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iique2025-02-15 15:34:40
<기생충> : 신분 상승을 향한 치열한 싸움
영화 <기생충> 리뷰
기생충 리뷰
(이 글은 2023년 작성된 글입니다)
상류층을 동경했던 경험이 있는가. 자신 있게 아니라고 말할 수 있었다. 이제껏 가진 자들을 부러워하지 않았다. 부의 정도는 개인이 생각하기 나름이니까. 하지만 기생충의 엔딩 크래딧이 올라갈 때쯤, 부자를 “동경”하고 있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영화를 보고 난 후에 불쾌감과 불편함에 휩싸였다는 것을 자각했기 때문이다.
영화는 빈부격차와 가족이기주의라는 조금은 흔한 소재를 다룬다. 그리고 감독은 이 소재를 통해 ‘가족이기주의와 신분 상승의 욕망이 결국 파국을 불러온다.’라는 주제를 전한다. 여기까지만 본다면 사회 계층을 다룬 다른 영화들, 그리고 소설들과 다를 바가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기생충은 이와 같은 주제를 전하는 기존의 영화들을 답습하지 않는다. 봉준호 감독은 늘 그랬듯 자신만의 이야기를 전한다.
'가난한 자는 착하고, 부자들은 못된 그런 뻔한 이야기들. 자연스럽게 가난한 자에게는 동정심을 갖고 기득권들에는 분노를 느끼는 관객들.' <기생충>은 이러한 기존의 것들을 완전히 파괴한다. 아는 맛을 기대하고 영화관에 간 관객들은 이 지점에서 불쾌감과 거리감을 느끼게 된다. 기생충처럼 박사장 가족을 쪽쪽 빨아먹다가 살인까지 저지르는 기택네 가족. 그리고 그런 기택네 가족에게 바보처럼 당하며 가진 것 다 털리는 박사장 가족. 그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던 관객들은 결국, 조금 떨어져 영화 속 인물들을 지켜보는 쪽을 택하게 된다.
인간은 본래 이기적인 존재다. 그러나 우리는 모두 이기심을 숨기고 살아간다. 모든 순간 가면을 쓰고 이타적인 척하는 존재가 바로 인간이다. 하지만, 이 영화 속 가족들은 이기심을 숨기지 않는다. 기택의 가족은 4명이 똘똘 뭉쳐 자신들의 욕망을 해소하기 위해 사기를 치고, 문광은 남편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건다. 박사장은 근세가 죽어가는 것을 지켜보면서도 자기 아들만 생각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모두 자기 가족밖에 모른다. 대 놓고 드러내는 이기심에 나는 마치 속마음을 들키는 기분이 들어, 불편한 마음이었다.
부자 위에 부자 있고, 가난 아래 가난 있다. 지상에 사는 박사장 가족과 반지하에 사는 기택 가족의 갈등으로 극을 끝까지 끌어 가는 줄 알았으나, 감독은 중반부를 지나며 반지하보다 더 아래인 지하에 사는 근세를 등장시킨다. 그러면서 영화는 점차 기택 가족과 문광 가족의 갈등으로 전개된다. 어느새 부자는 배제되고, 가난한 자들끼리 물고 뜯는 상황이 연출된다. 우리는 끝없이 누군가와 자신을 비교한다. 그리고 그 비교 속에서 위안을 얻기도, 실망하기도 한다. 혹은 기택의 가족처럼 상대를 이겨 먹고자 아등바등 싸우기도 한다. 하지만 그 싸움도 체급이 맞아야 가능한 것이다. 기택의 가족이 박사장 가족을 문광 가족 대하듯, 대할 수 있을까. 절대 불가능이라 본다. 자신들과 체급이 맞으며, 심지어는 자신들보다 못한 것 같으니 그렇게 행동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올라가기 위한 치열한 싸움은 상징적으로도 연출된다. 폭우가 내리던 날, 기정은 역류하는 변기 위에 앉아 물을 막아낸다. 여기서 역류하는 물은 상승을 꿈꾸는 하층민(근세)이고, 그 위를 막는 자도 하층민(기정)이다. 감독은 이러한 이미지로 주제 의식을 한 번 더 강조한다. 우리 자신을 보자. 우린 올라가고 싶다고 해서 아주 높은 곳에 있는 사람을 끌어내리지 않는다. 오히려 자신보다 아래의 사람들이 올라오지 못하도록 짓밟는 방법을 택한다. 그게 더 현실성 있는 선택지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부자 위에 부자, 그 위에 더 부자, 가난 아래 가난, 더 아래 가난. 정말 끝없이 촘촘하게 나누어진 계층 속에서 우린 기택의 가족처럼 누군가를 계속 짓밟으며 살아가고 있다.
그럼에도 신분 상승의 꿈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반지하에서 시작한 영화는 반지하에서 끝난다. 결국 기택의 가족은 제자리로 돌아왔다. 한바탕 사건이 있었음에도 여전히 같은 자리다. 엔딩을 보고 나니, ‘앞으로도 위를 보며 부를 동경하면서, 발로는 누군가를 짓밟으며 살아가겠지’하는 마음에 기분이 좋지만은 않았다. 이번 폭우를 보면서 더 그랬다. 누군가의 집은 다 잠기고 있을 때, 누군가는 골프를 치고 있었다. 기생충의 폭우와 현실에서의 폭우. 기생충과 현실이 참 많이 닮아있다. 기생충은 부의 양극화를 극복할 수 없는 문제처럼 그린다. 현실에서의 우리가 마주할 끝은 무엇일까. 우린 어딜 향해 달려가고 있을까.
- 1
- 200
- 13.1K
- 123
- 10M