적 결심이 수반 되어야 한다. 하지만 역시 자신의 입맛대로 작동 개시와 중지를 명할 수 있는 것은 결코 평등한 관계라 할 수 없다. 반려로봇이 소유자에게 사랑 외에 다른 감정을 가질 수 없는 것 역시 일방적이며 폭력적이다. 그렇게 <컴패니언> 속 아이리스와 패트릭은 계속 하나의 물건처럼 대해진다. 소유주가 바뀌면 맹목적인 사랑의 대상 역시 바뀌며 반항 할 경우 폐기처분의 대상이 된다. 또한 어쩐지 아이리스에게 소극적이던 조쉬의 행동은 아이리스가 로봇임이 밝혀짐과 동시에 정당화 되는데 그렇게 정당성이 확보된 순간 인간은 결코 프로그래밍 된 AI를 수단 그 이상으로는 생각 하지 않는다는 현실이 여실히 드러나게 된다. '넌 그러라고 있는 거잖아', '허락 받았어' 와 같은 명백한 소유주와 같은 인물의 허가만 있으면 멋대로 다룰 수 있다는 세르게이의 대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아이리스는 날씨알림이, 모닝콜 등에 지나지 않는 존재로 묘사된다. 하지만 영화는 비록 의도된 상황이나 편리에 의해 설계된 아이리스에게 저항이라는 일종의 경험의 계기를 선사함으로 메세지를 전달한다.

 

그렇다면 왜 이 이야기는 살인 로봇의 대학살극처럼 전개되지 않을까. 공포 장르 특성상 그동안 보아온 것들에 비해 아이리스의 행보는 다소 소극적이다. 그녀의 끝내주는 살인기로 진행되지 않는 이유는 그녀를 단순 살인머신 즉 악인으로 남게 하지 않으려는 설계이기도 하다. 이제 막 사랑을 깨달은 엘리를 죽인 것 역시 쾌락 살인보단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정당방위의 살인처럼 묘사된다. 지능을 100으로 늘린 상태의 아이리스가 폭주하지 않게 ‘아이비리그 재학생’ 정도로 제한하는 묘사가 들어간 것도 그에 대한 연장선이다. 이 영화는 아이리스를 명백하게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다. 적어도 조쉬보다도, 이 영화에 등장하는 그 누구보다도 그녀를 사람이라 설득시키고 있는 것이다.

 

즉 이 ‘기계 여자친구’ 일명 섹스봇은 명확한 메타포를 갖고 있다. 애인을 애인으로 바라보지 못하는 이들. 사랑을 자신의 이익 달성을 위해 수단으로 사용하던 이들은 기계 앞에서 더욱 가열차게 자신의 욕망을 드러낸다. ‘싫어’ 라는 말을 듣지 않고 자신의 의견만을 피력하거나 수치심을 주는데 거리낌이 없다. 그야 조쉬에게 아이리스는 감정을 느끼는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아이리스에게 계속 감정을 느낀다는 건 말이 안된다며 비웃는 조쉬에 대사에도 불구하고 관객은 어쩐지 그녀의 혼란스러운 표정에 동조하게 된다. 영화가 그렇게 프로그래밍 된 모습보다 배신 당한 연인의 모습을 더욱 조명하며 조쉬에 의해 작동 중지될 아이리스의 위기를 더욱 체감하게 하기 때문이다. 아이리스가 기계임에도 불구하고 조쉬에게 속절없이 당하며 도망다니는 모습이 더욱 부각되는 이유 역시 이와 상통한다. 아이리스의 위기를 체감할 수록 관객에게 아이리스는 더 이상 단순 기계가 아니다. 아이리스는 연인을 수단으로 다루는 이들에게 가스라이팅 당하는 여성인 것이다. 비록 아이리스의 대사를 통해 그녀가 조쉬를 죽일 미래가 예고되어있음이 보여도 아이리스가 당하는 수치와 고통은 관객에게 고스란히 전달된다. 그런 그녀의 반항을 시종일관 가로 막는 것은 다름 아닌 삽입된 기억, 사랑인 것 역시 이러한 부분의 연장선이다. 어쩌면 아이리스를 비롯한 반려로봇들에게 심어진 이 '첫 만남'의 기억은 사랑의 당위성이자 폭주 제어 장치로 설계될 것일지 모른다. 연인의 폭력 앞에서 피해자가 무력해지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그러한 사랑이다. 첫 만남과 같은 다정한 추억, 감정을 볼모 삼아 가장 마지막의 순간까지 조쉬는 결코 아이리스가 자신을 죽이지 못할 것이라 거들먹 댄다. 하지만 비로소 그에서 해방되어 자유를 되찾고자 하는 아이리스의 의지는 강하다. 이는 다름 아닌 영화가 가장 보여주고 싶은 이미지인 것이다. 폭력으로 해방된 이는 특정 프레임이 강요된 다른 반려로봇에게 청사진이 되어준다.

 

이 기묘한 해방에 대한 영화는 현재도 끊임없이 업데이트 되고 있는 뉴스들과 아주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데이트 폭력, AI의 남용과 지나친 수단화 같은 의제들은 앞으로 수그러들기는 커녕 더욱 가속화 될 문제들이기 때문이다. 공포 내지는 블랙 코메디의 장르성을 영리하게 살린 해당 작품이 이러한 의제들을 소재 삼아 말하고자 하는 바는 분명하다. 사랑을 볼모 삼지 말지어다!  

작성자 . misa

출처 .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