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파2025-04-03 19:29:09
방 안의 아이는 어떻게 괴물이 되었나
<소년의 시간> 리뷰
*스포 포함
평범한 가정집 안으로 경찰들이 들이닥친다. 소년에게 총이 겨눠지고 소년의 가족 모두가 경찰서로 향한다. 곧이어 원테이크로 진행되는 장면들은 보는 청자에게조차 당혹감을 준다. 그리고 아주 평범하고 어린 소년의 죄목이 나오면서 모두가 경악을 감추지 못하게 된다. 고작 13살의 어린아이가 저지른 살인, 폭력 그리고 그 내막이 4화에 거쳐 한 시선을 따라 천천히 전개된다.
# 제이미와 인셀
제이미(극 중 가해자)는 극 중 "인셀"이라는 단어로 대표된다. 한국에서는 조금 생소할 수 있는데, Incel, Involuntary celibate의 줄임말로서 비자발적 순결주의자, 즉 인기 없는 사람쯤으로 해석된다. 대부분은 여성의 마음을 갖지 못하는 독신의 늙은 남성을 의미한다. 한창 미국과 유럽 쪽에서도 이 비자발적 독신 남성의 범죄가 보도되었던 적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인셀이라는 용어를 잘 쓰지 않지만 그럼에도 "여자가 나를 사랑해 주지 않아서", "나는 슬픈데 저 여자는 행복해 보여서" 혹은 "내 고백을 감히 받아주지 않아서" 등의 이유로 여성 혐오 범죄들이 여러 매체에서 끊임없이 보도된다. 특이하게 시리즈에서의 제이미는 13살로 어른의 시선에서는 고작이지만, 제이미의 세계에서 제이미는 이미 도태자 혹은 실패자이다.
그런 인식에 동조하듯이, 제이미는 자신이 못생겨서 여자에게 인기가 없는 것에 심한 열등감을 느끼고 '20:80 법칙' 즉 80프로의 여성이 20프로의 남성에게 끌린다는 그 이론을 맹신한다. 진실을 보라는 "빨간약" 이모지도 그를 화나게 만든다. 특히 제이미는 3화에서 심리상담사를 상대로 "내가 무서워요? 고작 난 13살인데?" 하며, 자신이 성인 여성을 겁먹게 했다는 사실에 우쭐거리는 표정을 짓는다. 제이미는 자신이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사랑받지 못한다 생각하며, 그 비틀린 남성성을 폭력으로 내비친다. 그러면서도 여성이 자신을 사랑해 주기를 바라고, 아버지 즉 강한 남성에게 인정받고 싶어 한다. 고작 어린애인데도 징그러울 정도의 연기였다.
# 어른의 시선
극 중에서도, 실제로도 어른에게 인셀이란 용어와 그들의 심리는 그들을 비추는 프레임처럼 낯설다. 현 사회 오물의 근원이라고 불리는 커뮤니티 그리고 sns에서 발발한 용어들. 극 중 나온 "20:80 법칙"이나 이모티콘을 이용한 대화 그 사이 미묘한 혐오와 비틀린 남성성 또한 아날로그 세대인 어른들은 알기 어렵게 교묘하게 아이들 사이에서 퍼져있다. 이미 학교를 졸업한 지 오래인 형사들은 한 소년이 한 소녀를 살해한 사건을 흔한 치정 싸움, 혹은 학교 폭력 정도로 생각한다. 하지만 이것은 개인 대 개인의 감정싸움이 아니다. 어른들은 모르는 그들의 세계에만 존재하는 서열이다. 그래서 케이티(극 중 피해자)의 나체 사진이 아이들 사이에서 뿌려질 때, 제이미는 '케이티의 평판이 엉망이 되었으니, 이제는 나 같은 못생긴 80프로의 남자에게도 자격이 있겠지. 걔가 감히 날 거절하겠어?'는 생각으로 케이티에게 데이트를 신청한다. 그리고 케이티가 거절하자 그의 마음속에는 이미 더럽혀진 걔가 날 감히? 하는 울분이 차오른다.
