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방자까2023-12-18 23:38:18

허름한 펍에서 피어난 연대의 용기

영화 <나의 올드 오크>

글이 잘 써지지 않을 때의 특효약은 새로운 장소를 찾아 떠나는 것입니다. 집, 카페, 도서관, 기차 안, 공원 벤치, 친구 집... 어떤 곳에서, 어떤 사람들과 머무르느냐에 따라 감각과 생각은 각기 다르게 작동합니다. 그렇게 모든 공간에는 특별한 힘이 있다는 자연스러운 믿음이 생겼죠. 

 

'이 영화'의 중심에도 특별한 힘이 있는 한 공간이 있습니다. 그 안에서는 다투고, 분개하고, 배척하다가 결국에는 합일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연대의 물꼬가 열리는 이곳의 이름은 바로 '올드 오크(The Old Oak)'입니다.

 

※ 씨네랩으로부터 초청받은 <나의 올드 오크> 시사회를 통해 영화를 감상했습니다. <나의 올드 오크>는 2024년 1월 국내 개봉 예정작입니다.

 

나의 올드 오크

The Old Oak



 

어느 날, 시리아 난민들이 영국 북부의 작은 마을로 이송되면서 동네의 분위기가 수선스러워집니다. 마을 어귀의 허름한 펍 ‘올드 오크'에 모인 주민들은 이방인에 대한 반발심을 쏟아내고, 주인장 'TJ'는 따뜻한 맘씨에도 손님을 놓칠세라 한 발짝 떨어져서 관망하기를 택합니다. 그러던 중 한 마을 주민에 의해 아끼던 카메라가 망가진 시리아 소녀 '야라'를 만나고, ‘TJ’는 오랫동안 굳게 닫혀있던 가게 뒷방의 문을 엽니다.

 

⊙ ⊙ ⊙ 

 

영화 속에서 일부 마을 주민들은 동네에 정착한 시리아 난민들에게 극도의 혐오감을 표출합니다. "망할 외국인", "난민수용소", "거지꼴" 등의 님비(Not In My BackYard) 발언도 서슴지 않습니다. 심지어 '야라'의 가족과 우정을 쌓아가는 'TJ'를 향해 위선적이라고 비난하기까지 하죠. 그들의 이러한 적개심은 '올드 오크'에서 마구 터져 나옵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마을 전체에 남은 공적 공간이라고는 허름한 펍인 '올드 오크'가 유일하거든요.

 

그들이 내세우는 난민 혐오의 근거도 여기에 있습니다. 사람들이 모일 공간마저 모조리 없앨 만큼 마을의 형편이 어려운 상황에서 이방인들로 인해 동네의 집값과 가치가 더 떨어진다는 겁니다. 내 가족 하나 건사하기도 힘들고, 사는 게 퍽퍽한 와중에 누가 누굴 챙기냐는 논리였죠. 실은 그 ‘올드 오크’를 운영하는 'TJ'마저도 무너져가는 가게를 수리할 돈이 없는 처지였습니다. 마을 주민들의 주장대로 이곳은 이방인을 받아줄 마땅한 곳이 아닌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 ⊙ ⊙ 

 

그러나 배타적으로 굴 수밖에 없다는 마을 주민들의 아우성이 무색하게도, 원주민과 이방인 사이에는 부정할 수 없는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사실 이 마을은 오래전 광부들이 모여 살던 탄광촌이었습니다. 탄광이 문을 닫으면서 활기를 잃어버린 마을은 서서히 메말라갔고, 사람들이 떠나자 마을의 집값과 가치는 떨어졌습니다. 즉, 원주민(탄광 노동자)과 이방인(전쟁 피해자)은 모두 삶의 터전을 잃은 사람들이었던 겁니다. 이미 생명력을 상실한 지 오래인 동네에 등장한 난민들은 그저 문제의 책임을 전가할 수 있는 더 손쉬운 약자였던 셈입니다. 

 

광부 노조가 겪은 이전 세대의 아픔에 공감한 '야라'는 원주민과 이방인을 가르지 않고, 마을에 힘을 불어넣을 방법을 제안합니다. 바로 광부 노조의 추억이 고스란히 남아있던 '올드 오크'의 닫힌 방을 열고, 시대를 뛰어넘어 약자를 품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것. 힘들 때일수록 돕고 살자던 그 시절의 캐치프레이즈 "함께 먹을 때 더 단단해진다(When you eat together, we stick together)"를 내걸고 말이죠. 함께함으로써 할 수 있게 된다는 희망으로 가득한 '올드 오크'에서 원주민과 이방인은 조금씩 섞여 들어갑니다. 이렇게 이 영화는 편가름보다 중요한 연대와 포용의 힘을 끊임없이 이야기합니다. 

 

이방인을 헐뜯고 배척하던 장소에서 약자들이 함께하는 커뮤니티가 된 '올드 오크'. 영화는 식사 준비를 위해 아무렇지 않게 '올드 오크'를 드나드는 시리아 사람들 사이에서 왠지 모르게 불편함을 느끼며 눈치를 보는 마을 주민들을 비춥니다. 포용을 위선으로, 배척을 당위로 여기는 사람들이야말로 모두가 잘 살 수 있는 유토피아의 이방인이라는 메시지가 느껴졌던 장면이었습니다.  

 

⊙ ⊙ ⊙ 

 

나보다 더 약한 사람에게 화살을 겨누는 것을 알량한 위안으로 삼는 사회, 약자가 약자를 더 혐오하는 사회, 서로 돕고 사는 것을 위선으로 치부하는 사회의 모습은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언제부터 이러한 모습이 이토록 당연해진 건지, 영화를 보면서 자꾸만 한국 사회의 모습이 겹쳐 보여 마음이 씁쓸했습니다. 

 

'올드 오크'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원주민과 이방인의 대립을 그려내며, 세상을 바꾸기 위해 필요한 용기, 연대, 저항의 가치를 조명하는 작품, <나의 올드 오크>. 갈림길 하나 없이 오로지 디스토피아로 향하는 길만이 쭉 뻗어 있는 듯한 오늘날, ‘우리’가 될 용기, ‘우리’를 위한 연대, ’우리‘의 목소리를 내는 저항의 중요성을 다시금 실감합니다. 노동자 계급의 이야기를 능숙하게 전하는 켄 로치 감독의 지난 영화들을 감상하며 연말을 보내고, <나의 올드 오크>를 통해 새로운 세상을 위해 용기내고, 연대하며, 저항하는 한 해를 다짐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Summary

영국 북동부의 폐광촌에서 오래된 펍 ‘올드 오크’를 운영하는 ‘TJ’는 어느 날 마을로 들어선 낯선 버스에서 사진작가가 꿈인 소녀 ‘야라’를 만난다. 마을 주민들은 불쑥 찾아온 ‘야라’네 가족과 다른 사람들을 반기지 않지만 ‘TJ’와 ‘야라’는 ‘올드 오크’에서 특별한 우정을 쌓아가는데··· (출처: 씨네21)

 

Cast

감독 : 켄 로치

출연 : 데이브 터너, 에블라 마리 외

작성자 . 방자까

출처 . https://brunch.co.kr/@hreecord/107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