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방자까2025-05-22 21:55:05

뒤틀린 세계에서 비로소 깨닫는, 사랑

영화 <나를 모르는 그녀의 세계에서>

'평행 세계'라는 소재는 잘 먹히는 요즘 영화 치트키 중 하나입니다. 어떠한 선택의 이면에 또 다른 세계가 있다는 가정은 상상만으로도 심장을 두근거리게 하죠. '이 선택을 한 나와 그 선택을 한 나, 어느 세계의 내가 더 행복할까?', '그 세계의 나는 어떤 삶을 살까?' 여러 생각들이 겹치면서 가슴 속에는 뭐라 정의할 수 없는 감정들이 두둥실 떠오르곤 합니다. 그러한 감정의 부유 상태를 즐겁게 누리곤 하는 저는, 평행 세계 소재의 영화를 기본적으로 좋아하는 편입니다. 그러니 이 영화 역시 객관적으로 바라보긴 어렵겠지요. 두 세계의 너와 나를 다룬 로맨스 영화, <나를 모르는 그녀의 세계에서>입니다.

 

※ 씨네랩으로부터 초청받은 <나를 모르는 그녀의 세계에서> 시사회를 통해 영화를 감상했습니다. <나를 모르는 그녀의 세계에서>는 2025년 5월 22일 국내 개봉작입니다.

 

 

나를 모르는 그녀의 세계에서

My Beloved Stranger


 

 

 

Summary

어느 날, 눈을 뜨자 우리가 사랑한 모든 시간이 사라졌다. 베스트셀러 작가 ‘리쿠’는 8년을 함께한 첫사랑 ‘미나미’와 모르는 사이가 되어버린 낯선 세계에서 깨어난다. 잃고 싶지 않은 그녀를 되찾기 위해 시간을 넘어 여기, 다시 시작되는 우리의 평행 세계 로맨스. (출처: 씨네21)

 

Cast

감독: 미키 타카히로

출연: 나카지마 켄토, 미레이

 

 

익숙함에서 무심함, 다시 소중함으로

 

영화의 메가폰을 잡은 감독 미키 타카히로의 대표작은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나는 내일, 어제의 너와 만난다>입니다. 그는 뒤집고 연결하고 확장하고 축소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세계라는 개념을 주무릅니다. 감히 '세계' 전문 감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그가 <나를 모르는 그녀의 세계에서>에서 택한 방식은 우주에 존재하는 무한한 평행 세계입니다.

 

대학 시절, 글쟁이로 살며 데뷔를 꿈꾸던 '리쿠'는 현재 잘나가는 인기 소설가로 승승장구 중입니다. 그의 곁에는 오랜 연인에서 이제는 아내가 된 '미나미'가 있죠. 그러던 어느 날, '리쿠'는 전혀 다른 세계에서 눈을 뜹니다. 일류 작가였던 자신은 일개 출판사 직원으로 전락하고, '미나미'는 가수로서 대성공을 거두어 스타의 삶을 살고 있습니다. 명성과 사랑을 한 번에 잃어버린 '리쿠'는 자신의 원래 세계로 돌아가기 위해 '미나미'에게 접근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그간 자신이 놓치고 있던 것을 마주하게 되죠.

 

솔직히 이야기의 틀은 익숙합니다. 설렘은 익숙함에 잠식되고, 익숙함은 곧 무심함으로 변하는 것은 로맨스 스토리에서 흔히 보는 진부한 이야기지요. 하지만 이것은 곧 현실의 로맨스이기도 합니다. 미묘한 애정과 뜨거운 열정 뒤에는 언제나 익숙함을 핑계 삼는 무심함과 뒤늦은 후회가 있습니다. '리쿠' 역시 사랑하는 사람의 존재에 고마움을 느끼지 못하다가, 평행 세계를 경험하고 나서야 비로소 그 소중함을 깨닫습니다.

 

로맨스를 다루기에 여러 종류의 세계가 존재하는 평행 세계만큼 적합한 배경 요소가 없는 것 같습니다. '이 선택을 하지 않았다면', '지금과는 다른 세계가 펼쳐진다면'의 가정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자신이 어떤 그릇된 선택을 했는지 몸소 깨달을 수 있는 것이 평행 세계로의 차원 이동이니까요. 지금보다 어렸을 때는 뻔한 설정이라고 생각했겠지만, 지금은 생각이 조금 다릅니다. 본래 쉽게 변하지 않는 사람의 심성을 한순간에 뒤바꾸려면, 세계 하나쯤은 뒤틀려줘야 하겠거니 생각하거든요.

 

 ⊙ ⊙ ⊙

 

"네가 있어서 내가 있어"

 

이 작품의 매력은 꼭 소설처럼 마음에 오래 남는 대사들이었습니다. 일본어라서 정확히 받아적지는 못했지만, "네가 있어서 내가 있어"라든지, "어느 세계에서든 그곳에서 가능한 일을 하며 살아가는 거야" 같은 대사들은 사람들과 함께 소소한 일상을 살아가고 싶은 작은 소망을 어루만져주는 듯했습니다. 일본 영화에서는 이렇게 직접적이면서도 다정한 대사들이 여전히 유효하게, 그리고 아름답게 작동한다는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뻔하지만 풋풋하고, 그래서 더 따뜻한 사랑 이야기. 일본은 이런 종류의 영화를 참 끈질기게, 꾸준히 잘 만들어내는 것 같습니다.

 

소설 같은 대사들과 더불어서 음악도 기억에 남습니다. '미나미' 역을 연기한 가수이자 배우인 미레이의 목소리는 이 영화의 배경과 참 잘 어울렸습니다. 영화의 메인 OST이자 실제로 미레이의 음반으로 발매되기도 한 "I still"은 이야기의 맥락을 그대로 이어받고 있죠. 영화가 끝나고 곧장 그의 음악을 플레이리스트에 저장해 다시 들었을 만큼 매력적인 J-POP이었습니다.

 

연기와 음색 모두 뚜렷한 인상을 남긴 미레이의 다음 행보가 벌써 기대됩니다. 개인적으로는 '리쿠' 역의 나카지마 켄토와 함께, 영화 속 '창룡전기'의 주인공 같은 행색을 하고 제대로 된 SF물을 하나 찍어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 ⊙ ⊙

 

어쩌다 들른 서점에서 이 영화의 주제를 고스란히 관통하는 문단을 만나, 인용구로 이 글을 마칩니다.

 

 

우리는 언제나 타인의 선의를 놓치고 맙니다. 정확히 말해서 사랑은 그것이 사랑인 이상 발견하지도 눈치 채지도 못하도록 건네집니다. 사랑은 산타클로스의 선물처럼 정체를 숨긴 채 우리 곁으로 찾아옵니다. (지카우치 유타,『우리는 왜 선물을 줄 때 기쁨을 느끼는가』)

 

One-Liner

세계를 이루는 건 너와 나, 우리

작성자 . 방자까

출처 . https://brunch.co.kr/@hreecord/139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