형사에게 이 실마리를 전해준 것은 형사의 아들인 애덤으로, 애덤은 이것을 알지만 동조하지 않는 아이들 중 하나다. 아들이 아버지에게 이 사건의 진실(20:80 법칙, 빨간약 등)을 알려줄 때, 형사는 "그래서 괴롭히는 거야? 근데 너무 약하지 않아?" 하며 묻는다. 아마 이 OTT를 보는 사람들도 대부분 같은 감상일 것이다. 고작 그 이유로 사람을 죽일 수 있어? 고작?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어른들이 보기에는 그 고작인 것이 한 소년을 어떻게까지 몰고 갔는지 말한다. 그럼에도 어른들은, 그리고 우리는 그 일이 왜 그리고 어떻게 그렇게 진행되었는지 끝끝내 이해할 수가 없다. 그 비틀린 남성성과 열등감이 암세포처럼 그리도 조용히, 하지만 요란하게 자라날 수 있었는지.
# 방 안 아이들과 방 밖의 부모
제이미의 아버지인 에디는 4화에서 말한다. "우리 아빠가 날 이렇게 만들었다면, 난 어떻게 (제이미를) 그렇게 만든 거지." 제이미의 어머니도, 아버지도 제이미가 어떻게 그렇게 된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제이미는 겉돌고 어울리지 못했지만, 그래도 나름 다정했고 똑똑한 아들이었기 때문에. 부모는 회상한다. 내가 문제인 것일까. 우리는 좋은 부모였는데, 제이미가 어울리지 못해 축구장도 보냈고, 복싱장도 보냈는데. 어떻게 그렇게 된 걸까. 제이미의 어머니와 아버지는 괴로워하면서도 끝끝내 "하지만 우리가 그 애를 만들었어." 하고 인정한다. 무엇을 인정하는지도 희미하게.
한국에서 이런 사건이 없다고 할 수 없다. 기억나는 것만 해도 자신의 부모를 죽인 청소년이나 조부모가 잔소리를 했다고 죽인 백수 등 한국 사회를 충격으로 빠뜨린 사건이 여럿 기억난다. N번방의 조주빈 같은 경우도, 바깥에서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키보드로는 뭐든지 할 수 있는 이른바 "인셀"이었다. 이 인셀은 부모의 교육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우리가 아는 활발한 사교활동으로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 인셀은 방 안에서 부모를 등지고 조금씩 자란다.
제이미의 부모도, 그리고 우리 세대의 부모들도 디지털 시대에 아이들이 그 방 안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기 어렵다. 그저 밖에서 공을 차고 돌아다니거나 불량배 행세를 하는 것이 아니니 안전하려니 여긴다. 그래도 방 안에서는 겉도는 아이들이 화색을 찾고 그들의 시간을 즐기기 때문이다.
그 시간이 아이들을 괴물로 만드는 것은 미처 모른 채.
# 소년들의 시간
이 드라마의 원제는 "Adolescence"로 번역하면 청소년기다. 이 드라마가 처음 나올 때 제목 번안을 참 잘했다는 호평이 많았다. 나도 드라마를 다 보고 나서는 한국판 제목이 더 잘 어울린다는 생각을 했다.
이 드라마는 이 소년을 어떻게 다시 되돌려놓을 수 있을지, 혹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말해주진 않는다. 대신 우리가 간과하고 있던 방 안 아이들의 시간을 조명하며 우리에게 진짜 문제를 보게 한다. 너무 빠르게 변해버린 시대와 용어들 속에서 방 안의 아이들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지는 여전히 제시되지 않지만 그래도 마음속에 자리한 위기감이 계속해서 빨간 불을 울린다.
넷플릭스 시리즈인 이 드라마는 영국에서 정부의 지원으로 모든 중고등학교 내에서 시청이 가능하다고 한다. 다만 10대들의 범죄, 인셀 문화, 비틀린 남성성은 비단 영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미디어 시청 하나가 세상을 바꿀 수는 없지만 지금 우리 안에 켜진 비상등이 제2의 제이미를 더 빠르게 방 안에서 꺼내주기를 바란다.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